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성과급 논란을 빚어왔던 네이버가 3년간 매년 1000만원 상당의 자사주를 전직원에게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네이버는 19일 오전 임시 이사회를 열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직원들에게 무상으로 부여하는 '스톡그랜트(stock grant)' 프로그램 도입을 승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임원을 제외한 네이버의 전직원은 올해부터 3년간 매년 1000만원 상당의 자사 주식을 지급 받게됩니다.

스톡그랜트는 의무 보유 기간 없이 설계 돼 바로 매도해 현금화할 수 있는데 매년 2회 (7월 초, 다음 해 1월 초) 당해년도의 재직 기간에 따라 분할 부여되며 올 7월 초에 첫 번째 지급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새로운 보상 프로그램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 가능해야 된다는 회사의 보상 철학에 기반해 개인의 성장과 회사 성장을 연계시키는 방안으로 구상해 왔다"면서 "스톡그랜트는 이러한 네이버의 고민이 담긴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로써 네이버는 스톡옵션, 스톡그랜트, 주식 매입 리워드 등 총 3가지의 주식 보상 프로그램을 갖추게 됐는데 네이버는 지난 2019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매년 전직원에게 1000만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지급해왔고 또 주식을 직접 매입하는 직원들에게 매입 금액의 10%(연간 200만원 한도)를 현금으로 지원하는 주식 매입 리워드 프로그램도 운영 중입니다.

이러한 보상 정책은 성과급을 둘러싼 노사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앞서 네이버는 올해 초 성과급을 전년 수준으로 동결하면서 내부 갈등을 빚었는데 네이버 노조는 회사가 사상 최대의 실적을 기록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한 성과급을 지급했다며 성과급 산정 방식 공개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연초부터 대기업들의 인센티브 문제로 시끄러운데 코로나19사태 속에서도 비대면 문화 보급으로 큰 수익을 낸 네이버 같은 회사는 직원들이 기대하는 바가 컸지만 실망스런 인센티브로 직원들의 반발을 샀는데 솔직히 경영진들은 직원들이 열심히 일해 줘 수익이 난 것이 아니라 코로나19사태와 비대면문화 덕을 본 것으로 직원들의 기어도를 낮게 본 것 같습니다

오히려 재택근무 가운데 직원들의 필요성이 낮아지면서 오히려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해 수익성일 높이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기도 하는데 이번에 도입한 '스톡그랜트(stock grant)' 프로그램도 따지고 보면 회사에 남아 있어야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것으로 앞으로 있을 인력구조조정으로 떠날 사람들은 수혜를 볼 수 없는 것에 불과합니다

코로나19사태 속 반사이익을 본 네이버지만 내부적으로 재택근무가 활성화 되면서 직원들의 생산성과 수익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주주입장에서 직원들에게 스톡그랜트를 주기 위해 자사주 매입을 하는 것은 긍정적일 수 있지만 이후 이 물량이 매물로 쏟아질 수 있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