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대차가 올해 3분기 매출 42조9283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는데 하이브리드차(HEV)와 제네시스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확대로 매출액이 증가했고 다만 북미 지역에서의 충당금 반영 등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한 3조580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만큼 현대차는 리스크 관리 역량 제고, 내부 혁신 등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현대차는 24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액 42조9283억원, 영업이익 3조5809억원을 기록했고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5% 감소했습니다

 

현대차의 3분기 글로벌 도매판매는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성장률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글로벌 산업 수요가 역성장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한 101만1808대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공장 하계 휴가 및 추석 연휴 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형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필두로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HEV의 판매가 확대돼,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16만 9901대가 판매됐습니다. 

 

해외에서는 신형 싼타페, 투싼 페이스리프트의 인기에 힘입어 북미 지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30만 319대를 기록했으나, 중국과 유럽 지역의 수요 감소로 4.2% 하락한 84만 1907대가 팔렸습니다.

 

현대차가 북미지역에서 판매가 호조를 이루고 있지만 성장성이 큰 중국과 러시아 시장에서 판매가 급하게 둔화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하는 외국인투자자들이 많은 모습입니다

 

현대차는 인도법인을 뭄바이 증시에 상장시켜 4조 5천억원의 현금을 확보해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에 투자할 여력이 늘었고 인도시장에 재투자를 통해 110만대 이상으로 생산량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북미 그랜드 싼타페에 대한 선제적인 보증 연장 조치로 약 3200억원의 충당부채 전입액이 발생했고 이 결과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6.5% 감소한 3조 5809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영업이익률은 8.3%를 기록했고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 3697억원, 3조 2059억원입니다.

 

현대차의 판매 후 관리비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선제적 보증 연장 정책이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어 북미시장의 수익은 장기적으로 변동 될 수 있습니다

 

현대차는 주주 환원을 위한 올해 3분기 배당금을 지난 1분기와 2분기에 이어 주당 2000원으로 결정했고 이는 전년 분기 배당(1500원) 대비 33.3% 늘린 금액입니다

 

현대차의 실적이 나쁘지 않았지만 수익성이 하락하는 점에 주목하는 투자자들이 많은데 중국과 러시아시장에서 퇴출되다시피 해 경쟁이 치열한 북미시장에 의존하는 성장으로 수익성에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현대차의 인도시장은 수익성이 떨어지는 소형차 중심이라 수익성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현대차에게는 미래 성장성이 큰 중국과 러시아 시장이 다시 진출하기 어려운 시장이 되고 있어 외국인투자자들이 볼 때 성장성에 의문이 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현대차에게는 기회이자 위기가 동시에 찾아온 느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현대차 2024-q3-business-results-ko.pdf
1.0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4h1p7FCp7A?si=PLGfgDgPf28fCi1t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대우부품은 우신산업 계열의 자동차전장부품 및 콘덴서(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탄탈 콘덴서) 제조 판매업체로 자동차 전장부품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는데 최근 현대차와 기아와 1차 협력업체가 되면서 사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대우부품은 현대차와 기아 1차 협력업체가 되면거 현대차와 기아의 전동화 전략에 맞춰 건기차 부품의 수주와 생산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대우부품의 국내 주요거래처로는 한온시스템, HL만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등이 있으며, 해외 수출 거래처로는 Borgwarner, Ficosa 등이 있습니다.

 

대우부품의 주력 제품인 전기차 Heater류, 전기차 탑재형 충전기(OBC) 등은  대표적인 전기차 핵심 필수부품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전기차 대중화로 인해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신공장을 완공하고 하반기 10월부터 양산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대우부품은 여기에 전기차 부품을 납품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현대차와 기아향 전기차 히터류에 대한 10년 장기계약을 따내면서 전기차부품업체로 안정적으로 변신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최대주주를 대상으로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생산케파 증설을 위한 자금수혈을 마쳤고 본격적인 전기차부품사로 전환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전환사채 주식전환가격이 조정되면서 실적회복에 따른 주식전환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 약 300만주의 잠재물량이 있기는 하지만 현대차와 기아 전기차 부품 물량이 늘어나면서 무리없이 소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최대주주인 우신산업 계열사 아진카인텍이 장내 매수를 통해 지분을 꾸준히 늘리면서 단일 최대주주로 올라선 모습인데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를 위해 주가가 쌀 때 꾸준히 주식을 사들이는 모습입니다

