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DYuas3R27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창투사들이 지난 연말 윤석열의 불법비상계엄 이후 바닥을 찍고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실적 바닥을 보았다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경기침체로 창투사들이 투자한 회사들이 부실화되거나 어려움에 봉착하면서 창투사들 실적도 지난 해 바닥을 찍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금융기관들이 우리나라 경제성장율을 일제히 내리고 있어 경기부양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한국은행도 인플레이션을 잡기보다는 경기부양에 무게를 싣고 있는 모습입니다

 

씨티은행은 연 1.6%에서 연 1.4%로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잡고 있고 JP모건은 1.3%dptj 1.2%로 낮췄고 바클레이즈은행은 1.8%dptj 1.6%로 낮추는 모습입니다

 

우리나라 경기가 침체로 빠져드는 것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는 모태펀드에 1조원을 신속하게 시행하고 이를 통해 신규 벤처펀드를 1.9조원 규모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환율변동피해를 본 기업들을 위해 1.5조원의 정책자금을 지원하기로 한 상황입니다

 

여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예산안에서 창업 R&D 자금을 증액하며 스타트업과 중소벤처기업들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5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할 경우 2.75%대 기준금리로 낮아줘 유동성이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습니다

 

창투사들은 증권주와 함께 시중 유동성 증가의 수혜주로 꼽히기 때문에 실제로 금통위에서 금리인하를 할 경우 유동성 장세의 수혜주가 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벤처캐피탈(VC) 창투사

컴퍼니케이

나우IB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린드먼아시아

솔본(솔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대성창투

SBI인베스트먼트

캡스톤파트너스

HB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250106__2025년_중소벤처기업부_주요_현안_해법_회의((전략총괄과).pdf
0.31MB
중소벤처기업부 20250108_주요_현안_해법회의_(경제1분야).pdf
0.3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1wj4VLLFOO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일 “여야정 3자의 비상경제점검회의를 구성하기를 요청 드린다”고 밝혔는데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제 문제가 너무 심각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예견한 대로 탄핵무산 블랙먼데이가 현실화 됐다”며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의 폭락을 우려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더 이상의 혼란을 막기 위해 국민의힘 의원들의 탄핵찬성을 요청하며 여야정 3자의 비상경제점검회의를 제안하고 시작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1일 '여야정 비상경제점검회의 구성'을 제안하고 “반도체와 중소·벤처기업들이 생존기로에 놓여 있다”면서 “이들에 대한 특별자금 지원방안을 살펴보겠다”고 발언하면서 창투사들에 대한 저가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창투사들은 금리인하가 시작되면서 펀드결성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경기침체와 윤석열 비상계엄과 같은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연중 최저가까지 폭락한 상태였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메세지는 창투사들에게 한줄기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벤처캐피탈(VC) 창투사

컴퍼니케이

나우IB

LB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HB인베스트먼트

스톤브릿지벤처스

아주IB투자

린드먼아시아

캡스톤파트너스

솔본(솔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대성창투

SBI인베스트먼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초고주파 통신 장비 업체 센서뷰와 웹툰 제작사 와이랩이 10일 일반청약일정에 돌입하면서 하반기 기업공개(IPO) 일정이 본격화됐고 같은 날 파로스아이바이오와 버넥트, 뷰티스킨 역시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에 들어갔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신규 IPO 종목의 상장 당일 가격제한폭이 최대 400%까지 확대되며 변동성이 커진 만큼 따상에 대한 기대감은 상대적으로 낮아진 측면이 있습니다

 

상장심사를 통해 해 6개월 내에 상장해야 한다는 규정으로 올 상반기 상장심사를 통과한 종목들이 대거 몰려서 상장을 추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이번에 상장하는 종목에 투자한 창투사들의 주가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창투사들에게 투자기업의 IPO는 시장을 통해 차익실현의 기회가 되기 때문에 실적호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됩니다

 

창투사들도 투자기간에 따라 의무보호예수 기간을 두는데 최대 6개월 정도 의무보호예수를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3개월 미만으로 의무보호예수 기간을 설정하고 이후 대부분 차익실현에 나서는 경우가 많아 보입니다

 

센서뷰는 고주파 영역에서 신호손실을 최소화하는 무선주파수(RF) 연결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5세대 안테나 및 반도체 측정 장비 등을 생산하고 지난해 매출 56억3900만 원, 영업손 144억8300만 원을 기록했으며 공모금액은 175억5000만 원입니다.

