안녕하세요
철강주가 조선주와 동반 랠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국내 조선사들의 선박 수주가 급증추세에 있고 중국 철강제품 가격 상승 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일제히 반등세를 타고 있습니다.
29일 오전 11시51분 현재 KG동부제철은 전날보다 800원(6.13%) 상승한 1만3800원에 거래되고 있고 동국제강은 10.25% 급등한 13,450원에,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현대제철 등도 3~7%대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고, 포스코강판, 한국철강, 대한제강, 포스코 등도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가 대규모 선박 수주에 성공한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 26일 1만32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5척을 총 6370억원 규모에 수주했고 삼성중공업도 지난 26일 1만5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을 총 2조8000억원에 수주했는데 이는 단일 선박 건조 계약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입니다.
특히 삼성중공업의 사상 최대 수주는 일본과 중국 조선사와 경쟁하는 와중에 수에즈 운하 사건이 터지면서 일본 조선사가 탈락하고 대만 에버그린 선사가 삼성중공업에 수주를 몰아준 것이 주요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초대형 LPG 운반선 등 총 19척을 수주했습니다.
선박 수주로 철강 소비가 급증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전에 조선호황 때도 철강부족 사태가 벌어지면서 철강 판가가 급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철강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도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데 중국 철강사가 제품을 감산하면서 수급이 어려워진 영향인데 중국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배출 정점 도달 선언과 2060년 탄소중립선언을 한 것이 주요했는데 중국은 당장 올 해 탄소배출 규모를 지난 해 대비 40% 감축하겠다고 선언한 상황입니다
중국 탄소배출의 18%를 차지하고 있는 철강산업에서 대규모 감산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2016년과 2018년 사이 중국 철강산업 구조조정의 여파로 저질 철강사들이 많이 정리되었지만 여전히 중국의 철강생산량은 내수를 뛰어넘어 수출시장에 밀어내기 물량을 쏟아내고 있는데 중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추가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지며 몇 년 동안은 중국 철강산업이 수출보다는 내수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글로벌 시장에 중국산 저가 철강이 사라지면 품질은 우수하면서 가격경쟁력이 있는 한국산 철강들이 시장을 휩쓸 가능성이 큰데 미국 시장에 보호무역주의가 대두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철강사들은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절호의 호기를 맞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포스코, 현대제철 등은 열연강판, 강관 가격을 인상하고 있는데 업계에서는 경기회복에 따라 철강 제품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제품 가격 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SOC투자 수혜를 철강사들이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철강주
POSCO
동국제강
현대제철
KG동부제철
KG동부제철우
한국철강
휴스틸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세아제강지주
제일제강
문배철강
삼현철강
영흥철강
하이스틸
한일철강
포스코강판
부국철강
DSR제강
NI스틸
대호에이엘
동양철관
서원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칠성 탄산음료 가격인상 효과 1분기 실적호전 기대감에 주가 급등세 (0) | 2021.03.29 |
---|---|
플레이디 주총 신규사업 추가와 아마존 코리아 마케팅 서비스 파트너사 및 수출 바우처 사업 공식 수행기관으로 선정 상한가 (0) | 2021.03.29 |
두산인프라코어 분할·합병 결정 불확실성 제거에 장기투자 매수세 유입 급등세 (0) | 2021.03.29 |
캐리소프트 중국 키즈 시장에 어린이 유튜브 채널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단독 채널 개설 상한가 (0) | 2021.03.29 |
금호석유 본격적인 지분대결 시작 누가 먼저 50%+1주 사느냐 머니게임 (0) | 202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