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의 13조원 배당금이 16일 지급되면서 다시 재투자 될 지 증시를 빠져 나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주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수급 주체이자 배당을 가장 많이 받은 외국인이 이날 증시와 외환시장에서 뚜렷한 모습을 보이지 않아 일단 관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날에 비해 0.24% 내린 8만3900원에 마감했는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1억원, 2200억원 순매도했고 개인만 2240억원 순매수했습니다.

최근 한 달간 이어진 주요 수급 주체의 매매 행태가 이날도 이어진 셈인데 지난달 16일부터 이날까지 외국인은 8206억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2조2900억원 순매도했으며 개인은 1조3589억원 순매수해 개인에 비하면 외국인의 매수 규모는 크지 않았고 기관의 일방적 매도 물량을 개인이 상당 부분 받아낸 셈입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전날에 비해 0.12%(1.3원) 오른 1116.3원에 마감했는데 외국인들이 배당금을 자국으로 송금하기 위해 달러화 수요가 늘어나면 달러당 원화값이 떨어지는데 이날은 오히려 오른 것으로 아직은 외국인들이 배당금을 자국으로 보내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주주들에게 보통주 기준 주당 1932원(우선주 1933원)의 배당금을 지급했는데 기존 결산 배당금 354원에 특별 배당금 1578원을 더한 수치로 배당금 총액은 13조1242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배당금 총액 중 절반 이상인 7조7400억원가량은 외국인에게 지급되는데 지난해 말 기준으로 외국인의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 지분율은 각각 55%, 79%입니다.

이재용 부회장 일가도 약 1조원 규모의 배당금을 챙겼는데 이 돈은 이건희 상속세의 재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전자 주가가 힘을 못 쓰는 이유로 유동성과 반도체 칩 부족 우려 등을 꼽고 있습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체들의 주가가 조정을 겪고 있는 것은 반도체 주식 밸류에이션 배수에 영향을 미쳐온 글로벌 유동성 증감률이 올해 들어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말 20%까지 급등했던 글로벌 유동성 증감률이 현재는 16% 수준으로 하락하며 반도체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게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도체 생산을 둘러싼 미·중 패권 갈등도 변수로 15일 미국 공화당 소속 연방의원 2명은 중국에 대한 미국 반도체 제조설비 수출을 제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미국의회의 움직임은 2019년 7월 일본우익 아베정부가 보인 행태와 비슷한 모습인데 갑과 을을 전혀 이해 못하고 나온 말들로 일본의 소재와 반도체 제조장비 업체들은 우리 기업들의 국산화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국산화 지원으로 오히려 시장 퇴출 수순에 들어갈만큼 시장을 빼앗기고 만신창이가 된 상태입니다

삼성전자의 실적은 반도체 가격 호황으로 좋아질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실적에 비해 주가는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미중무역전쟁이 반도체 전쟁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중국 반도체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입장에서 곤혹스런 상황이기는 합니다

여기다가 재계와 기레기들의 이재용 부회장 사면요구는 외국인투자자들에게 시장의 공정성에 의구심을 갖게 하는 것이라 실제 이재용 부회장에게 사면이 이뤄질 경우 외국인투자 자금의 이탈도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솔직히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사면요구는 향후 재벌오너일가들의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비슷한 일들이 벌어질 때 동일한 사면을 요구하기 위한 전례를 만들려는 것으로 기레기들은 우리나라 최대 광고주인 삼성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더 열심히 이재용 부회장 사면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이재용 부회장에게 걸려 있는 혐의 들이 단순 경제사범이라고 보기에는 분식회계 규모조 조단위로 크고 뇌물죄와 배임횡령죄까지 걸려 있어 공정경제에도 역행하는 것으로 전형적인 "유전무죄 무전유죄"를 요구하는 것이라 들어주기 궁색해 보입니다

