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원통형배터리'에 해당되는 글 16건

  1. 2024.08.31 삼진엘앤디 삼성SDI 4680 원통형배터리 조기 상용화 수혜 기대감 2
  2. 2024.07.05 삼진엘앤디 삼성SDI 북미향 에너지저장장치ESS 대규모 수주 추진 수혜 기대감 2
  3. 2024.05.31 삼진엘앤디 사업구조조정 기업의 투자포인트 공부가 될 겁니다
  4. 2024.03.21 삼진엘앤디 삼성SDI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양산 수혜 기대감
  5. 2024.03.07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4" 참가 2025년 원통형배터리 양산 가능
  6. 2024.03.01 삼성SDI LFP배터리 조기 양산 착수 원통형배터리 시제품 출시
  7. 2024.02.18 LG에너지솔루션 미국 테슬라 원통형 배터리로 와신상담
  8. 2023.06.15 에이에프더블류 삼성SDI와 미국GM 미국 인디애나주 뉴칼라일에 배터리 합작 법인 설립 수혜 기대감
  9. 2023.05.16 삼진엘앤디 테슬라 4680 성능미달 삼성SDI 2차전지 납품 가능성 수혜기대감
  10. 2023.04.06 동국산업과 동원시스템즈 전기차용 2차전지 배터리 원통형 캔 제조용 니켈도금강판 생산 MOU 수혜 기대감
  11. 2023.03.25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애리조나주 7조 2000억원 투자 북미 최대 전기차배터리 공장 건설 결정
  12. 2023.03.08 삼진엘앤디 삼성SDI 원통형배터리 협력사업 부각
  13. 2022.06.17 에이에프더블류 테슬라향 원통형배터리에 음극 마찰용접 단자 독점 공급 급등세
  14. 2022.06.17 삼진엘앤디 원통형 배터리 시장 성장 수혜 기대감
  15. 2022.06.14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향 전기차배터리 증설 투자 단행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전기차 화재 사건이 일파만파로 커지면서 전기차 캐즘 현상으로 어려움에 봉착한 전기차 업계가 안전한 전기차 배터리 찾기에 본격 나서고 있습니다

 

꿈의 배터리인 전고체배터리가 안전한 배터리로 대두되었지만 아직 양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당장은 원통형 배터리가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46파이(지름 46㎜, 높이 80㎜) 원통형 배터리는 기존 주류를 이루던 2170 원통형 배터리를 확 키운 원통형 배터리로 아직 양산에 성공하지 못한 모델로알려져 있습니다

 

46파이는 기존 배터리 유형에 비해 에너지 효율은 물론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전기차 화재 문제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첨단 배터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업체 중 LG에너지솔루션이 올 해 12월부터 충북 오창 공장에서 삼원계 46파이 생산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고 삼성SDI는 원래 2026년 양산 목표를 세웠지만 전기차 업계의 요구에 따라 2025년 양산 목표를 앞당겼습니다

 

미국 테슬라가 자체기술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양산을 시도했지만 제대로된 수율도 못잡고 성능에서도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삼성SDI가 자체 개발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샘플을 보내 납품 가능성을 검토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실제 수주로 연결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경영권 승계와 주력사업 교체를 마무리하고 2차전지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키우고 있는데 현재 삼성SDI 원통형배터리 개스캣의 약 70% 물량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ESS케이스 사업도 하고 있어 원통형 배터리가 본격화 될 경우 확실히 2차전지 부품사업이 주력사업으로 커질 것 같습니다

 

삼진엘앤디는 2분기까지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당장 삼성SDI가 4680 원통형배터리 양산에 나설 경우 일정 물량 이상을 수주받을 가능성이 커서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의 주력사업이 교체되는 과도기이자 경영권 승계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있어 주력사업인 2차전지 부품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주가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ktoliQymebY?si=f-DtbGcR0fPMGyuR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진엘앤디는 삼성SDI의 협력업체로 오랜동안 삼성그룹과 협력해 온 기업으로 최근에 아버지에서 아들로 경영권이 승계되면서 대를 이어 삼성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버지대의 주력사업이었던 디스플레이 BLU 사업은 해외 사업만 일부 남겨두고 모두 정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아들 대에는 2차전지와 ESS를 주력사업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경영권 승계가 이뤄짐과 동시에 아버지 대에 부실을 만들던 사업들을 한꺼번에 정리하면서 회계에 반영하여 지난 해 실적은 큰 적자를 보이며 재무적 위험을 높이게 되었습니다

