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PeCFSPSuEY

안녕하세요

파워넷은 TV, Monitor 등 Display용 SMPS를 전통적인 주력 제품으로 Sound Bar/Woofer 등의 AV용 SMPS, 냉장고/에어컨/청정기 등의 생활/환경가전용 SMPS 등 다양한 품목과 크기의 Set에 적용되는 SMPS, Adaptor, PD board 등을 생산하고있는 오래된 SMPS업체입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전쟁으로 국제유가가 불안하게 움직이고 러시아가 에너지무기화를 노골화하면서 EU를 중심으로 한 서방이 대대적인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늘리고 스마트그리드 환경 조성에 대규모 투자를 하면서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파워넷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은 2005년 이후 각국의 정책과 법과 제도의 정비, 지원정책 시행 등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오는 2030년까지 발전량의10%를 태양광발전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태양광에너지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만큼 태양광 발전시설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풍력발전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인데 여기에 파워넷의 SMPS가 사용되고 있고 관련 투자가 늘오날수록 동사의 실적도 좋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남는 전력과 에너지를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 공급하기 위해 전기 전력망(Grid)에 저장해 두는 기술로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신재생에너지로 발전된 전기를 ESS에 저장해 밤이나 바람이 불지 않는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관련기술에도 동사의 SMPS가 사용됩니다

 

회사는 2018년부터 꾸준히 소형 및 중대형 태양광인버터의 개발을 완료하고 KS인증을 취득해 왔으며 베란다형 태양광보급사업과 소형 주택형 및 중대형 발전사업 용도의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제품의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태양광인버터 판매 외에 태양광발전 설치사업과 태양광인버터와 PCS(무선통신서비스)를 기반으로한 ESS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으로 현재 일본 HOME ESS 시장 진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ESS사업 외에 Battery Pack Module 및 BMS(배터리관리시스템)의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통신장비 전문기업인 관계회사와 협업으로 통신분야(네트워크 장비) 사업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스마트 홈 IoT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듈제품을 공급하고 있고 향후에는 스마트 홈, 자동차, 의료 등의 다양한 IoT 서비스 장비 및 제품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파워넷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국제인증 취득 및 배터리 팩 모듈 개발을 영위하고 있어 테슬라가 쏘아올린 LFP배터리 수요급증에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 이어 2분기 실적에서도 적정주가는 11000원 대가 적정주가로 평가되기 때문에 주가반등세가 이어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파워넷 20211223.pdf
1.17MB
파워넷_201022_한양증권.pdf
0.9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PeCFSPSuEY

안녕하세요

니켈코발트망간(NCM) 등 이른바 삼원계 배터리에 집중해왔던 국내 배터리 3사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으로 눈을 돌리며 보급형 제품으로 LFP 배터리를 적용하겠다는 소식에 LFP 국제인증 취득 및 배터리 팩 모듈 개발을 영위하고 있는 파워넷의 주가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3일 오전 10시 31분 현재 파워넷은 전 거래일 대비 420원(10.38%) 오른 445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2·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보급형 제품으로 LFP 배터리를 적용한다고 밝혔는데 LG에너지솔루션은 파우치 기반 방식으로 내년 중국 난징 생산라인을 LFP로 전환해 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불어 북미 시장 대응을 위해 2024년 미국 미시건 공장에 신규 LFP 라인을 구축할 것으로 전해지는데 LFP 배터리 사업을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우선 적용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선회해 차량용 배터리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구체적으로 발표했는데 SK온도 올해 중 LFP 배터리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며 고객사와 공급 관련 협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수의 완성차 업체들도 이 같은 생각이었으나 최근에는 달라진 양상인데 배터리 원자재 가격이 많이 오른 데다 배터리 공급량이 수요 대비 부족하다는 판단이 서자 LFP 배터리 도입에 나서는데 실제로 테슬라는 올해 1·4분기 생산 차량 가운데 LFP 배터리 비중을 50%까지 확대했고 폭스바겐, 포드 등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LFP 배터리 적용을 추진 중입니다.