아울러 삼성그룹같이 글로벌 기업을 실제 경영하는 것은 경영능력을 검증받은 전문경영인들로 오히려 오너일가들은 경영능력을 검증받지 않고 그 자리에 앉아 있는 것이라 경영불안감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오히려 이재용 부회장이 감옥에 가 있을 때 삼성전자가 사상 최고가를 찍었다는 것은 그런 시기에 오너일가의 배임횡령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업가치에 실적이 온전히 반영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액주주 입장에서는 기업실적이 온전히 기업가치에 반영되어 주가가 오르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이재용 부회장 사면이 그리 반가운 일은 아닐 겁니다

주식시장은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이지 그저 막연한 생각으로 절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시장이 아님을 알아야 할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검찰은 부동산 투기에 가담한 공직자는 원칙적으로 전원 구속하기로 했고 또 부동산 투기사범 전담 수사팀을 전국 검찰청에 확대 편성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부동산 부패의 청산을 지시함에 따라 검찰이 강력한 대응 방안을 마련한 것입니다.

30일 검찰에 따르면 대검찰청은 이날 전국 검찰청에 공직자가 업무상 비밀을 이용하거나 개발정보를 누설하는 등 지위를 이용해 부동산 투기에 가담하는 것은 ‘중대한 부패범죄’로 간주하고 원칙적으로 구속 수사를 하라고 지시했고 또 이런 공직자의 투기 범행은 범정 최고형을 구형하라고 강조했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적극적인 양형 부당 항소를 통해 죄에 상응하는 처벌이 되도록 무관용 원칙을 견지할 것”이라고 밝혔고 이외에도 민간 부동산 투기 범죄에 대해서도 기획부동산 등 투기사범도 구속 수사를 하고 벌금형을 대폭 상향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대검은 전국 43개 검찰청에 부장검사 1명과 평검사 3~4명, 수사관 6~8명 규모의 부동산 투기사범 전담수사팀을 확대 편성하도록 지시했는데 총 500명 이상의 검사와 수사관 규모로 이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전날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검찰은 500명 이상의 수사단을 꾸릴 것이라고 발표한 데 따른 것입니다.

검찰은 기획부동산 등 최근 5년간 처분됐던 부동산 투기 관련 사건도 전부 재검토하는데 그 결과 추가로 수사할 부분이 있거나 처분을 변경해야 할 부분이 있으면 직접 수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에 검찰은 ‘6대 범죄’에 포함되지 않은 부동산 투기 범죄는 직접 수사를 할 수 없으나, 송치 후 불기소 처분됐거나 재수사가 결정되는 사건에 대해서는 직접 수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검찰의 대응 방안에 대해 종합적인 논의를 하기 위해 전국 검사장 회의도 소집되는데 조남관 검찰총장 대행은 31일 10시 전국 지검장 18명, 3기 신도시 관할 수도권 5곳의 지청장과 화상 회의를 엽니다.

문재인 대통령께서 부동산투기를 잡으라고 지시한 것인데 과연 공정하게 검찰이 수사를 잘 해서 부동산투기꾼들을 잡아낼 수 있을까요?

부산시장 후보로 나선 모 후보는 드러나는 사건들이 단순 부동산투기를 넘어 뇌물죄까지 물을 수 있는데도 그 동안 검찰은 단 한번 내사도 수사도 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번 부동산 3법이 통과되고 강남 재건축으로 떼돈을 번 이해당사자일 수 있는 국회의원들은 여전히 부동산투기로 번 돈으로 떵떵거리고 잘 살고 있습니다

과연 공정할 수 있을까요?

여야 좌우를 넘어 과연 공정하게 번 돈이냐에 대한 물음에 후안무치하게 대답하는 것들도 있지만 불로소득일 뿐 아니라 자신의 권력을 이용해 치부한 놈들이 국회에 아주 많은 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에게 면죄부를 주고 그저 먹고 살겠다고 아르바이트로 전화기 들고 기획부동산 놈들이 시키는 전화나 돌리던 아주머니들만 범죄인 만드는 것이 아닌지 우려됩니다

직선제 대통령도 우습게 보는 검찰이 과연 먼지만 일으키며 용두사미식 수사로 흐지부지 끝낼 것인지 진짜 문재인 대통령이 잡으라는 부동산 투기꾼들을 잡아 낼지 두고보겠습니다