 

이런 빅배스를 할 수 있었던 배경은 삼진엘앤디가 해외에 투자해 놓은 중국법인 SM LCD 지분을 정리해 지난 해 한꺼번에 반영한 부실을 모두 만회할 수 있는 현금이 유입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SM LCD 지분 매각 과정에서 인수자 측과 협상이 길어지면서 3번의 정정공시를 통해 투자자들의 불신을 받으며 주가도 폭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SM LCD 지분 매각은 3번의 정정공시 끝에 현금이 유입되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제 2차전지와 ESS 사업에 본격적으로 자금을 투입하고 신규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자금을 마련하게 될 것 같습니다

 

최근 삼성SDI가 미국 NextEra Energy社와 ESS 장기 공급에 대해 협의를 하고 있는데 약 1조원 규모 에너지저장장치 수주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진엘앤디는 삼성SDI의 ESS케이스를 제작하고 있어 삼성SDI가 대규모 수주에 성공할 경우 상당한 수혜를 볼 것으로 보여 흑자전환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여기다 삼진엘앤디는 삼성SDI의 원통형배터리 뚜껑 가스켓에 대해 약 70%의 물량을 수주하고 있어 내년부터 양산을 준비하고 있는 전기차배터리용 4680형 원통형배터리 양산이 개시되면 또한 상당한 실적 수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테슬라향 4680형 원통형배터리 셀 샘플을 개발해 잠재고객사들에게 샘플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무정전전원장치UPS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배터리 부문을 새로운 주력사업으로 새롭게 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보여 하반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HqeITG8mA-Y?si=VCstC6CEhyeRy4p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진엘앤디는 주력사업이 전환되고 있는 상장사로 사업구조조정이 기업의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기업가치를 변화시키는지 잘 보여줄 사례라 예전부터 소개해 주었는데 개인투자자들은 이런 투자에 생소해 주가하락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제 책에도 밝혔듯이 주식투자는 마라톤과 같아서 긴 안목을 갖고 투자를 하는 투자자가 결국 수익을 가져간다고 말 해 왔습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는 매수하는 이유가 있다고 하면서 매수의 목적을 갖고 투자대상 기업에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우선 삼진엘앤디는 주력사업이 디스플레이 BLU에서 2차전지 부품으로 바뀌고 있는 과정으로 아직 규모의 경제에 대한 개념자체가 회사에도 부족한 상황인 것 같습니다

 

이경재 회장에서 아들 이명종 대표로 경영권 승계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최대주주 지분이 약 22%에 불과해 지분율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경영권 승계 과정에는 최대주주도 적은 비용으로 지분율을 높일 수 있는 시점을 따지게 되는데 지금 가격대는 경영권 승계를 위해 주가를 싸게 가져갈 타이밍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내가 주식을 사면 무조건 올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성질급한 투자자들이 많은데 결국 그런 투자태도가 수익보다 손실을 가져오는 결과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삼진엘앤디는 삼성과 끈끈한 관계를 맺어오고 있어 2차전지 부품사업으로 주력사업을 교체하면서 삼성SDI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어 삼성SDI의 성장과 함께 성장할 부품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대주주가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할 때까지 최대한 낮은 가격에서 야금야금 지분을 사 모으는 경우가 많은데 최대주주가 직접 취득할 경우 나중에 매도하여 차익실현 할 때 중과세 되기 때문에 차명계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최대주주 지분이 낮은 기업의 주가가 낮게 형성되고 경영권 승계가 이뤄질 경우 이를 의심해 보는 것도 투자자가 갑고 있을 태도 중에 한가지입니다

 

특히 삼진엘앤디처럼 주가가 상당기간 흘러내려간 이후 거래량이 급감할 경우 유통물량이 씨가 말랐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최대주주 경영권 승계도 완료되고 우호지분 확보도 완료되면 이후 호재성 재료를 내놓고 본격적으로 주가를 끌어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호재성 재료의 대표적인 사례는 재무구조와 실적으로 관련 뉴스가 어떻게 나오는지 잘 봐둘 필요가 있습니다

 

