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4WG-xEZya4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와이투솔루션은 LG전자에 디스플레이용 PSU을 주로 납품하는 부품업체로 오랜 업력과 기술력으로 인정받고 있는 회사입니다

 

최근 주요 고객사인 LG전자의 가전판매량이 증가하면서 PSU의 판매도 증가하고 있어 실적회복세가나타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와이투솔루션의 모회사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을 제조하는 덕우전자로 LG전자의 스마트폰 철수 이후 자동차 전장부품쪽으로 주력사업을 전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와이투솔루션도 덕우전자와 함께 전기차 충전기 파워모듈 개발에 나서 세계 최초로 전기차 충전기용 35㎾ 직류전원장치(SMPS)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와이투 솔루션은 현재 국내외 충전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30kW를 개발 중인 가운데 50kW 파워모듈도 개발해 초급속 충전 시장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와이투솔루션이 개발한 전기차용 충전기는 과충전방지장치가 들어 있어 최근 벤츠 전기차 화재로 이슈가 되고 있는 과충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 정책으로 과충전방지장치가 부착된 스마트제어형 충전기 보급을 의무화하기로 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어 기존 완속충전기를 전력선통신(PLC)모뎀을 탑재한 스마트제어형 충전기로 교체하는 사업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을 확정, 발표했습니다

 

와이투솔루션은 기존 완속충전기 교체사업과 신규 전기차충전기 보급에 대한 기대감이 컸지만 최근 현대차가 전기차 가격인하와 충전시간 단축을 위해 "전기차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어 전기차충전기 보급에 투자가 위축될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소유권을 배제하면 판매가격이 약 40% 정도 저렴해져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기게 되고 배터리 교체 서비스가 이뤄지면 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전기차 충전소가 그렇게 많이 필요없기 때문입니다

 

전기차배터리의 소유권과 관리책임을 소유권자에게서 배제하면 이번 벤츠전기차 화재사건처럼 관리책임으로 인한 혼란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와이투솔루션의 주가가 오르다 마는 것도 이런 불확실성이 대두되며 투자자들이 매수를 망설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와이투솔루션의 2분기 실적 대비 현저하게 저평가된 주가는 이런 배경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0KAkwVEnF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덕우전자는 1992년 8월에 설립되어 경북 구미시 국가산업4단지에 본사(제1사업장)와 제2사업장 및 제3사업장을 두고, 모바일 카메라모듈에 장착되는 정밀부품과 자동차용 전장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덕우전자의 모바일 카메라모듈에 장착되는 제품인 스티프너(Stiffener)는 카메라 모듈 내 이물질 침입으로 인한 제품 내부 손상을 방지하고, 전자파 차단효과가 탁월하여 전자파로 인한 장애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덕우전자는 애플 아이폰의 카메라부품 업체로 LG이노텍의 협력업체로 알려져 있어 에플아이폰의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시장의 관심을 받는 종목이기도 합니다

 

최근 애플 아이폰의 인공지능 AI 채용에 따라 대규모 구형 아이폰 교체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관련 부품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어 실적개선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애플의 ME기기인 비전프로에도 카메라가 삽입되면서 덕우전자의 스티프너의 수요가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자동차 부품 사업을 키우고 있는데 ABS(Anti-Lock Brake System)  차량 급제동 시 Lock-up(바퀴 잠김)이 발생하는 경우 작동하는 제동장치에 들어가는 모터용 부품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또한 EPS(Electronic Power Steering)는 전자제어 및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주차 및 저속 시 핸들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반대로 중고속에서는 중량감을 더해 주기 위해 작동하는 부품으로 덕우전자는 여기에 들어가는 모터용 부품을 ㅈ[작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전기차에 들어가는 BMS케이스를 제조해 납품하고 있는데 이는 차량용 카메라모듈과 함께 제품 다변화 차원에서 덕우전자가 키우고 있는 분야입니다

 