아울러 검찰간부라도 부동산 투기를 했다면 처벌할 수 있는 각오로 수사를 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가 낸 세금을 월급받으며 일하는 공무원으로 검찰이 제 역할을 해 내길 기원합니다

아울러 부동산시장에 몰려간 유동성이 주식시장으로 유턴하면 이 자금을 기반으로 기업들이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와 재투자에 나설 수 있어 고용과 투자가 동시에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 이런 기업자금이 다시 공장 건설이나 창고부지 마련 등의 명목으로 부동산에 투자되지 않는다면 말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관련 뇌물 공여 혐의 파기환송심 선고를 앞두고 있는데 사건 사후 만들어진 삼성준법감시위원회에 대한 재판부의 평가가 이 부회장의 양형을 결정할 최종 변수로 작용하는 전대미물의 황당한 재판이 될 것 같습니다.

 

17일 재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형사1부(정준영 송영승 강상욱 부장판사)는 18일 오후 2시5분 이 부회장의 뇌물공여 등 혐의 사건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을 여는데 검찰은 앞선 결심 공판에서 이 부회장에게 징역 9년을 구형했습니다.

 

이 부회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씨에게 삼성 그룹 경영권 승계 등을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뇌물을 건넨 혐의 등으로 2017년 2월 구속기소 됐는데 1심은 이 중 최씨의 딸 정유라 씨에 대한 승마 지원 72억원,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 후원 16억원 등 89억원을 유죄로 인정해 징역 5년을 선고한 반면 2심은 36억원만 뇌물액으로 인정했고,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해 이 부회장을 풀어주었습니다

 

이에 대해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항소심이 무죄로 본 정씨의 말 구입비 34억원과 동계스포츠영재센터 후원금 16억원 등을 뇌물로 봐야한다는 취지로 지난 2019년 8월 파기환송해 2심이 사실관계를 잘못 판단했음을 확인해 주었습니다.

 

유죄로 인정된 액수가 1,2심 그리고 대법원의 판단이 각각 다른 만큼 파기환송심에서는 이 부회장의 양형을 두고 특검과 이 부회장 측에서 법리다툼을 벌여왔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쟁점은 재판부 주문으로 설치된 준법감시위의 실효적 운영 및 지속가능성 여부로 파기환송심 재판부는 첫 공판에서 "미국 연방 양형기준 제8장과 그에 따라 미국 대기업들이 시행하는 실효적 감시제도를 참고하라"면서 이 부회장에게 삼성의 준법경영을 위한 감시기구 설치를 주문한 바 있는데 미국 연방 양형기준 제 8장은 실질적인 준법감시제도를 갖춘 기업에 형을 낮춰주는 법이 있는데 이건 사건 이전에 설치 운영하다가 발생한 사건에 대해 낮춰주는 것으로 사건 이후에 설치해 이전 발생 범죄에 대해 형을 낮춰주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삼성은 지난해 초 김지형 전 대법관을 위원장으로 한 준법감시위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는데 준법감시위는 지난해 초부터 이 부회장에게 승계·노동·시민사회 소통 등에 대한 의견을 밝히라고 권고했고, 이 부회장은 지난해 5월 대국민사과를 통해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는데 선언적 의미일 뿐 미래에 발생할 탈범행위에 대해 준법감시위가 어떠한 역할도 할 수 없는 이름뿐인 위원회에 불과합니다.

 

재판부의 의지로 진행된 준법감시위 전문심리 절차에서도 특검 및 이 부회장 측이 각각 전문심리위원들은 실효성과 지속가능성 여부를 두고 의견이 갈렸지만, 재판부가 추천한 강일원 전 헌법재판관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려 결과가 정해진 요식행위를 하고 있다는 비난이 법조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전문심리 결과를 받아 든 준법감시위는 올해 삼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준법리스크를 더욱 세분화하는 한편 이 부회장을 비롯한 최고경영진들을 정기적으로 면담하면서 준법경영을 강조한다는 방침인데 이게 다 쇼로 결코 이재용 부회장을 견제하거나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허울 뿐인 이재용 부회장에게 월급받는 사람들로 구성된 조직인 겁니다.

