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NLDZX6mxA8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새 GPU를 공개함과 동시에 로봇을 대표적인 신사업으로 공개했는데 최태원 SK회장이 젠슨 황 CEO와 만나 피지컬 AI분야에서 협업하는 것을 약속했다고 밝혀 국내 로봇주 전반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번 회동을 기점으로 SK가 엔비디아 로봇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확보한 것으로 젠슨 황은 "한국은 제조업이 강한 만큼 코스모스 플랫폼과 연관되어 앞으로 사업을 같이 해보면 좋겠다"고 언급했는데 코스모스는 엔비디아가 CES에서 공개한 가상 세계 플랫폼으로 AI 로봇의 훈련에 사용되는 플랫폼입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고 있고,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에 설치될 예정으로 양사의 협력관계는 로봇분야 피지컬 AI 분야로 확대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도 ‘CES 2025’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8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를 열고 가정, 상업, 산업용 로봇 가운데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형태의 가정용 로봇을 먼저 공략할 것으로 알렸는데 가사 일을 전담하는 가정용 로봇을 내놓을 것을 예고했습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CEO) 사장이 기존 물류, 배송, 서빙용 로봇에 더해 '로봇의 끝판왕'으로 일컫는 휴머노이드까지 진출하겠다는 소식과 함께 로봇사 지분 투자를 추가로 할 수 있다고 밝혀 삼성전자가 지난 연말 레인보우로보틱스 콜옵션을 행사해 최대주주에 오른 것 같이 LG전자도 공격적으로 로봇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대기업들의 로봇시장 진출 소식과 지분취득 소식은 국내 상장된 로봇 핵심 부품인 로봇감소기 등을 국산화한 부품기업들에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로봇시장 전반에 대기업 M&A가 주가 상승의 동인이 되고 있는데 LG전자가 2대 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종목들이 급등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로봇관련주

유진로봇

로보스타

로보티즈

로보로보

티로보틱스

티라유텍

에브리봇

알에스오토메이션

레인보우로보틱스

휴림로봇

클로봇

에스피지

에스피시스템스

유일로보틱스

서암기계공업

제우스

퍼스텍

라온테크

푸른기술

아진엑스텍

씨유메디칼

큐렉소

미래컴퍼니

고영

TPC

현대무벡스

아진엑스텍

엔젤로보틱스

하이젠알앤엠

케이엔알시스템

로봇 20241031 삼성증권.pdf
1.9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Rzkqty7pV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엔젤로보틱스는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을 기반으로 지능형 웨어러블로봇을 개발하는 로봇회사로 핵심제품인 'angel MEDI(재활의료 전문 웨어러블로봇)"을 비롯해 ‘angel GEAR’(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SUIT’(일상생활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KIT’(모터드라이버, 스마트구동기 등 로봇 핵심부품)를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국방용 웨어러블 로봇 관련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설립 초기인 2017년 5월, LG전자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아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고 2020년 9월 세브란스 재활병원에 angel MEDI를 공급하여 실제 의료현장에서 검증받은 이력을 갖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엔젤렉스(angel MEDI 제품)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3등급 품목
허가를 획득하여 건강보험 급여적용이 가능해져 판매량 증가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엔젤로보틱스는 웨어러블 로봇 분야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술성장기업 특례상장
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엔젤로보틱스 주요 고객은 종합병원, 재활기관, 장애인 복지관, 요양병원, 재활병원, 대학교로 엔젤로보틱스의 거래 고객수는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2022년 12월 동사가 엔젤렉스(angel MEDI 제품) 관련해서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3등급 품목
허가를 획득하여 건강보험 급여적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웨어러블로봇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엔젤로보틱스 뿐 아니라 대기업들도 속속 웨어러블 로봇시장에 진출하고 있고 삼성전자도 '봇핏'이라는 웨어러블 로봇을 내놓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의료용 재활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아직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고있는 실정으로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마케팅 부족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의 2대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LG전자가 인수해 줄지 의문이 들고 있는데 웨어러블로봇 시장으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재활의학 분야의 좁은 시장으로는 성장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군사용 웨어러블 로봇같은 대량 납품이 가능한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독자적인 생존능력을 검증 받을 수 있을 겁니다

 

엔젤로보틱스는 관련 기술을 갖고 있지만 돈은 못 버는 바이오신약개발사와 마찬가지로 시장진입이 쉬운 웨어러블로봇 시장에서 독자적으로 살아남기에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성장기대감이 아니라 수익이 나는 실적외형을 보여줘야하는데 외형성장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습니다

 

격년으로 열리는 일본 동경로봇전시회iRex에 가보면 넘쳐나는 것이 웨어러블로봇이라 엔젤로보틱스가 과연 이런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자기만의 시장을 찾을 수 있을 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엔젤로보틱스_IR Book.pdf
8.39MB
엔젤로보틱스20240926_기업IR협의회.pdf
1.9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XyUoEpOBL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웨어러블(착용형) 로봇 전문기업 엔젤로보틱스 주가가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는데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엔젤로보틱스에서 개발 중인 '워크온 슈트'를 착용하고 걷는 사실이 공개되었기 때문입니다

 

웨어러블(착용형) 로봇 전문기업 엔젤로보틱스가 최근 대전에 문을 연 로봇기술 선행연구센터 '플래닛대전'에서는 출시가 임박한 일상용 웨어러블 로봇 '엔젤 슈트(angel SUIT) H10'를 비롯해 '워크온 슈트' 등이 상용화를 위한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워크온 슈트'는 하반신 마비 장애를 지닌 환자가 착용할 경우 직접 걸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데 웨어러블 로봇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엔젤로보틱스은 교통사고로 전신마비가 된 환자를 움직이게 할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을 제작하고 2016년 스위스 '사이배슬론(cybathlon)' 대회에 참가해 '착용형 로봇' 종목에서 입상하기도 했습니다.