전기차 화재로 큰 재산상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전기차배터리에 대한 BMS 안전강화를 정부가 추진하고있어 덕우전자도 BMS케이스 사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덕우전자의 주력사업이 애플 아이폰의 카메라모듈 부품이다 보니 실적이 여기에 연동되고 있어 전장부품을 키우는 것은 이런 매출의존도를 낮추고 사업다각화를 위한 조치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덕우전자 2019 IR.pdf
1.40MB
덕우전자 2021 IR.pdf
3.71MB
덕우전자 20230607_하나증권.pdf
0.5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 해 들어와 애플 아이폰 가격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연속해 인하하면서 시장점유율을 지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중국인들의 소비가 LG전자와 삼성전자를 떠나듯이 애플 아이폰을 떠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애플 아이폰 등 외국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 금지령을 확대하고 있는데 사실상 아이폰을 겨냥한 조치로 보여지는데 아이폰을 중국 공산당원들과 중국 관료들이 공공기관 안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명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지난 해 테슬라에 대해 중국 정부가 테슬라 전기차의 중국 관공서 출입 제한으로 테슬라 실적이 급락했던 과거 사례와 비슷한 양상입니다

 

애플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애플 아이폰15의 가격을 연속해서 2번이나 내렸지만 3월 한달 반짝했을 뿐 결국 2분기 애플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2분기 출하량 기준 970만대로 6위를 기록하고 말았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애플을 추월해 화웨이, 샤오미, 오포와 비보 등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애플이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지난 2분기 출하량 기준 6위를 기록했는데 1위였던 애플 아이폰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5위 밖으로 밀린 것은 4년 만의 일입니다.

 

앞서 애플 팀쿡 회장은 중국의 아이폰 규제 소식에 단번에 중국 뻬이징으로 날라와 중국 공산당 수뇌부와 미팅을 갖고 규제움직임을 연기시키는데 성공했는데 결국 2분기에 애플 사용 규제령이 내려지면서 애플 아이폰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고 말았습니다

 

우리나라 LG전자도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과 경쟁에서 밀리면서 결국 스마트폰 사업 자체를 포기하였고 삼성전자도 중국 내 스마트폰 점유율이 0%를 기록하는 X망신을 당했는데 그나마 폴더블폰에서 체면을 유지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애플에 대해 규제카드를 꺼내든 것은 미국 대선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와 규제가 선을 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애플에게 있어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글로벌 매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인데 코로나 팬데믹 기간 공급망이 꼬이면서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이에 따라 중국 공장을 인도와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 정부로써는 애플이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면서 대량실업이 발생하게 되고 애플 아이폰을 구매하여 국부가 유출되는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미국과 애플에 경고할 필요가 있어 보였습니다

 

중국인들은 애플이 대만의 칭하이정밀의 중국 공장인 폭스콘을 통해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생산하면서 애플을 중국 기업과 동급으로 평가하며 소비해 주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급망 재편과정에서 중국 공장의 해외이전으로 애플을 외국기업으로 인식하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소비의 대상에서 제외하게 된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중국사드보복에 중국에서 공장을 철수했지만 애플은 중국 소비가 애플 실적마져 견인하자 중국 매출 의존도를 높인 것이 결정적인 패착으로 돌아왔습니다

 

8월 1일 있을 애플의 2분기 실적발표에 중국 시장점유율 축소가 어떻게 다가올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 아이폰 부품주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자화전자

파인엠텍

비에이치

심텍

아이티엠반도체

덕산네오룩스

덕우전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플이 인공지능AI 전략을 뒤늦게 내놓으면서 AI를 탑재한 아이폰 신모델의 발매를 예고하고 있어 아이폰의 교체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애플 주가는 11일(현지시간) 7.3% 급등한 207.15달러로 마감하며 사상최고치를 경신했고 이 같은 하루 상승률은 2022년 이후 처음이며 애플 주가가 하루에 7% 이상 오르기는 지난 3년 동안 이번이 3번째입니다

 

이로써 애플의 시가총액은 3조1760억달러로 엔비디아(2조9790억달러)를 다시 앞서고 마이크로소프트(3조2160억달러)와의 차이도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애플은 전날 연례 세계개발자회의(WWDC) 개막식에서 AI 전략을 발표했으나 당일 주가는 하락했는데 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의 호평이 이어지며 분위기가 반전돼 이날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애플의 인공지능AI 전략이 이전 모델이 아니라 앞으로 모델에서만 AI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아이폰 교체의 슈퍼 사이클이 도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애플에 대한 묻지마 매수세를 유입시킨 것입니다

 