 

이 부회장이 제공한 말 구입비와 동계스포츠재단 후원의 성격도 쟁점인데 정씨에 대한 말 구입비 제공과 동계스포츠영재센터 후원을 두고 특검은 '자발적인 뇌물'이라고 주장한 반면, 이 부회장 측에서는 '박 전 대통령의 강요에 의한 뇌물'이라고 반박했는데 특히 말은 해외인 독일에서 제공된 것으로 국내 삼성전자 돈을 빼돌려 뇌물로 제공해 이재용 부회장의 사익인 경영권세습의 편의를 보려고 시도했던 것으로 해외자금도피지가 적용되면 징역 10년 이상의 중범죄에 해당되는 사안입니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징역형을 선고 받고 구속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파장을 우려하고 있다고 삼성의 광고를 받아 먹고 사는 기레기들이 일제히 보도하며 분위기 조성에 나서고 있습니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 15일 서울고법에 이 부회장에 대한 탄원서를 제출했는데 박 회장이 대한상의 회장으로 재직하는 7년8개월동안 기업인 재판에 탄원서를 제출한 것은 처음인데 박 회장은 "그동안 이 부회장을 봐 왔고 삼성이 이 사회에 끼치는 무게감을 생각했을 때 이 부회장에게 기회를 주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탄원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지만 그도 재벌오너일가의 일원으로 두산그룹 3세대 경영인을 역임하고 똑같은 경영구너 세습을 4세대에게 해주고 있는데 두산그룹의 유동성 위기에 삼성그룹의 작은 도움이라도 받으려면 뭔가 일을 하기는 해야겠지요

 

예전 박근혜 정부시절 최순실이 딸의 승마에 박 대통령이 신경 쓴다는 사실에 삼성이 승마협회를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으로 부터 넘겨받는데 상당한 공을 들이고 이 과정에서 삼성종합화학과 일부 화학관련 계열사들이 한화와 롯데그룹으로 넘어간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화그룹은 30여년 화학분양 투자해 얻은 수익보다 삼성으로 부터 넘겨받은 화학회사가 얻은 단 일년치 수익이 더 많았다는 사실은 삼성이 얼마나 알짜배기 회사를 한화그룹에 념겨주었는지 잘 보여준 사례입니다

 

김문기 중소기업중앙회 회장도 17일 "이 부회장에 대한 사법부의 선처를 바란다"는 입장문을 냈는데 김 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에 대한 잘못된 부분은 바로잡아야 하겠지만 삼성이 우리경제에 차지하는 역할과 무게를 감안하면 당면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우리나라 경제생태계의 선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 부회장이 충분히 오너십을 발휘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호소했는데 그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으려 법적인 책임을 따지고 있는 것입니다

 

앞서 안건준 벤처기업협회장도 지난 7일 벤처기업과 대기업 간 상생 생태계를 위해 이 부회장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는데 수 많은 벤처기업이 삼성그룹 계열사들과 직간접 관계를 맺고 있기에 단체장들은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언론들은 삼성그룹이 가장 큰 광고주이기 때문에 이재용 부회장 재판에서 일방적으로 광고주 편을 들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여기서 잘못보이면 그 나마 광고도 끊어져 직원수를 줄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가 중 유일하게 감옥에 수감된 전력을 갖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삼성전자와 삼서 ㅇ계열사들은 대거 사상 최고가 행진을 벌였는데 당시에도 이재용 부회장 수감으로 경제위기가 올거라는 기레기들의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은 대거 순매수에 나서며 시장 상승을 이끌어 냈는데 우리 경제의 고질병인 재벌오너일가의 배임횡령이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으로 소강 상태에 들어갔기 때문입니다

 

즉 기업가치를 온전히 평가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삼성전자만 해도 삼성가의 지배지분이 채 20%가 안되는 상황에서 매년 수천억원을 연봉과 배당금으로 챙겨갔는데 그것도 모자라 뇌물수수의 자금을 횡령해 사용해 왔던 관행이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주식회사 제도에서 주주로 시장의 감시와 견제를 받으며 소액주주의 이익을 보장하고 최대주주의 전횡을 견제하는 공정한 시장으로 전환되어 간 것입니다

 

