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300선을 돌파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6.74포인트(0.51%) 오른 3302.84에 거래를 마쳤는데 코스피가 3300선을 돌파한 것은 국내 증권 역사상 처음입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08포인트(0.09%) 오른 3289.18에 거래를 시작해 상승폭을 확대하며 오전 장중 한때 3316.08까지 오르며, 전날 기록했던 최고치(장중 3292.27)를 하루 만에 갈아치웠고 월 기준으로 코스피는 이달까지 8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8196억원 순매도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495억원, 5886억원어치 주식을 사들였습니다.
전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못박았지만, 주식 시장의 상승세는 멈추지 않고 있는데 미국의 금리 조기 인상 가능성이 낮아지며 현지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국내 시장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 내 장기간의 저금리 기조로 유동성이 풍부한 것이 코스피의 상승 배경으로 꼽히는데 시장에 이미 돈이 많이 풀려 있는 상황이어서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계론이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
변준호 흥국증권 연구원은 “월간 기준으로 1980년 코스피가 시작된 이후 9개월 연속 상승한 사례는 없다”며 “이 점이 증시 급락을 예고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적으로 쉬어 가야 할 명분을 높여주고 있는 것은 맞다”고 주장했는데 변 연구원은 보통 환율이 오르면 증시는 하락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달의 경우 환율과 증시가 동반 상승한 점을 ‘이례적 상황’으로 판단했는데 그 역시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페러다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수준으로 보여집니다
이날 코스닥은 전거래일보다 0.49포인트(0.05%) 하락한 1012.13에 장을 마쳤습니다.
한편 가상화폐는 시가총액 1위 비트코인이 4000만원대 박스권에 갇힌 가운데 알트코인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1비트코인은 3961만원에 거래되면서 반등하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 이외의 가상화폐인 ‘알트코인’ 하락세는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가상화폐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이달 초만 해도 업비트에서 310만2000원에 거래됐지만, 30% 가까이 급락해 이날 230만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가상화폐로 불리는 도지코인 역시 이날 업비트에서 327원에 거래됐는데 한때 도지코인은 800원대로 치솟으며 ‘시세 1달러’에 근접했었습니다.
향후 주식·가상화폐 시장은 금리 인상 시기와 맞물려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데 오는 9월24일 개정 특정금융정보법 시행을 앞두고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가 ‘코인 정리’에 나서고 있는 것도 시장 불안 요인입니다.
가상화폐 개발사의 반발이 커지면서 소송전까지 전개될 조짐이어서, 알트코인의 시세 변동폭도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가상화폐시장과 증시는 경쟁관계에 있는데 저금리 기조에서 둘 다 대체시장으로 각광받으며 성장했지만 시장감독과 감시를 받지 않는 가상화폐의 성장성이 빨랐지만 이제는 시장감독당국의 감시와 견제를 받으면서 시장참여자들이 빠져나가고있는 눈치입니다
아울러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예정된 사인에 가상화폐시장에 들어가 있던 유동성들이 빠르게 빠져나가는 모습입니다
현재 KOSPI 지수가 신고가 랠리를 펼치는 이유는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우리 기업들의 수익성이 큰 폭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이 숫자로 확인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출이 급증하며 무역수지 흑자폭이 늘어나고 있고 이는 경상수지 흑자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 수출기업들의 성장성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어 "Made in Korea"의 상품성이 높아지고 있어 무역수지와 경상수지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당연히 우리 기업들에 대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것인데 기업들의 미래실적을 주가에 선반영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겁니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같이 프라자합의와 같은 급격한 환율변동을 겪지 않고 있어 수익이 차곡차곡 쌓이게 되는 구조를 갖게 되었습니다
외국인투자자들은 지금 주가가 높아 보여도 장기적으로 주가차익을 볼수도 있고 환차익도 기대할 수 있어 지금이 한국 주식을 살 좋은 기회로 인식하는 모습입니다
이런 흐름이 금리인상으로 바뀔수도 있고 코로나19재확산으로 수출 둔화 우려감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위기 시에도 흑자를 내는 우리 기업들의 능력과 실력에 외국인투자자들이 신뢰를 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저금리 기조라는 유동성 장세가 만들어준 사상 최고치 지수는 금리인상 시기에 가격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크고 내년 대선정국에 올 해 하반기 정치 이벤트에 대규모 자금이 빠져 나갈 수 있어 시장으로써는 상반기 지수 최고점을 기록하는 행보 이후 하반기 한국은행에서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가격조정에 들어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투어 필리핀 관광부와 함께 6월 28일부터 한 달간 필리핀 프로모션 진행 (0) | 2021.06.26 |
---|---|
화장품주 중국 상반기 최대 대목 '6·18 축제'에서 매출 상위권 한국 브랜드들 랭킹 수혜 기대감 (0) | 2021.06.26 |
대우건설 매각 본입찰 중흥건설과 DS네트웍스 컨소시엄 2파전 (0) | 2021.06.25 |
최재형 감사원장 관련주 대선출마 기대감에 강세 (0) | 2021.06.25 |
미국 인프라투자 수혜주 조 바이든 행정부 인프라 투자 예산안 여야 합의 소식에 강세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