이에 따라 애플 아이폰의 부품업체들의 주가도 급등하고 있는데 이는 애플 아이폰 판매량 둔화에 부품수요도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슈퍼사이클이 도래할 것이라는 뉴스는 부품수요의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애플 아이폰15 때 5G 기능을 넣으면서 이전 아이폰 모델들과 차별화를 가져가며 판매수량의 급증을 가져온 전례가 있기 때문에 이번 AI 기능을 탑재한 아이폰16모델의 글로벌 흥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아이폰부품주

삼성전기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자화전자

비에이치

덕우전자

모다이노칩

아이티엠반도체

하이비젼시스템

액트로

제이엠티

덕산테코피아

피엔에이치테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22mJRywJTw?si=6wxhoGCOYPkuuB4H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덕우전자는 카메라모듈부품과 전장부품 제조사업을 영위하는 부품사로 LG이노텍을 통해 애플에 카메라모듈 부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부품업체로써 한계 때문에 주요 고객사인 LG이노텍의 실적에 연동될 수 밖에 없고 LG이노텍은 주력 공급사인 애플의 실적에 연동될 수 밖에 없습니다

 

최근 애플 아이폰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면서 LG이노텍의 주가도 상당기간 하락했는데 덕우전자도 적자를 기록하며 주가하락세를 면치 못하였습니다

 

덕우전자는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손실이 99억원으로 적자전환했고 같은 기간 매출액은 1651억원으로 21% 감소했으며 당기순손실은 83억원으로 적자전환했습니다.

 

최근들어 애플이 신제품인 비전프로를 내놓고 가정용 로봇 시장 진출을 검토하면서 덕우전자의 카메라모듈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내부에 팀을 두고 가정용 로봇이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지를 검토하고 있는데 애플 엔지니어들은 집에서 사용자들을 따라다닐 수 있는 이동형 로봇을 검토 중이며 애플은 로보틱스 기술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를 옮길 수 있는 탁상용 가정용 기기도 개발했습니다.

 

가정내 로봇의 자율주행을 위해 카메라가 반드시 필요한데 애플 아이폰에 들어가는 카메라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장용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덕우전자는 핸드폰 카메라 모듈 부품을 생산 하고 있어 애플 협력사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덕우전자는 8,286원 전환가격에 241만여주가 주식전환을 대기하고 있어 주가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덕우전자 20230607_하나증권.pdf
0.59MB
덕우전자 IR Book 2017.pdf
2.3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덕우전자는 애플의 정식공급업체로 카메라모듈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스티프너를 공급해 왔습니다

 

애플과 오랜동안 협력관계를 맺어 왔기 때문에 안정적인 공급망 업체로 인정받고 있는 부품기업입니다

 

애플 아이폰의 핵심 부품 중 30%가 한국 부품업체라 애플의 공급망중 핵심적인 부품기업이 되고 있습니다

 

덕우전자는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의 출시로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애플 아이폰에 카메라 부품을 오랫동안 공급해 왔기 때문에 비전프로에도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애플 아이폰15의 가격동결로 부품업체들의 부품가격도 동결된 것으로 보이는데 아이폰15의 인기에도 애플 아이폰15 부품주들도 주가가 약세를 나타낸 이유이기도 합니다

 

최근 덕우전자는 멕시코 공장 증설을 위해 200억원 규모 전환사채를 발행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는데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0.0%이며 사채 만기일은 2028년 8월31일로 전환가액은 9393원이며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 수는 212만9245주로 주식총수 대비 11.79% 규모인데 전환 청구 기간은 2024년 8월31일부터 2028년 7월31일까지로 금리상승기에 비용을 최소화하며 신규투자금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덕우전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선정하는 월드클래스 사업 첨단신소재 분과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덕우전자는 주력사업인 애플 아이폰 카메라모듈부품사업과 함께 전장사업을 키우고 있는데 LG에너지솔루션과 협력해 테슬라를 타깃으로 한 원통형 배터리 부품 사업에 뛰어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재민 덕우전자 회장이 옛 LG 계열 통신기기 제조사인 '금성통신'과 '금성부품'에서 본부장과 공장장을 역임한 바 있고, 현직 임원들 중에도 LG 출신이 많은데 백우진 영업총괄 이사를 비롯해 김기선 전장 사업부 개발 담당임원, 박병태 모바일 사업부 개발실장 모두 LG전자 출신으로 자연스럽게 LG그룹의 사업에 많이 참여하고 있고 LG이노텍을 통해 애플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덕우전자는 애플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 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시장 성장에 따른 선점효과를 누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애플 아이폰15의 가격 동결이 결국 실적부진을 가져온 요인이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전장부품과 비전프로의 시장성장은 수익성 향상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XXLiNVXVB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와이투솔루션이 급속 충전용 전원공급장치로 북미 전기차 충전기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데 와이투솔루션은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3'에서 북미 전기차충전시장 진출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와이투솔루션은 CES 2023 행사에서 국내외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를 대상으로 30㎾급 전원공급장치를 공개했는데 이 장치는 교류(AC) 전원을 직류(DC)로 전환하고 컨버터가 자동차 배터리 필요성에 맞게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와이투솔루션은 지난해 3월 클린일렉스와 함께 세계 최초로 전기차 충전기용 35kW 직류전원장치(SMPS)를 개발한 이력이 부각되며 강한 매수세가 몰리고 있어 CES2023에서 공개이후 3월부터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와이투솔루션과 클린일렉스는 2017년 12월 전기차충전기 SMPS를 공동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한지 4년만인 2021년 10월에 1차 목표인 35kW 직류전원장치(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개발을 세계 최초로 완료했으며, 지난해 EMC적합성 시험을 통과해 국내외 충전기 제조사들을 대상으로 판매에 나설 수 있게 됐습니다. 