이번에 이재용 부회장이 죗값을 합리적으로 받게 되면 우리 증시는 FTSE선진지수와 MSCI선진지수로 편입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우리가 G7옵져버로 초대받은 것과 함께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선진국 대우를 받게 되는 상징적 계기가 될 것입니다

 

기레기들의 경제위기와 같은 허상에 속지 말고 진정한 법치주의의 확립과 공정경제의 달성에 힘을 실어줘야 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해 한국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주요 7개국(G7) 구성원인 이탈리아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 초반대로 줄어들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을 크게 받은 유럽의 지표는 더 많이 뒷걸음질한 결과입니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명목 GNI는 2019년 3만2천115달러에서 소폭 줄어든 3만1천달러 안팎으로 추정되는데 실질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진 것은 물론 명목 성장률마저 0% 초반대로 낮아지고, 원달러 환율도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다만 한국의 1인당 GNI 순위 자체는 오히려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은행(WB)이 직전 3년간 평균 환율을 적용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이탈리아의 1인당 GNI는 3만4천530달러로 그해 한국(3만3천790달러)을 근소하게 앞섰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해 이탈리아의 명목 성장률을 한국(0.1%)보다 크게 낮은 -7.9%로 전망했던 점을 고려하면 이탈리아의 1인당 GNI는 한국보다 적을 가능성이 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발표한 신년사에서 "우리 경제는 지난해 OECD 국가 중 최고의 성장률로 GDP 규모 세계 10위권 안으로 진입할 전망"이라며 1인당 국민소득 또한 사상 처음으로 G7 국가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습니다.

아직 지표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이런 예상이 현실화한다면 한국의 1인당 GNI가 G7이라 불리는 주요 선진국(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중 하나를 넘어선 첫 사례가 됩니다.

이탈리아의 1인당 국민소득은 지금껏 한국을 앞서 왔는데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6년 한국의 1인당 GNI는 2만9천330달러로 이탈리아(3만1천950달러)보다 2천600달러가량 적었고, 2018년에도 한국이 3만2천730달러로 이탈리아(3만3천840달러) 보다 뒤졌습니다.

다만 이탈리아와의 1인당 GNI 격차는 2019년에 좁혀졌고 지난해에는 한국이 역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탈리아는 경제에서 관광 등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수출 중심의 한국보다 코로나19 타격을 더 크게 받은 결과로 지난해 한국은 주요 선진국이 '셧다운'을 하면서 2분기 성장률이 급락했지만, 수출이 11월(4.1%), 12월(12.6%)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국의 경제규모 순위도 올라갈 전망인데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보면 2020년 한국의 GDP는 1조5천868억달러로, 전세계에서 10번째가 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9년의 12위보다 두 계단 상승한 것으로 전년도에 한국보다 앞섰던 브라질과 러시아는 각각 12위와 11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수치로는 우리나라가 확실히 선진국에 들어간 것이고 G7국가들이 러시아와 함께 우리나라를 포함해 선진국 회의 회원수를 늘려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 이유가 있었ㄷ건 겁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성장은 20세기 초 식민지를 경험한 국가중에 유일하게 놀라운 성장을 보여준 국가로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을들을 만 합니다

물론 코로나19 사태로 EU 선진국들이 더 큰 경기침체에 직면한 것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를 더 돋보이게 만든 것 같지만 이런 위기에 진정 실력이 나온다고 우리나라는 위기를 재빠르게 벗어나 위기에 강한 경제체질임을 증명해 보였습니다

이제 우리가 쌓아올린 국부를 재벌오너일가에 편중된 것이 아니라 전 국민들이 골고루 향유할 수 있도록 경제민주화를 달성해야 할 시기입니다

개발독재 시절 정부의 몰아주기 특혜속에 재벌로 성정한 이들이 21세기에 국민들의 열망에도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고 부를 독과점하려는 것은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있게 한 국민들의 피 땀에 대한 배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019년 기준 전 세계 1인당 국민소득 나라별 순위표

순위

국가

미국 달러($)

인구(만 명)[1]

