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7xfGjDKKSsI

안녕하세요

건설현장의 시멘트 부족 사태가 대란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조금 빨리 찾아온 포근한 날씨에 건설현장이 공개를 재개하는 속도가 빨라진데다 지난해 광주 화정동 아이파크아파트 붕괴사고 이후 건설업계의 레미콘 제조용 시멘트의 투입비율 상향을 요구받아 평소 대비 더 많은 시멘트가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급처인 시멘트업계는 매년 상반기 진행되는 정기 대보수와 친환경 설비 구축으로 늘어난 수요에 대응하기 어려워졌는데 수요와 공급의 ‘미스 매칭’으로 두 업계 간 갈등으로 치닫고 있으며, 봄철 성수기를 맞은 건설현장에선 ‘시멘트 대란’이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올해 1~2월 기준 시멘트 생산은 655만 톤으로 전년 대비 2.3% 늘어났는데 시멘트 수요는 지난해 574만 톤에서 올해 636만 톤으로 10.8% 증가했습니다.

 

시멘트 재고도 2월 말 기준 전년 대비 20% 늘어난 약 90만 톤을 유지했지만 당장 이달부터 11월까지인 성수기의 안정적 재고량보다 적게는 10만 톤에서 많게는 30만 톤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90만 톤 중 시장재고 제외하면 실 시멘트 재고는 절반 수준이며 3월 들어 절반 이하로 감소하고 있고 시멘트 재고는 빠르게 소진되고 있으며 레미콘 업계 중심으로 가수요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공급부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레미콘업계는 시멘트 성수기를 앞두고 공급부족이 나타나고 있어 시멘트 가격 인상을 위한 인위적인 물량 조절이라고 시멘트업계를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건설현장의 시멘트 부족으로 공사중단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대한건설협회는 이날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최근 시멘트 공급 부족으로 10곳 중 6곳의 건설 현장이 중단·지연되고 있는 상황을 알렸습니다

 

정부는 수출용 시멘트를 내수용으로 돌리는 긴급처방을 내놓고 있는데 시멘트업계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환경투자로 생산라인의 가동을 멈추고 정기대보수와 환경투자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 증산에 어려움이 있다고 변명하고 있습니다

 

실제 시멘트 주요 7개 업체는 2021년 2월 ‘시멘트 그린뉴딜위원회’를 발족해 탄소중립 도전을 공동선언한 바 있습니다.

 

부동산경기침체와 부동산PF 부실화로 멈춰선 건설현장도 많지만 일부 건설현장은 더 어려워지기 전에 완공하려고 공사를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라 일시적으로 수요가 공급을 뛰어넘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신규주택 공급량도 급증하고 있어 더욱 시멘트 대란은 조장될 수 밖에 없어 시멘트주들의 실적호전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시멘트주

한일현대시멘트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쌍용C&E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6wLV6oYE3S4

안녕하세요

윤석열정부가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를 통한 도심 주택공급에 본격 나서기로 했는데 특히 신규 정비구역 지정 확대를 통한 5년간 전국 22만가구 공급 계획 중 10만가구가 서울에 지어지게 됩니다.

 

신규택지 15만가구를 신규 발굴하고, 통합심의 전면 도입과 청년원가·역세권 첫 집 주택을 통해 국민 주거안정을 실현한다는 계획입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민 주거안정 실현을 위한 윤석열 정부 첫 주택공급 대책인 '270만가구 공급' 청사진을 발표했는데 대책에는 국민주거 안정 실현 5대 전략으로 △도심공급 확대 △주거환경 혁신 및 안전 강화 △공급시차 단축 △주거사다리 복원 △주택품질 제고 등이 담겼습니다.

 

 
특히 원 장관이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을 하겠다"고 밝힌 바와 같이 주택 수요가 높은 도심공급 확대를 위해 '재개발·재건축 사업 정상화'에 공을 들였는데 국토부는 신규 정비구역 지정을 통해 향후 5년간 전국에서 22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으로, 그 중 10만가구가 서울에 공급하기 때문에 서울에 부동산투기 큰 시장이 열릴 것 같습니다.

 


2006년 법 제정 이후 한 번도 손질이 없어 과도한 부담금으로 재건축의 가장 큰 걸림돌로 여겨지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 부동산투기꾼들에게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개정되는데 현행 부과기준을 현실화하고 1주택 장기보유자와 고령자 등을 배려하는 한편, 임대주택 공급 등에 기여하는 사업장은 감면 방안을 추진하고 세부 감면 계획안은 오는 9월 발표될 예정입니다.