한편, 파워넷은 LFP 국제인증 취득 및 배터리 팩 모듈 개발을 영위하고 있는데 2020년 5월 중국 배터리 셀 전문기업인 CEL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배터리 모듈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중국 CEL의 원통형 LFP 배터리 1개 모델에 대해 전기전자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 배터리 팩 모듈 개발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파워넷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 납품처에 집중되어 있어 당장 국내 배터리업체와 협업을 할 수 있을 지는 의문입니다

 

지난 1분기 실적기준으로 적정주가는 11,000원대이기 때문에 2분기 실적을 확인하며 실적을 반영한 주가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파워넷202112231.pdf
1.1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8A5qAgqzfG8

안녕하세요

미국 전기차 업체 리비안이 향후 출시할 전기트럭, 밴, SUV에 LFP(리튬, 인산, 철)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아모그린텍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5일 오전 9시 현재 아모그린텍은 전 거래일 대비 11.66% 오른 1만2450원에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은 지난해 4·4분기 주주 서한에서 앞으로 전기트럭, 밴, SUV에 LFP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임을 밝혔는데 일반 전기차에는 니켈이나 코발트가 들어가지 않는 LFP 배터리를 탑재할 예정이며 장거리용 특수 차량에는 고니켈 베터리를 장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아모그린텍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플렉서블 배터리, 나노멤브레인, 박막필름 등 4차산업 핵심 소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ESS 사업부문에서 LEP 배터리의 중국 등 해외 매출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아모그린텍은 글로벌 전기차 기업 테슬라와 BYD, 리비안 등에도 고효율성 자성소재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모그린텍 주가는 테슬라 주가에 연동되는 특징이 있는데 전일 미국시장에서 테슬라 주가가 급등하면서 동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lOQRKOmVgM

안녕하세요

이엔플러스가 리튬 생산업체인 '강봉리튬'의 자회사 '강봉리튬전지'와 전기차 사업 및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팩, 셀 사업에 대한 업무제휴 협약서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강봉리튬전지가 생산하는 전지에 대해 한국 내 판매에 대한 권한뿐 아니라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세계시장에 대한 우선적 판매 권한을 이엔플러스에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데 관련 기술과 서비스 대응도 공유합니다.

 

한국 내 리튬전지의 팩 공장 합작 건설도 진행할 계획으로 팩 공장 준공 단계를 고려해 LFP 배터리 셀 공장 투자도 고려 중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습니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한국뿐 아니라 기존의 주요 배터리 업체들이 생산하던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는 니켈, 코발트 등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경쟁우위를 잃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LFP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가격경쟁력뿐 아니라 LFP 배터리 기술 진보로 효율성도 개선됐다고 평가받아 배터리 시장에서 LFP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완성차 업체들의 중저가 전기차 출시에 나서고 있어 LFP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에 협약서를 체결한 '강봉리튬전지'는 강봉리튬의 자회사로 종합 에너지솔루션 사로 평가받고 있는데 14기가와트(GWh)급 규모의 '인산철 리튬전지' 생산공장을 가동 중이며, 최근 '고체 전지'개발에 성공해 해당 전지가 탑재된 전기차를 중국 동풍자동차를 통해 선보인 바 있습니다.



한편, 리튬 생산업체인 강봉리튬은 중국 상장사로 세계 2위의 리튬 화합물 공급업체로 염수호 리튬과 광산 리튬을 제련하는 유일한 회사로 테슬라를 비롯한 세계 메이저 리튬배터리 제조사에 리튬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전부터 전기차와 그래핀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가상승을 유도하고 있는데 실적도 적자투성이이고 최대주주 지분도 10%가 안되는 상황이라 머니게임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위험한 종목입니다

 

지난 연말의 주가급등 때도 그렇고 이번의 주가 급등도 호재성 재료를 내놓고 반짝 급등하는 것이라 실적이 동반되지 않는 재료이고 일방적인 투자만 이뤄지는 재료라 급등한 주가가 유지될 수 없어 보입니다