1

룩셈부르크

109,602

59

2

스위스

81,867

854

3

아일랜드

79,669

480

4

노르웨이

67,989

535

5

미국

63,051

32,851

6

싱가포르

58,484

579

7

덴마크

58,439

575

8

아이슬란드

57,189

33

9

카타르

52,751

269

10

호주

51,885

2,477

11

네덜란드

51,290

1,708

12

스웨덴

50,339

998

13

오스트리아

48,634

875

14

핀란드

48,461

554

15

독일

45,466

8,240

-

홍콩

45,466

748

16

벨기에

43,814

1,149

17

캐나다

42,080

3,695

18

산마리노

41,683

3

19

이스라엘

41,560

845

20

프랑스

39,257

6,523

21

영국

39,229

6,657

22

일본

39,048

12,693

-

마카오

38,769

64

23

뉴질랜드

38,675

474

24

아랍 에미리트

31,948

954

25

이탈리아

30,657

5,929

26

대한민국

30,644

5,183

-

푸에르토리코

30,113

319

27

바하마

30,027

39

28

몰타

28,469

43

-

대만

26,910

2,379

29

스페인

26,832

4,639

30

키프로스

26,240

118

31

슬로베니아

25,039

208

32

브루나이

23,117

43

33

에스토니아

22,986

130

34

바레인

22,878

156

35

체코

22,627

1062

36

쿠웨이트

22,252

419

37

포르투갈

21,608

1,029

-

아루바

20,310

10

38

리투아니아

19,883

287

39

사우디 아라비아

19,587

3,355

40

슬로바키아

18,669

544

41

그리스

18,168

1,114

42

라트비아

17,230

192

43

트리니다드 토바고

16,197

137

44

바베이도스

16,082

28

45

헝가리

15,373

968

46

우루과이

15,332

346

47

폴란드

15,304

3,810

48

세인트 키츠 네비스

15,246

5

49

오만

14,423

482

50

팔라우

14,233

2

51

앤티가 바부다

14,159

10

52

파나마

14,090

416

53

크로아티아

14,033

416

54

루마니아

12,813

1,958

55

칠레

12,612

1,819

56

몰디브

12,464

44

57

세이셸

12,323

9

58

코스타리카

11,629

495

59

중국

10,839

141,851

60

말레이시아

10,192

3,204

61

러시아

9,972

14,391

62

불가리아

9,826

703

63

그레나다

9,824

10

64

세인트 루시아

9,780

17

65

모리셔스

8,951

126

66

나우루

8,867

1

67

카자흐스탄

8,782

1,840

68

가이아나

8,649

78

69

아르헨티나

8,433

4,468

70

투르크메니스탄

8,074

603

71

멕시코

8,069

13,075

72

몬테네그로

7,933

62

73

터키

7,715

8,270

74

도미니카

7,709

7

75

세르비아

7,497

696

76

도미니카 공화국

7,445

1,088

77

태국

7,295

6,926

78

이란

7,257

8,318

79

가봉

7,185

174

80

적도 기니

7,131

131

81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7,033

11

82

보츠와나

6,558

233

83

브라질

6,450

21,201

84

벨라루스

6,134

945

85

북마케도니아

6,019

208

86

페루

5,845

3,262

8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5,762

332

88

에콰도르

5,316

1,709

89

자메이카

5,221

272

90

콜롬비아

5,207

5,080

91

통가

5,023

10

92

파라과이

4,909

720

93

알바니아

4,898

284

94

남아프리카 공화국

4,736

5,962

95

이라크

4,438

4,000

96

조지아

4,405

372

97

피지

4,371

89

98

아르메니아

4,315

295

99

몰도바

4,268

264

100

과테말라

4,240

1,781

101

수리남

4,199

59

102

요르단

4,174

1,050

-

코소보

4,141

178

103

아제르바이잔

4,125

1,000

104

투발루

4,091

1

105

사모아

4,084

20

106

마셜 제도

4,071

5

107

나미비아

4,052

250

108

인도네시아

4,038

27,352

109

몽골

3,990

328

110

미크로네시아

3,855

10

111

엘살바도르

3,821

648

112

벨리즈

3,734

40

113

스리랑카

3,698

2,180

114

이집트

3,561

10,007

115

베트남

3,498

9,733

116

부탄

3,431

77

117

우크라이나

3,425

4,173

118

에스와티니

3,415

127

119

필리핀

3,373

11,001

120

카보베르데

3,358

55

121

알제리

3,331

4,390

122

볼리비아

3,322

1,157

123

튀니지

3,295

1,162

124

리비아

3,282

687

125

모로코

3,121

3,647

126

지부티