아울러 주가가 상당히 올라 투자자들의 관심이 많아졌을 때 나오는 호재와 주가가 낮을 때 호재는 의도가 다른 것으로 이를 이해 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 수익에 한발 다가가는 것입니다

 

거래량이 급감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매도호가에 대량매물을 내놓고 매수호가에 얼마나 붙는지 보면 알 수 있는데 주가를 끌어올리려는 큰 손은 수량을 다 체크하며 거래를 하기 때문에 호가에 나온 수량을 보면 지금 그 종목의 유동 주식수를 가늠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재무적으로 리스크가 없는 종목이 주가가 바닥권에 있다면 발목부터 상투까지 다 먹을 준비가 된 것으로 스마트머니부터 매수에 착수해 결국 유동 주식수가 씨가 말랐다는 사실을 확인하면 본격적으로 주가를 끌어올리게 됩니다

 

결국 주식투자는 매수와 매도의 힘싸움으로 매수세 강할 때 차익실현하고 매도가 강할 때 저가매수에 나서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내심이 있는 투자자가 결국 수익을 가져가게 되는 것입니다

 

삼진엘앤디는 초보투자자들이 장기투자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공부할 수있는 좋은 종목이라 소개한 것으로 공부가 되는 종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가가 장기간 하락해 매물이 씨가 마르고 매수에 자신이 없는 소외주가 되었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재가 모습

KB증권 창구에서 1,500주 자전거래 의심동향, 매물이 씨가 마르고 매수도 없다는 사실 확인

매도호가에 대량매물로 짓누르고 매수호가에 받쳐놔 마지막 매물을 빼앗으려는 의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XuQ703A9ao?si=RgEaX0WTM6ccNTLX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진엘앤디는 삼성전자와 삼성SDI를 주 고객으로 삼고 있는 정밀금형 및 사출업체로 최근 들어 전자부품사업을 키우고 있는 부품회사입니다

 

금형 설계부터 제작까지 할 수 있는 업체로 부품에서 완제품까지 할 수 있는 정밀금형에 유명한 회사이기도 합니다

 

현재 주요사업부문은 금형, 부품,  OA, 조명 4개 사업부문으로 나뉘어 있는데 부품사업부분이 전체 매출액의 약 60%를 점하고 있습니다

 

부품사업 중 2차전지 부분의 성장성이 커 보이는데 삼성SDI가 설계한 원통형배터리의 뚜껑 가스켓을 약 70% 독과점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다른 사업부분보다 2차전지 사업부분의 성장이 두드러진 것은 삼성SDI의 성장성이 크기 때문으로 원통형배터리 수요가 늘어날수록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삼진엘앤디의 기존 주력사업인 디스플레이 부품 사업이 LCD시장의 위축으로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삼진엘앤디 성장을 2차전지 부품사업이 담보하게 해 주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지난 해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하고 회계적으로 "빅배스"를 통해 과거 부실을 지난 해 다 떨어낸 것으로 평가되어 올 해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지난 6일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 개막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46파이(지름 46㎜) 배터리는 내년 초면 충분히 양산할 수 있다"고 밝혀 삼진엘앤디에게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기대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과거 부실을 지난 해 회계에 다 반영했가 때문에 올 해 실적에 대해서는 기대감이 큰 상황인데 주 고객사인 삼진엘앤디의 원통형 배터리 양산 확대와 현대차그룹과의 협력강화로 외형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진엘앤디20220120.pdf
0.8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ZK9gUoSpM60?si=JFuwFVDN5140Cfg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성SDI가 2023년 하반기 전기차 완성차 업체들의 재고조정과 투자이연 등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다가 2024년 다시 부활하는 한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주로 거래하던 해외 전기차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테슬라의 전기차 가격인하정책으로 전기차 신모델의 시장 런칭에 어려움을 겪고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에 납품가격인하를 요구하는 등의 어려움이 발생했습니다

 

삼성SDI는 국내 배터리 3사 중 현대차그룹과 거래하지 않아 내수시장이 없는 업체라는 오명을 쓰고 있었지만 지난 해 10월 현대차와 기아의 유럽공장에 P6각형배터리를 처음 납품하게 되면서 현대차와 기아에 전기차배터리를 납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에서 취재진을 만나 원통형 46파이 배터리 양산에 대해 “2025년 초면 충분히 할 수 있다”며 “양산 준비는 됐으며, 고객에 따라 양산 시기를 조절해 진행할 것”이라고 말해 원통형배터리에 대해 시장선점 가능성을 내놓았습니다

