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코로나 19 진단키트 매출이 급감하면서 코로나팬데믹 시즌에 인수한 해외 진단회사들이 고스란히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에스디바이오센서가 의욕적으로 2조원대 자금을 들여 인수한 미국 진단업체 Meridian의 인수비용이 올 해부터 무형자산 상각비용으로 돌아오고 있어 실적악화와 함께 주가의 발목을 잡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1분기 실적 기준 680억원 매출액에 영업이익 14억원을 달성했지만 미국 메리디안이 매출액 822억원에 영업속실 79억원을 내고 있어 실적악화의 주범이 되고 있습니다

 

1분기 매출액 중 미국 메리디아인이 약 43%를 차지하고 있지만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실적둔화의 주범이 되고 있습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확실한 수익을 가져다 줄 아이템이 필요한 상태로 유바이오로직스의 다양한 백신제품의 유통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어 보입니다

 

유바이오로직스 인수와 경영에 약 2천억원대 자금이 투자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직까지 유바이오로직스도 수익성을 살려내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어 그룹 전체적으로 과잉 투자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해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큰 비용을 들여 인수한 미국 메리디안이 제 밥값을 못하고 있어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주가 발목을 당분간 계속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주가가 지난 2년여 동안 흘러내리기만 했는데 지난 2022년 2월 4일 기록한 최고점 81,000원 대비해 지난 해인 2023년 10월 31일 기록한 최저점 9,570원을 보면 1만원선이 하나의 저가매수세가 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당분간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실적을 호전시킬 아이템이 나오지 않는 한 주가는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일 수 밖에 없는데 미국 메리디안 인수로 인한 무형자산상각비용이 두고두고 주가발목을 잡을 악재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스디바이오센서 2024년 1분기 실적발표.pdf
2.0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qlx9kwdfwI?si=5IIax_kXKQxNhEk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덕산테코피아는 반도체와 OLED 시장 침체로 타격을 받았지만 고객사들의 생산량 회복으로 다시금 실적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고 신규사업인 2차전지 소재쪽에서 미국 자회사 덕산일렉트라를 통해 미국에 분리막과 전해액 신공장을 건설하는데 미국에서 생산하는 분리막과 전해액에 대해 미국 정부로부터 IRA법에 따라 보조금을 수령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덕산테코피아는 미국 자회사 덕산일렉트라의 공장건설을 위해 최근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나서면서 자사주를 매각해 자금을 마련하기도 했는데 실적이 부진한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어 부담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세가 점차 잦아들고 다시금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시장에 투자를 재개하면서 미국 덕산일렉트라 투자가 실적개선의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다 덕산테코피아의 충남 공주 정밀화학 신공장이 지난 해 7월 완공되고 이 공장에서 글로벌 제약사의 비만치료제 중간체 양산에 돌입해 비만치료제의 중간체를 납품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회사는 비만치료제 외에도 고지혈증 치료제, 당뇨치료제 등 여러 의약 중간체를 국내외 제약업체 및 유명 CDMO와 함께 협업 공정 개발 및 양산 납품까지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와 별개로 제약소재시장에 진출해 수익다각화를 추진하고 있고 비만치료제 중간체 양산으로 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이라 실적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경영권 승계도 마무리되면서 주가가 쌀 이유가 사라져버린 이후 주가도 꾸준히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덕산테코피아 20190717_유진투자증권.pdf
1.16MB
덕산테코피아 IPO IR 2019.pdf
17.1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윤석열이 동해 석유 가스 개발 시추를 승인한 날 한국가스공사 주가가 급등하면서 임원들이 대거 주식을 팔아먹은 것으로 알려져 먹튀논란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가스공사 임원들이 나름데로 이유를 대고 있지만 공교롭게 윤석열이 세계적인 미국 심해 석유탐사 기술 평가 전문 기업 액트지오를 치켜세우며 동해에 140억 배럴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국정브리핑이 있고 나서 판 것이라 일반 투자자들이 볼 때는 먹튀로 보일 수 있어 보입니다

 

주가조작세력들이 호재성 재료를 내놓고 소액투자자들이 추격매수하며 주가가 급등했을 때 여기다 주식을 대거 팔아치우는 전형적인 작전세력의 움직임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윤석열이 언급한 미국 심해 석유탐사 기술 평가 전문 기업 액트지오가 세계적인 기업이라기 보다는 가정집에서 1인 기업으로 교육컨설팅을 하는, 그것도 세금도 제대로 못 내서 법인격이 정지당한 부실기업의 주장을 대한민국 대통령이 TV에 나와서 직접 언급하는 우스운 상황이 벌어진 것입니다

 

전후 사정을 알게된 사람들은 윤석열이 진짜 동네바보던지 아니면 미국 1인 부실기업을 이용해 조단위의 세금도둑질을 시도하는 지능범이라는 뒷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윤석열이 발표한 동해 석유 가스 개발사업의 관련 공기업인 한국가스공사 임원 4인이 지난 5일과 7일 이틀에 걸쳐 보유하고 있던 가스공사 주식을 장내 매도로 처분한 것으로 대통령에게 엿 먹인 행위라고 밖에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동해 심해에 최대 140억배럴에 달하는 원유·가스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하자 가스공사 주가는 급등했는데 3일 하루 가스공사 주가가 상한가(29.87%)까지 치솟고 이후로도 주가는 우상향세를 기록했습니다