3,074

98

127

바누아투

2,879

28

128

레바논

2,745

609

129

파푸아뉴기니

2,652

877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YTN이 새해가 되자마자 어제(2일)까지 이틀 동안 실시한 여야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30.4%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는 이재명 경기도지사로 나타났는데 새해 첫날 전직 대통령 사면론을 제기한 민주당 이낙연 대표의 핵심 진보 지지층 일부를 흡수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새해 첫날과 이튿날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주자 1위는 윤석열 검찰총장이었는데 YTN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에서 윤 총장은 30.4%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습니다.

오차범위를 벗어난 1위로 이 정도면 검찰총장직 던지고 대선후보로 뛰어들어 신당을 만들어도 될 정도입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0.3%,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15%로 오차범위 안에서 2, 3위를 기록했습니다.

성향별로는 보수층과 중도층에서 윤석열 총장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진보층에서는 이재명 지사가 38.1%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으면서, 20.2%를 얻은 이낙연 대표를 크게 앞질렀습니다.

이낙연 대표가 새해 첫날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언급한 이후 핵심 진보 지지층이 이 지사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지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의 절반 이상이 윤석열 총장을 지지했고,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이재명 지사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ARS 조사로 다른 방식으로 실시한 조사와는 결과가 조금 다른데 샤이 보수의 성향이 조금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평가입니다.

하지만 다른 기관 조사를 봐도 윤 총장의 지지율 상승세는 두드러지는데 이재명 지사 역시 소폭 상승 추세이고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하락세입니다.

수치의 차이는 있지만 윤석열 총장의 상승세 만큼은 분명한 것으로 읽히는데 이번 조사는 새해 첫날부터 둘째 날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입니다.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해 대통령만들기가 돌아가고 있는 것 같은데 주식시장에서도 윤석렬관련주 찾기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대선국면에서 정치인 관련주가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학습효과가 되어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투자자들부터 선취매가 이뤄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7월까지 임기를 다 채우고 대선전에 뛰어든다면 본격적인 인사검증 작업에 들어갈 것이지만 언론을 장악하고 있는 재벌들의 지지를 받으면 30%정도 지지율로 대선을 넘보는 후보로 올라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민주당이 강경파인 이재명 지사와 온건파인 이낙연 후보로 쪼개져 있을 때 보수진영은 정권탈취를 위해 윤석열카드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Again 1987 전략은 다시 통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정의롭지도 그렇게 민주적이지도 않지만 국민들이 모르면서도 안다고 착가하고 언론이 만든 허상에 갖혀 있는 정치무관심층의 지지표로 대권을 가져갈 수 있는데 보수반동의 메테르니히식 정치가 다시 들어선다면 국민들과 경제민주화와 공정경제를 역행시키는 것에 투자자들도 분노하고 말 겁니다

한번 속으면 실수일 수 있고 두번 속으면 바보인증이며 세번 속으면 공범이라고 했습니다

여러분 주변에 공범들을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민주당을 지지했다 문재인을 지지했었다로 시작하는 말을 하는 사람들은 바로 여러분 주변의 공범입니다

민주당을 지지한 적도 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한 적도 없던 것들이 저런 말로 사람들을 현혹시키며 너도 전향하라고 말하는데 단호하게 "야 이 배신자야 난 바보도 공범도 아니다"라고 말하세요

경제민주화와 공정경제로 소액주주의 권리를 보장하고 공정한 시장의 룰을 통해 소액주주들의 이익이 보장되는 공정사회를 위해 노력하는 대선주자를 지지해야 할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윤석렬 관련주

서연

태양금속

태양금속우

노루페인트

노루페인트우

노루홀딩스

노루홀딩스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스피(KOSPI)가 사상 처음으로 종가 기준 2800선을 돌파하는데 성공했습니다.