 

원통형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2170(지름 21mm·높이 70mm) 에너지 밀도와 용량을 대폭 키우며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데 기존 2170배터리에 비해 용량은 5배 출력은 6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여기다 삼성SDI는 전고체배터리에 대해서도 조기 양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기존 2027년 양산보다는 더 빠른 시기를 예상하고 있어 전기차배터리 시장에서 선두업체로 치고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이렇게 치고 나갈 수 있는 것은 현대차그룹과의 협력으로 신제품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기차 시장 선두업체와 협력관계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LG엔솔과 SK온은 시장 기득권을 갖고 있다고 전기차배터리 가격인하와 신제품 개발에 투자를 게을리하다가 삼성SDI가 현대차그룹과 협력관계를 맺자 부랴부랴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SK온은 삼성SDI의 현대차그룹 협력관계 수립으로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데 SK하이닉스와 함께 SK그룹의 골칫덩어리가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성SDI_20240312 하나증권.pdf
0.62MB
삼성SDI 2023.4Q_IR_Final_K.pdf
2.01MB
삼성SDI 20231128 유안타증권.pdf
0.61MB
삼성SDI 20240108 IBK투자증권.pdf
0.72MB
삼성SDI 20240130 삼성증권.pdf
0.59MB
삼성SDI 20240131 하이투자증권.pdf
1.0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SDI가 2024년 2차전지 사업에 가속도를 높이고 있는데 울산공장을 통해 LFP배터리 조기 양산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원통형 배터리는 시제품을 내놓고 고객사들의 평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지난해 충남 천안 공장을 통해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시제품 생산을 시작했는데 구체적인 규모와 시기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고객사들과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수주 논의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46파이 신규 수주를 통해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을 꾀하겠다는 게 삼성SDI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46파이 제품은 기존 원통형 배터리의 단점인 에너지 밀도를 개선한 게 특징인데 에너지밀도가 높아지면 배터리 출력이 높아져 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를 사용할 계획입니다.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는 2170(지름 21㎜, 높이 70㎜) 등 기존 제품보다 크기가 커진 만큼 에너지 밀도가 개선됐는데 대표적인 46파이 제품인 4680(지름 46㎜, 높이 80㎜) 원통형 배터리는 2170 제품보다 에너지 밀도가 5배 높고 출력은 6배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원통형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전기차 주행거리는 15~20% 늘어날 전망인데 기존 원통형 배터리의 장점인 대량생산을 통한 생산단가 절감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고객사인 미국 테슬라를 위해 원통형배터리를 조기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삼성SDI도 시제품을 내놓고 재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 삼성SDI는 LFP(인산철, Li-FePO4) 배터리 조기 양산에 나서고 있는데 해외시장에서 한국산 배터리는 고품질이지만 비싸고, 중국산은 품질은 떨어지지만 저렴하다는 인식이 퍼지며 중국산 배터리 채택 비중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LFP배터리가 기존 삼원계 배터리보다 가격이 약 30% 이상 싸기 때문에 전기차대중화와 같이가고 있어 국내 배터리 3사도 조기 양산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SDI도 1조원대 투자가 진행중인 울산 배터리 공장에서 LFP배터리를 오는 2026년경부터 양산할 방침입니다.

 

특히 삼성SDI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으로 먼저 양산에 나설 것으로 보여 가격이 싸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LFP배터리 조기양산에 나설 것으로 보여 중국산 LFP배터리와 국제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전기차 업체들이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배터리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고 미국 테슬라의 전기차 가격인하 정책으로 배터리 업체들에 대한 가격인하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ESS용으로 LFP배터리를 먼저 시장에 내놓고 이후 전기차용 배터리를 내놓는 전략은 조기에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중국산 LFP배터리들과의 가격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SDI가 현대차와 기아의 유럽공장에 각형배터리를 지난 해부터 납품하기 시작하면서 국내 공장에도 배터리 납품 가능성이 커지면서 삼성SDI의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삼성SDI를 이용해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의 전기차배터리 납품가격인하를 요구할 것 같습니다

 

