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흠뻑쇼에 참석한 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데 여름철 물놀이 행사가 곳곳에서 열리는 가운데 코로나19 확산의 기폭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물'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대규모 행사에 사람이 밀집하면서 방역수칙이 지켜지지 않은게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26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물 뿌리는 형태의 대규모 공연에 갔다가 확진됐다'는 제보와 사례가 잇따른다는 지적에 "해당 상황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다"며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박 팀장은 "현재 어떤 행위가 위험 요인이 될지에 대해서는 조사가 좀 필요한 부분"이라며 "다수 대중이 모이는 군중 행사, 대규모 콘서트 같은 경우에는 감염·전파의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부분에 대해선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고 밝혔습니다.
방역당국에선 '흠뻑쇼' 사례를 집단감염으로 분류하는 것과 관련해 "지자체에 관련 사례 여부를 확인 중"이라며 "추가 정보가 확인, 정리되는 대로 공개하겠다"고 했습니다.
확진 사례가 잇따르자 공연 관람이 예정된 시민들의 불안도 높아지고 있는데 밀집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개인방역에 둔감해지기 때문에 여기서 집단감염 원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방역당국은 지난 6월 물을 뿌리는 축제나 행사 자제를 요청한 적이 있는데 마스크가 젖으면 감염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땀이나 물에 젖은 마스크 착용을 권하지 않는 것은 세균 감염 등 위생상의 이유와 습기로 인해 호흡이 어려워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라며 "물에 젖은 경우 마스크 교체 등 적정한 조치를 권장한다"고 했습니다.
최재욱 고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수인성 바이러스라면 물이 전파 경로가 될 수 있지만 호흡기 바이러스는 그렇지 않다"며 "코로나19의 전파가 물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것은 비과학적이고 대중의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설명했는데 최 교수는 "대규모 행사에서 많은 사람이 밀집하고, 행사 전후 과정에서 밥이나 술을 먹는 등 접촉 과정이 많아지면서 코로나19가 전파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년만에 부활한 싸이의 대표적인 여름콘서트 흠뻑쇼가 새로운 집단감염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 심정민 소령 순직을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씨가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0) | 2022.07.27 |
---|---|
윤석열 대통령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 지칭 "토사구팽" (0) | 2022.07.27 |
윤석열 대통령과 김진표 국회의장 살해 협박 경찰 또 수사 착수 (0) | 2022.07.26 |
피겨여왕 김연아 연하남 성악가 고우림과 결혼 (0) | 2022.07.25 |
일본 가고시마현 사쿠라지마 섬 대규모 분화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