해당 전기차 충전기용 35kW 직류전원장치는 급속충전기 부품과 기술의 국산화율이 90% 이상으로 수출품 원산지 증명에 유리한 장점을 갖췄고 또한 30kW SMPS는 100kW 급속충전기에 4개 모듈이 소요되나, 35kW SMPS를 사용할 경우 3개 모듈만 소요돼 충전기 제작비용과 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전기차충전기에 대한 투자를 예고하고 있어 이에 대한 수혜를 기대할 수 있어 매수세가 와이투솔루션에 몰리는 것 같습니다

 

여기다 국내도 환경부가 전기차충전소에 대한 보조금 지원에 있어서 고속 충전기만 지원금을 주기로 해 와이투솔루션의 기술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미국정부의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은 전기차 대중화를 촉발하고 있어 충전소의 확대를 가져오고 있어 와이투솔루션의 보유 기술이 부각될 수 밖에 없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https://youtu.be/e-nS9Tbb5kg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폴더블폰 신모델인 ‘Z폴드3’, ‘Z플립3’의 사전예약을 마무리했는데 언론 등에 따르면 국내 통신3사를 통한 예약 판매량은 60만대에 육박하며, 자급제 물량 등을 포함하면 80만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해당 제품의 공식 출시는 오는 27일입니다.



앞서 지난해 폴더블폰이었던 ‘Z폴드2’가 약 8만대의 판매량을 올리고, 전통 플래그십 모델인 ‘S21’이 약 30만대 가량 팔렸던 것과 비교하면 폴더블폰 신모델에 대한 시장의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격인하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일부 "갤럭시노트" 이용자의 이전수요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와 같은 흥행의 요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정책과 개선된 기능이었다는 설명이 힘을 받고 있는데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Z폴드3 등 신모델의 가격은 전작 대비 40만원 낮게 책정됐으며, 통신사 공시 지원금도 늘어났다”라며 “여기에 방수 기능이 탑재되고, 무게가 가벼워졌으며 S펜 기능이 적용되는 등 전작 대비 기능도 눈에 띄게 개선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삼성의 폴더블폰이 흥행에 성공한 만큼 중화권 업체, 애플 등 경쟁사들에게도 ‘폴더블폰’ 전략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라는 예상인데 조 연구원은 “기존 바(bar) 타입 스마트폰은 현재 추가적인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번 폴더블폰 흥행이 경쟁사들의 출시 역시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중화권 업체들은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애플 역시 출시 시기를 더 이상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만큼 부품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기로 한국투자증권은 KH바텍, 비에이치, 파인테크닉스를 관련 추천주로 꼽았고 조 연구원은 “이들은 삼성전자 내 지배적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화권 및 북미 고객사향 납품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에서 최근에 흥행에 성공한 모델이 없어 관련 부품사들도 대부분 적자를 보거나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 이번 폴더블폰의 흥행조짐은 애플의 경쟁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플리미엄폰 시장에 삼성전자의 독주가 예고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라 부품사들에게도 희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스마트폰 부품주