 


지난 정부에서 구조안정성 비중이 50%로 과도하게 높아진 안전진단도 제도개선에 착수하는데 구조안전성 비중을 30~40%로 조정하고, 공공기관 적정성 검토도 지자체 요청 시에만 시행됩니다.

 

 
공공 주도로 진행되던 도심복합사업을 민간에도 확대해 2023년 상반기 중 공모로 착수되는데 민간 개발에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가 적용되는 만큼, 공공임대 또는 공공분양 의무 기부채납으로 특혜 시비를 원천 봉쇄할 계획입니다.

 

 
정비사업의 빠른 공급을 위해 통합심의를 전면 도입하고, 소규모 재건축을 연접 복수단지에도 허용해 지원을 강화하는데  
안정적인 중장기 공급 기반 확보를 위해서는 2023년까지 15만 가구 내외의 신규 택지 후보지를 발굴하고 신도시 주민들의 서울 출퇴근 교통 향상을 위해서는 GTX-A노선 2024년 6월 이전 개통을 추진합니다.

 

 
최근 80년 만의 폭우로 대두된 반지하 등 재해취약주택 해소를 위해서는 9월부터 지자체·관계부처와 협력해 실태조사에 착수해 연말까지 종합 대책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끊어진 주거사다리 복원을 위해 맞춤형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는데 공공택지·도심정비사업 용적률 상향 기부채납 물량을 활용해 청년원가·역세권 첫 집 주택을 공급합니다.

 

 
또 공공과 민간 역할 분담을 통한 '내 집마련 리츠'라는 신개념 민간분양 모델도 도입하는데 임대기간 상승분이 반영돼 분양전환에 부담이 많이 되는 기존 모델과 달리 부담을 줄이는 게 포인트입니다.

 

 
이 외에도 주택품질 제고를 위해 층간소음 강화 주택과 주차 편의 제고 주택에는 분양가 가산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공공이매주택의 면적·품질 개선도 추진합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급 정책을 과거의 물량 위주에서, 주택의 품질, 정주환경, 안전, 주거복지까지 합쳐 근본적으로 혁신해 나가야 한다"며 "금번 대책에 많은 법률 개정 과제가 포함된 만큼, 국민의 주거안정 달성을 위해 국회 차원의 적극적 관심과 협조를 요청 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의 개정은 부동산투기꾼들의 투기수익을 그대로 인정하겠다는 것과 다름아니기 때문에 부동산투기를 본격 허용하겠다는 숨은 뜻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재개발과 재건축은 규제를 없애 허용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부동산투기수익은 국고에 환수하는 방식으로 해야 하는데 부동산 투기수익을 그대로 인정하겠다면 그렇게 공급된 주택들은 또 다시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 되어 일반 서민들이 넘볼 수 없는 대상이 될 뿐입니다

 

결국 부동산투기꾼들만 좋은 일 해 주겠다는 것으로 구체적인 내용없이 빈깡통이 요란한 것 같습니다

 

실제로 270만호 건설이 이뤄질 경우 노태우 정부 때 200만호 건설사업으로 건자재대란이 일어난 것처럼 시멘트와 건축자재대란이 불을 보듯 뼌해 보입니다

 

시멘트주의 경우 기후변화문제와 환경파괴문제로 규제가 가중되고 있어 실적우려가 큰데 결국 270만호 대책으로 규제해소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건자재 관련주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쌍용C&E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강남제비스코

삼화페인트

노루페인트

현대리바트

LX하우시스

KCC

와토스코리아

대림B&Co

대림통상

하츠

동양파일

삼일씨엔에스

한솔홈데코

이건산업

동화기업

220816(석간)_국민_주거안정_실현방안_발표(주택공급TF_등).pdf
0.53MB
220816(설명)_재해취약주택_해소를_위한_국토부_서울시간_협력_강화(주거복지정책과).pdf
0.1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TJpndaTBbc

안녕하세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시멘트 생산에 들어가는 유연탄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있어 시멘트 공급 대란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시멘트 생산 업체들이 쌓아놨던 유연탄 재고량은 바닥을 보이고 있는데 시멘트 생산량 급감에 따라 곧 전국의 공사 현장이 멈출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연탄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데 호주 뉴캐슬탄 6000㎉의 경우 이달 초 가격은 톤(t)당 427.5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찍었는데 유연탄 가격의 경우 올 1월 223달러, 2월 239달러 등으로 기록하며 종전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10월의 222달러를 넘어 계속 급등세를 보이고 있었 더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원자재 가격은 업체들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폭등하고 있는데 오른 원재료 가격을 판가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하는데 건설사들의 반대로 난항을 이루고 있어 공급대란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유연탄가격은 작년 60~80달러이었던 상황과 비교하면 현재 350불을 넘어가고 있는 것은 시멘트업체들의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연탄 주요 생산지인 러시아가 국제 제재를 받으면서 유연탄 수급에 불확실성이 커졌다”면서 “호주 등으로 대체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크게 올랐다”고 말했습니다.