 

한국가스공사는 해명자료를 내고 이들 임원의 자사주 매각은 동해 탐사 계획 발표와는 무관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가스공사는 "상임이사 2명은 5월28일 주주총회에서 선임됨에 따라, 공직자윤리법에 의거해 주주총회 5영업일 이내 가스공사의 주식을 매도하라는 관련부서의 권고로 지난 3일과 4일에 걸쳐 주식을 매도했다"고 설명했고 이어 "사외이사 1명의 경우 자사주 매각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본인이 자발적으로 공직자윤리법을 적용하여 주식을 매도했다"면서 "본부장 1명은 6월11일 공사를 퇴직함에 따라 보유하고 있던 자사주를 처분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유야 다 있지만 공교롭게 주가가 윤석열의 국정브리핑 때문에 급등했을 때 주식을 팔아먹은 것이라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이유도 있어 보입니다

 

일반인들보다 내부정보에 대한 접근이 쉬운 가스공사 임원들의 주식매도는 윤석열의 동해 석유 가스 개발이 세금도둑질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것 같습니다

 

진짜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엉망진창이란 생각도 들지만 세금도둑질로 팔자고칠 놈은 분명 나오는 것 같은데 이미 액트지오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은 팔자를 고쳤다는 뒷말이 나오고 있고 한국석유공사도 완전자본잠식으로 사업구조조정과 인력구조조정을 회피할 기회를 가지게 되어 결국 손해는 세금을 내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뒤집어 쓰고 글로벌 호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집권여당 국민의힘 의원들은 TK와 PK에 조 단위 자금이 풀릴 수 있다고 사업을 빨리 해야 한다고 나서고 있는데 납세자들은 안중에도 없고 세금도둑질에 더 눈이 가 있는 모습입니다

 

오죽하면 한국가스공사 임원들이 주가가 급등했다고 보유 지분 전부를 매도하는 먹튀를 할지 한심하기만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6월 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또 동결되면서 6월 금리인하는 확실하게 물 건너갔습니다

 

하지만 FOMC 이후 제롬파월 연준의장의 기자회견에서 이전보다 덜한 매파적 발언들로 최소 연내 1회의 금리인하 가능성을 살려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점차 낮아직 있고 EU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금리인하에 미국도 보조를 맞추려는 의도를 엿보인 것입니다

 

연준은 11~12일(현지시간) 이틀 일정으로 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5.25~5.5%로 유지하며, 7차례 연속 동결 결정을 내렸습니다

 

연준은 올해 개인소비지출(PCE)물가상승률을 2.6%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상승률은 2.8%로 상향 조정했는데 지난 3월보다 각각 0.2%포인트 오른 수치로 올해 실질 경제성장률과 실업률은 각각 2.1%, 4.0%를 유지했습니다.

 

점도표는 시장 예상보다 ‘매파적’이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비둘기 발언을 지속적으로 내놔 올 해 안에 기준금리 인하가 최소 1회 있을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살려냈습니다

 

5월 근원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3.4%로 월가가 집계한 예상치(3.5%)에 밑도는 수치가 나와 완만하게 나마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했습니다

 

제롬파월 연준의장은 5월 CPI수치가 연준이 기준금리인하를 선택하는데 용기를 얻을 수 있는 수치라는 뉘앙스로 말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안정되고 목표수치인 연 2%대로 낮아진다는 확신이 필요하다는 말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제롬파월 연준의장은 점도표를 설명하면서 기준금리 인하가 올 해 안에 이뤄질 수도 있고 내년으로 연기될 수도 있다고 말해 최소 1회 금리인하 가능성을 살려놓고 있습니다

 

연준은 이날 점도표에서 장기금리전망치(중립금리)를 2.6%에서 2.8%로 상향하기도 했는데 이는 고금리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예고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립금리는 경제가 과열되거나 침체하지 않고 잠재성장률을 달성하도록 하는 금리수준을 말합니다

 

파월의장은 기준금리가 다시 오를 수도 있다고 말했지만 연준위원 누구도 금리인상을 기본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미국경기가 고금리에도 기업실적을 유지하고 고용도 늘릴 수 있을만큼 펀더멘탈이 좋다고 보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의 방향에 따라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경계감을 갖고 있는 모습입니다

 

우리나라 한국은행은 경기침체에 너무 일찍 금리인상을 포기해 인플레이션도 못 잡고 경기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버려 통화정책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무능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미국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섰을 때 한국은행이 금리인하에 동참하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자극할 것으로 보여 자칫 경기침체를 공황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과 우리나라는 경제 펀더멘탈이 완전히 다른데다가 무능한 윤석열 정부가 시장변화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어 보여 앞으로 미국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우리나라 증시와 미국 증시의 디커플링은 더 커질 가능성이 크고 이에 ㄷ한 대비를 할 수 있어 야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