 

워크온 슈트는 하반신 마비 장애인이 로봇에 몸을 완전히 의지해 보행이 가능한 외골격 보행보조 로봇으로 휠체어에서 바로 로봇을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을 때는 휴머노이드처럼 자가보행도 가능한 로봇입니다.

 

엔젤로보틱스가 하반신 마비 장애를 지닌 환자도 직접 걸을 수 있도록 돕는 '워크온 슈트'를 공개하면서 증시에서 엔젤로보틱스의 수익성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기술력은 있지만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해 적자를 지속하고 있는데 웨어러블로봇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들의 사용상 편리성을 높여 노인들이나 환자들이 손쉽게 착용하고 활동할 수 있게 개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웨어러블로봇 시장에 경쟁자들이 많은 상황으로 아직은 춘추전국시대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노인인구가 많은 일본에 경쟁사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엔젤로보틱스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2대주주인 LG전자와의 사업협력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는 히트상품을 내놔야 할 상황으로 '워크온 슈트'는 하반신 마비 환자들이 그토록 원하는 자기보행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수요가 확실히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엔젤로보틱스 20240306_유진투자증권.pdf
3.82MB
엔젤로보틱스 IPO IR.pdf
10.5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클로봇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절차에 본격 돌입했습니다

 

증시에 상장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유가증권을 발행하려는 기업은 금융위원회에 기업등록을 해야 유가증권을 발행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됩니다

 

비상장기업을 싸게 살 수 있다는 전화를 받으면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기업인지 물어 보고 제대로 답을 못 받는 경우가 많은데 일종에 주식사기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클로봇은 이번 상장을 통해 총 30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희망 공모가 범위는 9400~1만 900원, 총 공모금액은 282억~327억원으로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이후 일반투자자 청약을 거쳐 10월쯤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인데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입니다

 

최근 들어 증시에 로봇 테마주가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데 이는 일종의 전기차 시장의 캐즘현상과 비슷한 현상으로 산업현장에서 인간노동을 대신해 로봇 노동을 투입하고 싶어도 생산현장의 노조 반대로 로봇 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노동현장에서 유리된 인간의 생계가 걸린 문제로 생산공장의 오너는 24시간 전기만 넣어주면 파업이나 휴식시간 없이 계속 일할 수 있는 로봇을 통해 생산성을 이론상 무한히 개선할 수 있지만 이렇게 생산된 재화가 수요를 초과해 결국 공급과잉을 가져오고 공황으로 이끌 수 있다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의 생계문제가 이슈가 되는데 각자도생으로 알아서 하라고 하면 극단적인 벼랑으로 내몰릴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유럽은 일찍부터 이런 변혁의 시대를 겪어 봤기에 로봇세와 같은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의 전업과 전직을 위한 자금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런 배려가 전혀 없어 여전히 각자도생의 시대를 살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로봇을 본격적으로 노동현장에 투입하고 싶은 사측과 일자리를 지키려는 노측의 이해상충의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여간 2017년 창업한 클로봇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 242억원을 달성하며 2020년부터 4년간 연평균 79%의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고 현재 130여곳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현대차, 보스턴 다이나믹스 등과는 주요 프로젝트를 통해서 사업 협력 중에 있어 성장성이 큰 로봇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클로봇은 현대차그룹 제로원, 네이버 D2SF, 롯데벤처스 등으로부터 누적 32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올해 2월엔 평가기관 2곳의 기술성 평가를 각각 ‘A, A’로 통과해 사업성과 기술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물론 기술성 검증을 통과해 실적과 상관없이 상장한 기업이 상장 첫해 대규모 적자를 내는 경우가 많아 클로봇 또한 우려되는 바가 있는데 공모자금으로 조기에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수익성을 개선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하면 경쟁에서 뒤쳐질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클로봇의 상장으로 서비스로봇에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 테슬라도 로봇을 전기차처럼 판매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라 서비스로봇에 대한 시장 관심이 큰 상황입니다

 

클로봇의 IPO 단계가 진행될수록 증시 내 로봇관련주에 관심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로봇관련주

유진로봇

로보스타

로보티즈

로보로보

티로보틱스

티라유텍

에브리봇

알에스오토메이션

레인보우로보틱스

휴림로봇

에스피지

에스피시스템스

유일로보틱스

서암기계공업

제우스

퍼스텍

라온테크

푸른기술

아진엑스텍

씨유메디칼

큐렉소

미래컴퍼니

고영

TPC

현대무벡스

아진엑스텍

엔젤로보틱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