 

와이랩은 네이버웹툰에 콘텐츠를 공급하는데 지난해 매출액 297억8100만 원에 영업손 4억3500만 원을 기록했고 총 공모금액은 270억 원입니다.

 

센서뷰와 와이랩은 먼저 진행한 기관 대상 수요예측에서 희망밴드를 웃도는 가격에 공모가를 확정하며 일찌감치 IPO 흥행을 예약했는데 센서뷰는 4500원(희망밴드 2900~3600원), 와이랩은 9000원(7000~8000원)으로 공모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게 결정되어 따상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지만 두 회사다 적자 회사라는 측면에서 상장 후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 따상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말도 있습니다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인 파로스아이바이오와 확장현실(XR) 기업 버넥트, 화장품 제조사 뷰티스킨은 이날부터 수요예측 일정에 돌입했습니다.

 

지난달 26일부터 신규 IPO 종목에 한해 가격제한폭이 60~400%로 확대됐으나, 이후 상장한 시큐센(232830), 이노시뮬레이션(274400), 알멕(354320) 등은 높은 상승률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IPO과정에서 공모가격 밴드를 결정하는 시기에 시장이 약세를 나타내 공모가격이 낮게 형성된 몽목들은 상장 후 주가 상승세가 좋게 나타나 공모주 청약자들에게 큰 수익을 가져다 주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하반기가 시작되는 7월 한 달 간 12개 기업의 수요예측이 진행되는 데다 5개 기업이 상장하는 등 IPO 일정이 집중되는 만큼 유망 종목을 잘 살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는데 청약금이 분산돼 기대만큼 상승률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나옵니다.

 

신규상장종목들의 공모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기 때문에 상장 후 공모가를 상회할 수 있는데 실제 큰 수익은 창투사들이 가져갈 수 있어 신규상장종목이 늘어나면 창투사들의 주가가 들썩거리게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벤처캐피탈(VC)

컴퍼니케이

 LB인베스트먼트

나우아이비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스톤브릿지벤처스

우리벤처파트너스

SV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린드먼아시아

솔본(솔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대성창투

SBI인베스트먼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neBeLk-QlA

안녕하세요

구글이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하고 키우고 있는 오픈AI의 챗GPT에 대항하는 인공지능AI 챗봇 "바드BARD"를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참여자들이 챗GPR 관련주 찾기가 하나의 테마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창투사들은 장외의 인공지능AI 관련주들에 투자해 놓고 있어 휼륭한 간접투자 대상이 되고 있는데 토종 인공지능AI 챗봇 개발 기업 페르소나AI에 대한 투자기업을 찾는 것이 하나의 유행이 되고 있습니다

 

페르소나AI는 AI 엔진(아리엘)을 자체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챗 GPT와 같은 한국어 챗봇을 개발해 일부 납품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실제 매출까지 일으키고 있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린드먼아시아도 페르소나AI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TS인베스트먼트는 페르소나AI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온다플랫폼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시장참여자들의 묻지마 매수가 유입되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AI 분야는 아직 수익성에서 제한이 가고 있고 완전한 검증이 된 분야는 아닌데 어학 분야나 콜센타를 대체하는 수준의 수익성을 보이고 있는 정도입니다

 

아직은 2년전 메타버스 바람과 같은 수준의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람을 타고 급등할 때는 좋지만 바람이 꺼지면 아무도 더 비싼 가격에 사주지 않는 시점이 오고 상투에 물린 자신을 돌아보게 될 것입니다

 

아마도 조만간 시장에 개나 소나 인공지능AI 사업을 한다고 손들고 나설 때가 올텐데 그때가 상투가 되는 시점이 될 것입니다

 

린드먼아시아의 2022년 온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4,500원 정도로 오늘 상한가로 오버슈팅 구간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올 해 실적이 작년보다 좋아지지 않는다면 주가는 흘러내릴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에 국내 창업투자회사(이하 창투사) 주가가 치솟고 있는데 '포스트 쿠팡'을 발굴한 창투사는 '대박'을 칠 것이란 기대감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분 투자를 하는 창투사의 경우 지분율 만큼 수익이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고 또 상장 전후 주가 변동성도 조심해야 합니다.