원자재 수급이 꼬이자 시멘트 업체들은 생산에 직접적 타격을 보고 있고 이에 국내 주요 업체들의 재고는 크게 떨어진 상태입니다.

 

업계에선 쌍용C&E, 한일, 아세아 등 주요 업체들의 총 재고량은 대략 1일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하고 일부 업체는 이 때문에 출하 제한 등 조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 시멘트 업체 관계자는 “유연탄 수급 불안정과 봄철 건설 시기가 겹치며 재고가 크게 떨어졌다”며 “현재는 시멘트를 팔아도 손해를 보는 구조로 일부 생산량 조절 및 출하 제한 등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건설사와 시멘트업계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건설현장은 셧다운 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정작 문제는 시멘트 업체들이 가진 유연탄의 재고가 소진되고 있다는 사실로 업계는 유연탄 비축량을 약 한 달 정도로 보고 있는데 추후 상황의 개선이 없으면 건설 현장은 시멘트 대란에 셧다운에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시멘트가격은 당분간 지속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어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시멘트주

한일현대시멘트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쌍용C&E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sECB2YnmDrc

안녕하세요

한일시멘트가 자사주 매각 소식에 14.59% 폭락했는데 상장사가 자사주를 현금화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지만 시멘트 가격 인상 기대감에 주가가 급등한 상황에서 너무 성급하게 매각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7일 장종료 현재 한일시멘트는 전날보다 14.59% 폭락한 2만195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일시멘트는 전날 장후 시간외 대량매매를 통해 자사주 257만8100주(지분 3.7%)를 전량 매도한다고 공시했는데 처분 기간은 이날부터 2월4일까지로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한일시멘트 자사주 매각분 중 일부가 블록딜로 나왔는데 매각 가격은 2만3900원으로 전날 종가 대비 약 6.9% 할인된 가격입니다.

 

한일시멘트는 2020년 8월 에이치엘케이홀딩스를 흡수합병하면서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로부터 25만7810주를 매수했고 이어 지난해 9월 액면분할하면서 주식수가 257만8100주로 늘어났는데 당시 매수가격은 8만3859원이었고 액면분할한 주가로 환산하면 8400원가량으로 약 3배의 시세 차익을 낼 수 있는 상황입니다.

 

자사주 처분에 절차적인 문제는 없는데 한일시멘트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따라 자사주를 매수한 날로부터 5년 이내에 처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기자본 차감항목인 자기주식의 현금화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유동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했고 다만 최근 주가가 급등하자마자 자사주 매각에 나선 점이 뒤늦게 추격매수에 가담한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청천벽력같은 악재가 되고 있습니다.

 

한일시멘트 주가는 액면분할 후 재상장 당일인 지난 9월 13일 2만1700원에서 한달만에 1만5000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2만6000원까지 상승했는데 2월부터 시멘트업계가 가격을 인상 한다는 소식에 지난 5일에만 주가가 17.38%가 급등한 상황입니다.

 

한일시멘트의 주가를 액면분할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2020년 10월 28일 기록한 최저가 7,920원부터 생각한다면 회사 주가가 300% 가까이 일년 사이에 급등한 것으로 시멘트가격 상승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해 보입니다

 

오히려 주가가 이렇게 올랐을 때 자사주를 매각하지 않는 것은 경영진들이 배임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자사주 매각은 필요한 재무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난 해 11월 들어 시멘트 가격 인상 요구가 이어지면서 주가도 급등세를 나타냈는데 실제로 새해 들어 시멘트가격 인상이 주가를 끌어올리자 이제 호재성 재료가 다 나왔다는 인식이 있어 자사주 매도의 절호의 타이밍이 온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항상 주가가 상당히 오른 종목은 뒤늦게 뛰어들어가 먹을 것이 별로 없어 계륵과 같은 종목이라는 말이 있는데 지금 주가대가 박스권 상단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어 금리인상 시기에 박스권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nlN6oWjGcE