삼성SDI는 현대차그룹과 협력을 강화하면서 내수시장이 새로 생기는 효과를 누릴 수 있어 실적면에도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국내 배터리사 가운데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가장 가까운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고 이와 관련 삼성SDI는 지난해 4·4분기 전기차용 파일럿라인에서 생산한 전고체 배터리 샘플을 고객사에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현대차그룹도 전고체배토리를 채용한 전기차 양산을 서둘러야 하기 때문에 삼성SDI와 사업협력을 서두를 수 밖에 없습니다

 

삼성SDI의 지난 해 4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45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저평가 구간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인터배터리 2024에 나올 배터리3사의 신기술과 신제품에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4PkMATLleY?si=iJ0I9PQEmPVrLuf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만년 2위였던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BYD에게 2위 자리를 내주며 3위로 내려앉아 시장에 충격을 주었는데 작은 국내 내수시장과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의 차이를 실감케 하고 있는 사례였습니다

 

중국 전기차배터리업체들도 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끓기면서 구조조정에 내몰리면서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데 LG엔솔과는 해외시장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전기차 시장 1위 업체인 미국 테슬라를 고객으로 모시면서 차세대 4680(지름 46mm·길이 80mm) 원통형 배터리 양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4680 배터리는 업계에서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로 현재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는 테슬라가 주도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4680 배터리는 기존에 사용됐던 1865(지름 18mm, 높이 65mm)·2170(지름 21mm, 높이 70mm) 원통형 배터리 대비 크기가 대폭 커진 것이 특징인데 2170 배터리 대비 에너지용량이 5배 크고, 출력은 6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22년 5800억원을 들여 충북 오창공장에 46시리즈 양산 설비를 구축했고 지난 10월에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2170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하려던 계획을 4680 배터리 생산으로 변경하기도 했습니다.

 

삼성SDI와 SK온도 4680 배터리 양산을 준비 중에 있지만 LG에너지솔루션에 비해 다소 시간이 필요한 상황인데 삼성SDI는 양산 시점을 2026년으로 설정했고 SK온은 양산 시점에 대해 아직 이렇다할 청사진을 제시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가격인하 정책을 펼치면서 신규로 전기차 시장에 진입하려는 기존 완성차 업체들을 괴롭히고 있는데 미국 테슬라는 개발비를 상각완료한 모델들을 가지고 경쟁하고 있어 새롭게 신규 개발한 전기차 모델로 테슬라와 경쟁하려는 미국 완성차 업체들은 가격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전용공장에서 올 해 10월부터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려는 현대차와 기아도 테슬라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가격인하가 필요한데 전기차배터리가 원가에 약 40%를 차지하고 있어 배터리업체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전기차배터리 업체들도 한참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가격인하 여력이 낮은 상황이라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전기차 시장 1위 업체인 테슬라에 원통형배터리를 납품하면서 가격 문제로 어려움이 있어 보이지만 인플레이션감축법IRA로 중국 배터리 업체에 보이지않는 진입장벽이 있어 한번 해 볼만한 상황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 물량을 받으면 현대차와 기아에 공급하는 원통형배터리도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규모의 경제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LG에너지솔루션의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다시금 늘려 2위 자리 탈환의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을 겁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2023년 잠정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455,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지금 주가는 저평가 구간에 들어가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 2023_company_profile_KO.pdf
3.18MB
LG에너지솔루션 20231026 키움증권.pdf
0.40MB
LG에너지솔루션 20231128 유안타.pdf
0.6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LKIo7RJtV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성SDI와 미국 완성차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가 미국 인디애나주 뉴칼라일에 배터리 합작 법인을 설립한다는 소식에 에이에프더블류 주가가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4일 오후 12시 23분 에이에프더블류의 주가는 전일 대비 500원(11.29%) 오른 493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에릭 홀콤 인디애나주지사는 13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삼성SDI와 GM이 미국 인디애나주 북중부 지역인 세인트조셉 카운티 내 뉴 칼라일에 배터리 합작법인을 건설한다고 전했습니다.



양사는 앞서 지난 4월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약 30억달러(약 4조원) 이상을 투자해 연산 30GWh(기가와트시) 이상 규모의 공장을 설립할 예정인데 30기가와트시는 전기차 약 30만대 분의 배터리셀을 양산할 수 있는 규모로 뉴 칼라일에 들어설 합작공장의 부지는 265만㎡ 규모로 축구장 390여개의 면적에 달합니다.