삼성전기

바이오로그디바이스

해성옵틱스

세코닉스

덕우전자

엠씨넥스

옵트론텍

나무가

코렌

알에프텍

아모텍

와이솔

유티아이

한솔테크닉스

파인테크닉스

KH바텍

일진디스플레이

비에이치

와이엠티

파트론

피앤텔

자화전자

대덕전자

대적GDS

파워로직스

하나머티리얼즈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의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합류 소식이 알려지면서 관련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4일 오후 2시 27분 기준 디지털 기기 가공 업체인 코세스는 전일 대비 29.56% 급등해 상한가 3만3150원에 거래되고 있고 같은 시각 디지털 광링크 제조업체인 옵티시스도 전일보다 27.36% 오른 3만2300원에 거래되고 있고 그 외에도 신화콘텍, 맥스트 등도 삼성전자의 효과로 덩달아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날 메타버스 얼라이언스에 삼성전자가 주요 기업으로 합류했다고 밝혔는데 삼성전자는 기어VR, 오디세이 플러스 등 VR 기기를 개발했고, 최근 AR글래스도 연구개발 중입니다.

 

정부는 오는 10월까지 얼라이언스에서 추진할 프로젝트를 정하고, 프로젝트마다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삼성전자의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합류는 정부 정책수혜주에서 대기업 투자수혜주로 시장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3D TV 분야에서 이미 메타버스에 대한 경험이 있는데 당시에는 막대한 마케팅 비용에도 기술적 한계로 3D TV의 인기는 반짝 인기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XR기기를 통한 메타버스 기술의 구현은 이전과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가 개발하고 있는 AR글래스는 현실 생활에 깊숙히 관여하는 생활필수품이 될 수 있어 전자업체의 블루오션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향후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기기들이 만들어질 수 있어 삼성전자는 시장 선점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메타버스 관련주

삼성전자

코세스

옵티시스

아직엑스텍

옵티시스

덱스터

맥스트

자이언트스텍

신화콘텍

엔텔스

덕우전자

선익시스템

동아엘텍

위지윅스튜디오

뉴프렉스

LG이노텍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pple-Supplier-List 2021.pdf
0.44MB

안녕하세요

모바일 카메라모듈 부품 전문기업 덕우전자반도체센서 제조 회사 엠엔텍 을 인수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덕우전자는 지난 2월 29일 이사회를 열고 엠엔텍의 주식을 취득했다고 공시했는데 구주 인수 및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발행으로 엠엔텍의 주식 64.8% 주식 7만 1,869주를 약 120억원에 취득하면서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였습니다.

지난 2009년 설립된 엠엔텍은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기술을 기반으로 센서를 개발 및 제조하는 기업으로 MEMS 기술은 최첨단 #미세가공기술 입니다.

그동안 엠엔텍은 국내 주요 대기업 및 연구기관과 바이오·환경 관련 센서를 개발해왔다. 주요 제품으로는 #MEMS센서#파운드리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덕우전자는 지난 2017년 #미국CuriBio 에 투자해 바이오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데 지난해에는 서울 삼성동에 사옥을 매입해 중앙연구소를 설립했는데 이번 지분취득 과정에서 매수자문은 #KDB산업은행 M&A컨설팅실이 맡았습니다.

덕우전자 관계자는 "이번 엠엔텍의 지분 취득은 신사업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며 "유상증자로 투자된 자금은 MEMS 소자 생산설비를 확충하고, 향후 MEMS분야의 신사업 발굴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덕우전자는 #애플아이폰 에 카메라모듈을 납품하고 있는데 작년 하반기 출시한 #아이폰12 의 인기로 실적이 꾸준히 호전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바이오 사업에 투자를 해 사업다각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2021년도 애플공급사리스트 (2021 Apple Supplier List)에 덕우전자가 이름을 올리면서 올 해도 덕우전자 실적호전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졌기 때문입니다

다른 부실기업들이 주력사업을 포기하고 무분별하게 증자를 해 바이오 사업을 한다고 유상증자를 불러대는 것과는 차별화된 신규사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신규사업이 완전히 다른 이종사업으로 이뤄질 경우는 상당히 특이한 경우인데 덕우전자는 바이오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덕우전자는 모바일 부품과 함께 자동차 전장 부품도 하고 있어 성장성이 큰 부분을 갖고 있어 신규사업에 자금을 지원할 충분한 여력이 되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