24일 코스피는 2806.86에 장을 마쳤는데 전날보다 47.04포인트(p) 오르면서 불과 3일 전에 세워진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2778.68)를 갈아치웠습니다.

코스피는 올해 온탕과 냉탕을 모두 경험하고 있는데 올해 2월 들어 코로나19가 국내외에서 빠르게 퍼지면서 주식시장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져 특히 3월 19일은 두고두고 기억될 ‘충격의 목요일’로 코스피는 그날 장중 1439.43까지 떨어졌고 종가는 1457.64포인트를 기록했습니다.

다행히 코스피는 이후 빠른 속도로 회복했는데 3월 말에 1700선으로 올라섰습니다.

5월 26일엔 2000선을 회복했고 11월 3일 미국이 대선을 치른 이후부터는 회복세는 가속화 되었는데 특히 외국인들의 ‘사자’ 행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금리에 힘입어 개인투자자들의 유동성도 풍부해 주식시장에 돈이 넘쳐나고 있는데 그렇게 코스피는 3월 최저점을 찍은 뒤 9개월이 지나는 동안 92.6% 회복했습니다.

2800을 경험하면서 내년엔 3000 돌파도 가능하다는 낙관론이 시장에서 힘을 얻게 됐는데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은 이달 초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시장보고서에서 “내년 말 코스피가 3200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실현된다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주식시장이 설치된 1956년 이래 가장 대형사건으로 기록될 것 같은데 하지만 지금의 ‘백신 효과’와 저금리 재료 등이 사라지면 거품이 꺼질 수 있단 신중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연초 코스피 지수가 급락하면서 재벌오너일가에서 상속과 증여가 활발하게 이뤄졌는데 이건희 회장도 오랜 투명생활을 마치고 사망하면서 삼성그룹의 상속세가 확정되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접어들어 코스피 3000은 시장참여자들이 꿈에 지수로 생각되는 숫자인데 주식시장이 활황을 보이기만 하면 소환됐다가, 어느새 사라지곤 했습니다.

과거 대통령 후보들도 즐겼던 대선 구호였는데 주가지수는 유권자들이 경제 성과를 체감하는 대표적인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17대 대선을 코앞에 둔 2007년 12월 이명박 당시 한나라당 후보는 “정권교체가 되면 내년 증시는 3000을 돌파할 수 있고 임기 5년중 5000까지 갈 것”이라고 한 증권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주장했는데 국내 증시가 저평가됐다는 전제를 깔면서 내놨던 얘기였습니다.

코스피가 1920 수준이던 시절인데 이후 MB의 호언장담과 시장지수는 반대로 움직였습니다.

그로부터 5년 뒤엔 박근혜 당시 대선후보가 여의도 한국거래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5년 내에 코스피 3000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는데 당시 코스피는 2000를 눈앞에 둔 시점이었는데 박근혜 전대통령이 당선됐지만 주가지수는 2017년 1분기까지 1900~2000포인트를 맴도는 박스권에 갇혀 있었습니다.

경제에 좋을 것같은 국민의힘이 집권했을 때 주가지수는 항상 박스권에 갇혀 있었는데 규제철폐와 재벌대기업에 대한 지원은 부정부패와 연결되어 국민경제 전반을 살찌우기 보다는 권력형 비리에 기인한 부정부패로 경제성장에 천정을 씌워 버린 것입니다

특히 재벌오너일가의 경영권 세습 과정에서 각종 특혜를 통해 투자자들의 이익보다는 오너일가의 이익을 챙겨주다 보니 주가지수를 오를 래야 오를 수 없었을 겁니다

결국 현 집권세력이 경제도 살리고 증시도 살리는 성장을 가져온 것은 국민의힘이 맨날 떠드는 국민경제를 망쳤다는 주장과는 반대되는 결과를 가져온 아이라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가지수를 보고도 그저 숫자로만 보이는 사람들은 결코 현명한 투자자라고 할 수 없을 겁니다

그 숫자가 갖고 있는 의미들을 이해하고 길게 보는 안목을 키울 수 있어야 투자에서 수익을 낼 수 있을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