합작법인에서는 고성능 하이니켈 각형과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하는데 향후 출시될 GM 전기차에 전량 탑재될 예정입니다.

 


한편,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에이에프더블유는 국내 시장 내 음극마찰용접단자의 시장 점유율은 100%로 독점 생산하고 있는데 음극마찰용접단자는 삼성SDI의 1차 벤더인 신흥에스이씨, 중국회사인 섬서주신흥동력전지과기 등에 납품되며, 최종적으로 전기차인 BMW,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에 탑재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에이에프더블유는 각형 배터리 관련 기술이라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는 원통형배터리 증심으로 전환 과정에 있어 아직은 실적호전에 대해 불확실성이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이에프더블류 2019 유진투자증권.pdf
1.0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5nDgedeERC8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테슬라가 자체 생산한 4680 배터리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소식에 대안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테슬라 추적 트위터 계정 ‘트로이 테슬라이크(Troy Teslike)’에 따르면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제출된 4680 배터리 기반 표준형 모델Y 듀얼 모터 사륜구동(AWD) 주행 테스트 결과, 이 차량의 에너지 밀도가 2170 배터리를 장착한 모델Y 롱 레인지 AWD 대비 13% 낮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4680 배터리의 완전 상용화 시점이 불투명해졌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업계에서는 테슬라가 새로운 제조 파트너사를 물색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데 유력 후보군으로는 삼성SDI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지난해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직경 46mm 배터리를 처음 공식적으로 언급, 복수의 완성차 업체와 채용을 논의중이라고 밝힌 바 있고 천안 공장에 46파이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고 연내 시제품을 생산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지난 1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회동한 점도 이같은 관측에 힘을 싣고 있는데 이 회장이 머스크 CEO와 별도로 만난 적은 이번이 처음이라 이 자리에서 삼성SDI의 원통형배터리의 납품가능성을 타진했을 수 있습니다

 

삼성SDI가 국내 전기차 1위 업체 현대차와 기아에 전기차배터리를 납품하지 못하면서 해외 완성차 업체들을 파트너로 모시고 있는데 전기차 스타트업도 삼성SDI의 고객사들이기도 합니다

 

삼진엘앤디는 삼성SDI의 원통형배터리의 뚜껑부분의 약 70%를 납품하고 있어 삼성SDI의 고객사가 늘어나면 날수록 실적호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의 1분기 실적의 영업손실이 발생한 상황이라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주가는 할인되고 있는 사례입니다

 

삼성SDI가 테슬라 전기차배터리를 수주할 경우 삼진엘앤디는 수량과 단가가 급증할 수 있어 실적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Ni7TrUM6Io

안녕하세요

전기차용 2차전지 배터리 원통형 캔 제조용 니켈도금강판을 생산하기 위해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는 동국산업이 이미 알려진 동원시스템즈와의 공급 계약 외 다른 국내 업체들의 문의로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니켈도금강판이 필요한 고객사 입장에서 공급사 다변화로 수급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판단으로 관측됩니다.



6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동국산업이 니켈도금강판 생산시설을 완공하면 공개된 계약자인 동원시스템즈 외에도 다른 국내 업체들의 공급 관련 문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동국산업 관계자는 "니켈도금강판에 대한 문의는 동원시스템즈 말고도 국내 업체 미팅 중인 걸로 알고 있다"라며 "그런 문의가 충분히 있었고 이런 수요를 파악했기에 신규시설 투자를 진행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동국산업은 지난해 8월 포항공장 내 880억 원 규모의 니켈도금 설비를 투자하기 시작했는데 완공 목표는 2024년 10월 31일을 목표이며, 총 880억 원의 비용이 투입되는데 현재 완공시점을 앞당기기 위한 작업도 진행 중입니다.