2일오후 2시 26분 아주IB투자는 전 거래일 대비 800원(12.23%) 급등한 7340원에 거래되며 장중 역대 최고가 768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대성창투도 930원(21.78%) 뛴 5200원에 거래되고 있고 DSC인베스트먼트는 24.62% 뛴 7310원에 거래 되고 있습니다.

이외 SBI인베스트먼트(5.92%), TS인베스트먼트(29.86%), 린드먼아시아(14.13%), 큐캐피탈(2.71%) 등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스틱인베스트먼트를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는 디피씨도 4.67% 급등했습니다.

이들 창투사 주가가 크게 오른 이유는 쿠팡의 성공적인 뉴욕증시 상장 이후 유니콘 기업들의 미국 증시 상장 추진 소식과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경신이 재료가 되고 있습니다

쿠팡은 지난 달 11일(현지시간) NYSE(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는데 공모가 35달러로 시가총액 600억달러(약 68조원)로 데뷔했고 상장 규모는 1억3000만주, 45억5000만달러에 달합니다.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으로 주요 투자자인 일본 소프트뱅크는 큰 수익을 거뒀는데 미실현 이익 규모만 160억달러 규모로 추산됩니다.

상한가를 기록한 아주IB투자는 연내 IPO(기업공개)를 추진 중인 야놀자에 투자하고 있는데 올 하반기 IPO(기업공개) 대어인 게임 개발사 크래프톤에도 투자했고 대성창투도 크래프톤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DSC인베스트먼트는 최근 미국 나스닥 상장 계획을 밝힌 마켓컬리 운용사 컬리에 투자하고 있고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동남아 최대 카쉐어링 업체 그랩에 투자 중이며 그랩은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입니다.

최근 IPO 흥행 사례도 창투사 투자를 이끌고 있는데 지난주 진행된 SK바이오사이언스 일반공모 청약에 약 64조원의 청약 증거금이 몰려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기관 수요예측도 치열해 1000 대 1를 넘어 공모가까지 희망밴드를 뚫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창투사 투자는 주의가 필요한데 지분 투자를 하는 창투사 특성상 상장으로 인한 수익도 그만큼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지분율을 살펴야 합니다.

아주IB투자와 TS인베스트먼트의 경우 크래프톤 주요 주주(지분율 5% 이상)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고 DSC인베스트먼트 역시 컬리의 주요 주주가 아닙니다.

지난해 빅히트에 투자했다는 이유로 급등했던 디피씨 역시 마찬가지로 당시 디피씨는 자회사인 스틱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빅히트를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에 빅히트 IPO 전 주가가 급등했는데 당시 디피씨 주가는 2만1900원까지 뛰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디피시의 투자 구조를 살펴보면 이 같은 투자 열기는 의문인데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스틱스페셜시츄에이션 사모펀드를 조성해 빅히트 주식 21만6430주에 투자했고 지분율 12.2%로 해당 사모펀드의 스틱인베스트먼트 지분율은 2.01%였고 실제 디피씨에 돌아가는 수익은 거의 없습니다.

이후 디피씨 주가는 곤두박질치며 지난해 연말 1만원 아래까지 떨어졌습니다.

최근에는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가 미국증시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리에 더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데 발행시장이 유통시장에 후행하는 시장 특성 상 창투사들의 급등은 이미 예견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기자본으로 투자한 경우는 수익을 창투사가 그대로 인식할 수 있지만 투자조합을 통해 투자한 경우 수익 인식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최근의 창투사 주가 급등은 투자기업의 EXIT구조가 다양하게 나올 수 있어 리스크가 그 만큼 헷지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벤처캐피탈(VC)

컴퍼니케이

나우아이비캐피탈

미래에셋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린드먼아시아

솔본(솔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우리기술투자

대성창투

SBI인베스트먼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