안녕하세요

시멘트 업계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격 인상에 나서는데 건설경기 회복으로 시멘트 수요가 급증한 데다 시멘트 제조에 쓰이는 유연탄 가격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가격인상 요인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최근 인도네시아산 유연탄 수출이 금지되는 등 원자재 수급 불안이 이어지고 있는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시멘트 가격 인상은 레미콘 가격과 PHC파일(콘크리트파일) 등 건설사에 납품하는 자재 단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집값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4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국내 1위 시멘트업체 쌍용C&E는 현재 t당 7만8800원인 1종 벌크시멘트 가격을 다음달부터 9만3000원으로 18% 인상하기로 했고 앞서 시멘트 업계는 지난해 7월 시멘트 공시가격을 t당 7만5000원에서 7만8800원으로 3800원(5.1%) 인상한 바 있는데, 7개월 만에 추가 인상에 나선 것입니다.

 

한라시멘트 역시 이달 25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순차적으로 18%의 가격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고 한일시멘트,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등 시멘트 제조사들 역시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014년 이후 수년째 동결돼왔던 시멘트 가격이 수개월 사이에 두 차례나 인상되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인데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작년 7월 가격 인상 이후에도 실제 레미콘 납품가가 t당 6만5000원 이하로 판매되면서 3배 가까이 인상된 유연탄 가격을 흡수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었다"며 "올해도 유연탄 가격이 150~200달러 수준에서 유지되면 시멘트 업계 전반이 경영 악화로 한계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는 위기의식 때문에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시멘트 가격 인상은 생산원가의 40%가량을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이 작년부터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영향이 큰데 석탄 전자거래 중개업체 글로벌 콜(global COAL)에 따르면 2020년 8월 t당 49.78달러였던 유연탄 가격은 지난해 말 기준 170.23달러로 1년 반 만에 3배 넘게 올랐고 특히 작년 10월 한때 222.35달러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기도 했습니다.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유연탄은 전력요금과 함께 시멘트 제조원가 변동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러시아산이 76%로 비중이 높지만 최근 러시아에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대체연료인 유연탄 가격에 기름을 붓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도 한파 여파로 석탄 가격이 오르고 유연탄 수요가 늘고 있는데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유연탄 수출업체들 요구로 올해부터 스폿 계약으로 전환하는 곳이 늘고 있다"며 "유연탄 가격 급등이 원가 부담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처럼 시멘트 제조업체들이 시멘트 출고가를 순차적으로 인상하겠다고 통보하자 시멘트를 받아쓰는 레미콘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는데 건설사들 역시 시멘트 출고가 인상이 아파트 등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멘트 업체들은 시멘트 가격 인상이 아파트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입장인데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30평형 아파트 한 채당 들어가는 시멘트 조달비용은 157만원에 불과하다"고 말해 분양가 인상을 변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멘트업계는 탄소저감정책에 따라 환경관련 비용도 급증하고 있어 시멘트 가격에 이를 반영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시멘트주

한일현대시멘트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쌍용C&E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10804_제6차_도심공공복합사업_후보지_선정(도심주택총괄과).pdf
0.71MB

안녕하세요

대선을 앞두고 공급 우위의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건설경기 회복 기대감에 시멘트와 건자재 관련주가 일제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28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장 종료 기준 한일시멘트는 전 거래일 보다 9.03%(1400원) 오른 1만69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성신양회는 3.35%(350원) 오른 1만800원에, 한일현대시멘트는 4.8%(1500원) 오른 3만2750원에, 유진기업은 2.3%(110원) 오른 4890원에, 삼표시멘트는 2.61%(120원) 오른 4725원, 쌍용C&E는 0.65%(50원) 오른 773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정부의 도심 공공주택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국토부가 선정한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만 56곳(7만6000가구)으로 지난달 당정에서 발굴한 9곳까지 포함하면 65곳(8만6000가구)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1호 사업지인 증산4구역의 시공권을 확보하려는 건설사들은 삼성물산GS건설, DL이앤씨, 대우건설, 포스코건설 등으로 알려졌습니다.

 

12월부터 내년 3월 대선시기까지 건자재는 품귀를 이룰 수 있다는 의견이 건설업계에서 나오고 있어 건자재 관련주들에 꾸준한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건자재 관련주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쌍용C&E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강남제비스코

삼화페인트

노루페인트

현대리바트

LX하우시스

와토스코리아

대림B&Co

대림통상

하츠

동양파일

삼일씨엔에스

한솔홈데코

이건산업

동화기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