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SK하이닉스 최악의 1분기 실적 발표로 주가충격 불가피한 상황인데 미국의 불공정한 통상정책으로 SK하이닉스가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입니다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생산공장이 전체 매출의 약 40% 이상을 책임지고 있는데 이들 중국 공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미국 정부의 반도체지원법Chips가 발효되면 SK하이닉스가 투자한 중국공장 뿐 아니라 중국 반도체시장을 잃어버리게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1분기 매출액 5.08조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3.4조원 덩기순이익은 -2.58조원을 기록해 손실폭을 키우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자업계의 경기침체속에 SK하이닉스의 고객사들이 여전히 반도체 재고를 쌓아두고 있고 삼성전자가 감산에 동참한다고 하지만 여전히 D램반도체 현물가의 하락은 막았지만 반등은 아직 요원해 보이기 때문에 SK하이닉스의 수익성 개선은 언제가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올 해 미국의 반도체지원법Chips가 시장에 알려진데로 발효될 경우 SK하이닉스는 미국시장에 진출하기 보다는 지금처럼 중국과 우리나라에 생산공장을 두고 중국시장에 의존한 성장을 이어가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미국정부가 주는 반도체보조금을 받게 될 경우 SK하이닉스는 중국공장과 시장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는 Sk하이닉스의 파산을 예고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가장 큰 문제는 최태원 회장이라는 오너가 상황의 중대함을 전혀 못 느끼고 대한상의 회장놀이에 빠져 있다는 것으로 윤석열의 미국국빈방문에서 반도체 분야에 미국의 불공정무역에 대한 문제를 전혀 언급하지도 못하고 미국 재계 거물들을 만나 사진 한장 찍는 모습에서 만족한다면 최고결정권자로써 자격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SK하이닉스의 부실화에 대해 대책을 빨리 세우지 않으면 SK그룹 전반에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에 신규자금을 쏟아부어 생존을 연장하던지 아니면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이나 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 매각해 반도체 부담을 줄이는 것이 SK그룹의 부담을 덜게 되는 일이 될 것입니다
SK하이닉스의 실적부진이 전자업계의 불황에 기인한 측면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미국의 반도체패권정책의 타겟이 되고 있어 한국기업이 아니라 미국기업이 될 운명이 되고 있는데 이런 통상의 문제에 대해 윤석열 정부는 무능하기 짝이 없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공적자금을 쏟아부어 살려 놓은 현대전자의 하이닉스를 SK그룹에 인수시켜 우량기업으로 키워 국민경제에 진 빚을 갑으라 했더니 미국이 도둑질하러 들어왔는데 경찰과 주인은 못 본체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감산에 동참해 SK하이닉스가 한숨을 돌리긴 했지만 여전히 실적악화는 진행형이고 이는 SK하이닉스에 대규모 유상증자와 매각 필요성을 대두시키고 있습니다
만에 하나 SK그룹이 SK하이닉스를 매각한다고 한다면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인텔이 헐값에 인수할 가능성이 큰데 중국업체들도 탐을 내겠지만 미국정부가 매각에 간섭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중국기업이 인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겁니다
미국기업이 SK하이닉스를 D램부문과 낸드부문으로 분할 해 인수할 경우 중국과의 거래를 다시 풀어줄 가능성이 큰데 이럴 경우 SK그룹이 Sk하이닉스를 매각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 되는 것으로 미국의 반도체패권주의에 우리 기업이 당한 것이고 윤석열 정부는 아무런 대응도 못한 무능력의 끝판왕을 보여준 사례로 기록될 것입니다
그래도 윤석열은 퇴임 후에 그가 임기중에 보여준 일본과 미국을 위한 정책으로 그 나라들의 훈장도 받고 은사금도 챙기며 편안한 노후를 보내겠지만 우리 국민경제가 받아야 할 피해는 좀처럼 복구되기 어려울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팅크웨어 현대차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 포티투닷 대규모 추가 투자 수혜 기대감 (0) | 2023.04.26 |
---|---|
이수페타시스 구글 클라우드 흑자전환 서버수요증가 기대감 (0) | 2023.04.26 |
구글 알파벳 1분기 실적 발표 시장예상치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 공개 70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수 발표 (0) | 2023.04.26 |
현대공업 현대차 미국전기차공장 투자 확대 수혜 기대감 (0) | 2023.04.26 |
미국 증시 지방은행 위기 재점화 경기침체 우려 주가지수 본격 반영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