니켈도금강판은 보통 전기차용 2차전지 원통형 배터리 케이스의 소재로 쓰이는데 일본에 1곳과 중국 1곳, 국내 1곳(TCC스틸), 기타 1곳 등으로 총 5개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원시스템즈는 지난해 7월부터 약 585억원을 투자해 충남 아산사업장 내에 21700(지름 21㎜, 높이 70㎜) 규격과 차세대 4680(지름 46㎜, 높이 80㎜) 규격 원통형 배터리 캔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증설했는데 올해 2월 완공한 신공장에서 오는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면 연간 약 5억 개의 원통형 배터리 캔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동국산업의 신규 투자 이후 양산이 이뤄지면 국내 2개 업체가 생산하게 되어 공급부족에 숨통이 트일 것 같습니다.



원통형 배터리 관련 주요 업체에서 북미·유럽에 공격적 투자 진행 중이며, 이에 따른 니켈도금강판 수요량 역시 급격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날 원통형 배터리 캔 제조업체인 동원시스템즈와 동국산업이 2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원재료 소재의 공급 및 판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것도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글로벌 전기차 원통형 배터리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108기가와트시(GWh) 수준에서 2025년 241GWh, 2030년 705GWh로 확대될 전망인데 연평균 성장률은 27%에 달합니다.



한편 동국산업의 지난해 매출액은 8605억 원으로 1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1억 원으로 96.6% 감소했고 회사 측은 지난해 원자재 매입 비용이 비쌌지만 판매가가 떨어지며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점유율 1위인 테슬라가 원통형배터리에 투자를 늘리면서 전기차시장의 트랜드가 원통형배터리로 흘러가고 있어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갈 것으로 보여 동국산업과 동원시스템즈는 실적호전의 호기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https://youtu.be/qCtGAR1KUdA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azNkSSutC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4일 이사회에서 미국 애리조나에 7조 2000억 원을 들여 북미 최대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짓기로 결정했는데 이 지역의 일곱 번째 생산 시설로 규모도 당초 계획보다 4배나 키우기로 했습니다.

 

북미 배터리 시장 성장세에 대한 LG엔솔의 확신을 엿볼 수 있는 투자로 2025년부터 배터리가 본격 양산되면 테슬라·루시드 등 미국 전기자동차 회사에 공급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해 원달러환율이 급등하면서 애리조나 공장 건설이 취소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이후 원달러환율이 안정화되면서 LG엔솔은 오히려 투자규모를 키워 7조 2000억 원을 투입해 신규 원통형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는데 생산 능력은 43GWh로 북미 지역에 위치한 글로벌 배터리 독자 생산 공장 중 사상 최대 규모의 공장이 될 것 같습니다.

 

테슬라가 주로 채용하는 원통형 배터리 공장은 올해 착공되는데 2170 원통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생산할 예정이며 테슬라를 비롯해 루시드·리비안·프로테라 등 미국 주요 전기차 회사에 공급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LG엔솔은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원통형 시장을 선도해 글로벌 최고의 배터리 기업으로서 위상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인데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시장은 지난해 36조8000억원에서 2026년 70조20000억원까지 2배 가까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LG엔솔은 또 글로벌 배터리 업체 중 처음으로 ESS 전용 배터리 생산 공장도 짓는데 3조 원을 투자해 총 16GWh 규모로 건설되는 이 공장에서는 LG엔솔이 독자 개발한 파우치형 LFP 배터리가 생산되며 2026년 양산이 목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G엔솔 관계자는 “전기차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북미에서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다"며 “이번 대규모 투자로 높은 품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LG엔솔은 전고체배터리 양산도 준비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삼성SDI의 양산이후 곧바로 LG엔솔도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럴 경우 LG엔솔 미국 공장들도 전고체배터리 양산시설로 개비하게 될 가능성이 커 2차전지 제조장비주들에게는 또 한번 큰 장이 설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https://youtu.be/k54I9xBxklo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5nDgedeERC8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입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삼성SDI의 2차전지 사업이 급성장하면서 삼성SDI와 2차전지 관련 사업협력을 하는 회사들이 대거 동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제 우리나라를 찾은 볼보의 짐로언CEO가 삼성SDI와 전기트럭 분야에서 사업협력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삼성SDI 협력사들이 동반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볼보의 전기트럭용 원퉁형배터리 개발을 완료한 상태로 알려져 양산에 착수할 경우 상당한 수량이 장기간 납품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삼성SDI가 2차 전지 사업을 한 지는 오래되었지만 전기차배터리에서국내 현대차와 기아에 납품하지 못하면서 내수시장이 없다는 취약성으로 후발주자 취급을 받았는데 최근 해외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모델 개발에 협력하면서 빠르게 거래처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가 원통형 배터리를 전기차 배터리의 기본으로 채택하면서 원통형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삼성SDI는 일찍부터 파우치형보다 원통형배터리에 투자를 늘려가고 있어 강점이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삼진엘앤디는 액정표시장치(LCD)와 2차전지 부품업체로 삼성SDI에 원통형 2차전지의 뚜껑 역할을 하는 가스켓을 70% 수준으로 공급하고 있는 독과점업체로 실적호전의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의 지난해 실적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올 해는 흑자전환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삼진엘앤디 20220120.pdf
0.81MB