 

이엔플러스는 소방차를 만든다는 점에서 쌍용차 인수전에 참여한다고 발표했는데 인수자금에 대한 불확실성은 남아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j-X1WdeSoU

안녕하세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팩 모듈 개발업체 파워넷주가가 상승세를 나타냈는데 LG에너지솔루션 기업공개(IPO)가 역대급 흥행이 예고되면서 LFP 배터리 시장 확대 기대감도 커진 영향으로 보입니다



18일 장 종료 현재 파워넷 주가는 전날 대비 9.39% 오른 594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LG에너지솔루션이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역대급 인기를 불러모은 가운데 LFP 관련 투자증가의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1~12일 진행된 LG에너지솔루션의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주문액이 사상 최대 규모인 1경51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참여 기관 1700여곳이 대부분 공모가 최상단인 30만원으로 가능한 최대 수량을 주문했기 때문으로 이에 경쟁률이 1500대 1을 넘어서면서 주문액이 1경원을 넘어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같은 인기에 LG에너지솔루션의 공모가는 밴드 상단인 30만원으로 결정되었고 상장 시 10조원의 현금유입으로 LFP배터리 개발과 양산에 :G엔솔이 나설것으로 예상되어 시장 확대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보입니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은 2023년부터 LFP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적용하는 등 기존 중국업체들이 강점이 있었던 영역까지 진출이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테슬라와 독일 폭스바겐이 이미 LFP 배터리를 채용한 전기차 생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는데 기존 우리나라 전기차배터리업체들이 강점을 갖고 있는 고효율의 파우치형 배터리는 가격이 비싸 전기차 가격 인하에 한계가 있어 중국산 저가 LFP배터리에 전기차 업체들이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LG엔솔의 LFP배터리 시장 진입은 SK이노베이션과 삼성SDI의 LFP배터리 시장 참여를 가져올 수 있어 파워넷의 고객사가 늘어나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파워넷은 LFP 국제인증 취득 및 배터리 팩 모듈 개발을 영위하고 있는데 2020년 5월 중국 배터리 셀 전문기업인 CEL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배터리 모듈사업에 진출했고 중국 CEL의 원통형 LFP 배터리 1개 모델에 대해 전기전자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 배터리 팩 모듈 개발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파워넷는 중국 LFP배터리 고객사들을 늘리면서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도 고객사로 모실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파워넷 20211223.pdf
1.1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팬스타엔터프라이즈가 28일 개장과 함께 '정적VI발동' 되며 거래가 정지되어 있는데 테슬라가 앞으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한다고 밝히자 관련 시스템 공급 이력이 부각되며 매수세가 몰린 때문입니다.

 

28일 오전 9시 1분 현재 팬스타엔터프라이즈는 전 거래일 대비 12.71% 급등한 1,330원에 거래를 개시하였습니다.

 

20일(현지시간) CNBC방송은 테슬라가 앞으로 스탠다드 레인지 모델에 사용하는 모든 배터리를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로 변경할 것이라고 보도했고 앞서 지난달 테슬라는 미국의 모델3 예약자에게 기존에 사용한 NCA 배터리 대신 LFP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물은 바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폭발이나 화재로부터 안전한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3,000회 이상 재충전할 수 있어 납을 사용하는 기존 배터리(500회)보다 훨씬 수명이 길지만 최대출력에서 떨어져 고가차보다는 보급형 전기차에 어울린다는 말을 듣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배터리를 채용하여 테슬라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최근 가격을 전격적으로 인상하면서 비용측면에서 더 싼 배터리를 선택함으로써 이익 극대화를 노리고 있는 것입니다

 

한편 팬스타그룹은 국내 최초로 이동통신 기지국 비상전원용 리튬인산철 배터리 시스템을 일본에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으에 팬스타그룹은 국내에서는 팬스타트리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일본에서는 현지 법인인 산스타라인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