 

대우부품은 올 하반기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공장에 전기차부품을 납품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상반기 보다는 하반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XJKfFnwWoU?si=15fadtRO11_1VX9d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아이씨는 현대차와 기아의 변속기와 엔진부품을 주로 납품하는 자동차 부품사로 굴삭기 부품도 생산하고 있는 자동차 및 중장비 파워트레인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기술력 있는 부품사로 최근에는 전기차와 EV감속기를 생산하고 로봇핵심부품인 로봇감속기 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는 부품사입니다

 

디아이씨는 지난 해 미국 자회사인 대일USA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단행했는데 이를 통해 미국내 자동차업체들과 전기차업체들에 부품을 대규모로 납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디아이씨는 올 해 2분기부터 미국 자회사 대일USA가 폭스바겐 공장에 기어부품을 납품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1976년 설립된 디아이씨의 매출액 85% 이상을 자동차부품이 차지하는데,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트랜시스, 한국GM 및 대형 부품 조립업체에 납품하고 일부는 미국, 일본, 유럽 등 해외에 직접 수출하고 있습니다.

 

디아이씨는 올 해 10월부터 양산에 들어가는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 전기차 기어와 EV감속기를 납품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미국법인인 대일 USA의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디아이씨는 신규사업으로 준비하고 있는 로봇 감속기 사업에서 산업용로봇과 협동로봇의 필수 부품인 고출력 사이클로이드(RV) 로봇 감속기 개발을 마치고 약 15종의 시스템과 상세부품 설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디아이씨의 실적 발목을 잡고 있던 중국법인 대일기배의 실적이 현대차의 대중국시장 전략 수정을 통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전체적으로 실적호전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GeSMUdpLwI?si=ot6LFPHC-yVDULmH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대우부품은 우신산업 계열의 자동차전장부품 및 콘덴서(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탄탈 콘덴서) 제조 판매업체로 자동차 전장부품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대우부품의 주력부품인 전해콘덴서는 자동차 전장화에 수혜를 입고 있는데 대우부품은 빠르게 전장부품사로 전화하며 각종 전기차부품을 개발 양산하는데 성공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대우부품의 국내 주요거래처로는 한온시스템, HL만도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등이 있으며, 해외 수출 거래처로는 Borgwarner, Ficosa 등이 있어 다양한 거래처를 갖고 있지만 현대차와 기아의 1차 협력사가 되면서 현대차와 기아의 전동화에 수혜를 입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해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최대주주의 비준을 강화하고 있는데 현대차와 기아와 전기차 부품 장기 계약을 체결하면서 실적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최대주주인 아진카인텍은 꾸준히 지분을 확대하고 있는데 시장 내 직접 취득이라 관련 공시를 계속 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우부품은 현대차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공장에 전기차용 배터리 히터를 올해부터 공급해 2030년까지 공급하기로 장기계약을 체결하여 실적호전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우부품은 현대차 미국 전기차 공장 가동의 수혜주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안정적인 일감 확보와 수익성도 빠르게 개선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에 따라 최대주주도 꾸준히 시장내 지분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AywFny8QQE?si=aaOg899Qm3LvEOM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자동차 내장재 전문기업 현대공업이 창립이래 처음으로 매출액 3,000억원을 넘어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현대공업 2023년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액 3,075억원, 영업이익 154억원으로 2022년 매출액 2,785억원, 영업이익 150억원 대비 각각 10.4%, 2.6% 상승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 4분기 연결기준 실적으로는 매출액 841억원, 영업이익 37억원으로 3분기 대비 매출액 23%, 영업이익 61% 증가한 수치이며, 4분기 영업이익은 미국법인 비용 증가, 일회성 단가소급 발생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현대차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공장이 올 해 10월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어 현대공업도 미국 조지아주 공장을 마련하고 공급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현대차 조지아주 공장에서 전기차 뿐 아니라 하이브리드카도 혼류 생산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조기에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여기에 내장재를 공급하는 현대공업의 실적에도 긍정적이라 생각합니다

 

현대공업이 내장재를 공급하는 아이노기과 EV시리즈의 판매호조가 이어지고 있어 현대공업의 성장성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현대공업 20231101 기업IR협의회.pdf
2.25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