https://youtu.be/-6cAYnz-XIw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_PAXPfjbJUw

안녕하세요

에이에프더블류는 삼성SDI가 테슬라 규격 원통형배터리를 생산한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2차전지에 전기가 통하도록 해주는 부품인 음극 마찰용접 단자를 독점 공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7일 장종료 현재 에이에프더블류는 전날보다 18.54% 오른 4115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가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중대형 원통형배터리 시장에 진출하는데 삼성SDI는 충남 천안공장에 원통형배터리를 양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 증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삼성SDI가 개발 중인 제품은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양극재가 적용되며, LG에너지솔루션이 내년에 양산하는 4680 배터리(지름 46㎜, 길이 80㎜)와 같은 크기이거나 비슷한 길이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시장 관계자들은 삼성SDI는 완성차 업체들이 다양한 모양의 배터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원통형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향 원통형배터리 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상황에서 삼성SDI도 생산에 뛰어들어 관련 소재와 부품사들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이에프더블류 IPO IR.pdf
7.8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ccpmVPX7uc

안녕하세요

삼진엘앤디가 강세로 삼성전자와 삼성SDI 등 삼성그룹이 전기차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는 소식에 삼성SDI에 원통형 2차전지 가스켓을 공급 중인 삼진엘앤디가 부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16일 오전 12시 40분 기준 삼진엘앤디는 전일 대비 12.60% 상승한 363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등 각사의 핵심 인력이 전기차 TF에 참여하고 있고 삼성SDI와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등 계열사는 전기차 배터리, 자율주행 칩, 차량용 반도체, 카메라 모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여러 핵심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삼진엘앤디는 삼성SDI에 원통형 2차전지의 가스켓을 70%가량 공급하고 있는데 원통형 배터리는 부피당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이 높은 점이 장점으로 테슬라와 리비안 등에서 전기차용 배터리로 채택하여 사용 중에 있는데 삼성SDI는 원통형 배터리 생산 글로벌 2위 업체입니다.

 

원통형 배터리에 대한 LG에너지솔루션의 대규모 투자가 테슬라향으로 알려지면서 원통형 배터리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삼진엘앤디와 섬성SDI가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ccpmVPX7uc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의 증설 결정 속에 엘앤에프와 나노신소재, SKC 등 밸류체인들이 14일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53분 엘앤에프는 전 거래일보다 7100원(3%) 오른 24만4000원에 거래 중이고 같은 시간, 나노신소재는 1500원(1.85%) 상승하며 8만2400원을, SKC는 3.55% 상승해 16만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LG에너지솔루션의 증설 결정에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는데 이 배터리의 부품을 이들 기업이 생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전날 오창2공장 신규시설투자 공시를 발표했는데 투자금액은 5818억원이고 투자기간은 이달부터 내년 10월까지로 투자목적은 원통형 4680배터리 공급으로 규모는 9기가와트아워(GWh)에 달합니다.

 

또 같은 날 보도자료를 통해 오창 1공장에 1500억원을 투자해 4GWh 원통형 라인을 증설한다는 2170 배터리 라인 증설도 발표했습니다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 공시의 최대 수혜는 LG에너지솔루션(셀), 엘앤에프ㆍLG화학(양극재), 나노신소재(CNT도전재), SKC(동박 실리콘 음극재)”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같은 시간 LG에너지솔루션은 전 거래일보다 15000원(3.61%) 오른 43만원에 거래 되고 있습니다

 

테슬라가 배터리 내재화를 선언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전기차배터리를 외부에 의존하고 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의 이번 투자는 장기간 파트너쉽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이라 증설이 끝나면 LG에너지솔루션 실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4680원통형배터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