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샤넬매장 오픈런

안녕하세요

코로나19 보복소비를 부르짓는 국내 기레기들의 지원속에 글로벌 명품브랜드라는 사치품들의 영업관행이 선을 넘고 있지만 여전히 백테크라는 이름으로 오늘이 가장 싼 명품백이라는 이미지를 만들며 명품백 소비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콧대가 더욱 높아잘데로 높아진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거침없이 가격을 올리고 있는데 1년 새 샤넬백은 가장 인기가 많은 '클래식 백' 기준으로 1,000만 원이 없으면 사지 못하는 고가브랜드가 됐고 샤넬은 올해만 국내에서 4번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디올도 올해 3번 올렸으며, 루이비통과 프라다는 무려 5번이나 가격을 인상했는데 그러나 이중 단 한 번도 소비자에게 미리 공지된 적은 없이 명품 브랜드 특유의 기습 인상과 늘어나는 인상 횟수에 소비자들만 바보된 꼴인데 "오늘이 가장 싼 명품백"이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일부러 사전 공지 없이 전격적으로 가격인상을 단행하고 있는 건방진 마케팅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4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샤넬은 전날 핸드백 등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는데 대표 핸드백인 '클래식 스몰'의 가격은 893만 원에서 1,052만 원으로 17.8% 인상됐고 '클래식 미디움'은 971만 원에서 1,124만 원, '클래식 라지'는 1,049만 원에서 1,210만 원으로 15%가량 각각 올랐습니다.

 

이번 인상으로 샤넬 클래식백 라인은 지갑 크기의 미니 사이즈를 제외하고 사실상 모든 가방이 1,000만 원을 넘게 됐고 지난해 11월 '클래식 맥시' 가격이 1,000만 원을 돌파했고, 올해 7월 맥시보다 약간 작은 '클래식 라지'가 1,000만 원에 돌파하면서 '1,000만 원백' 대열에 합류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 달부터 국내외 명품업계에 샤넬이 11월에 가격을 올린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최근 백화점 앞에는 개장 전부터 길게 줄을 늘어서는 '오픈런' 행렬이 이어졌는데 인상 직전인 지난 2일에는 샤넬 매장이 있는 전국 주요 백화점 곳곳에 수백명의 인파가 몰려들었습니다.

 

샤넬은 매년 두 차례 가량 3~5% 가량 가격을 올려왔지만, 올해 들어 인상 횟수가 네 번으로 늘었고 인상폭도 10%대를 웃돌며 커졌는데 앞서 지난 7월 인상 때도 클래식백 가격을 14%가량 올린 바 있습니다.

 

이렇게 가격을 두달에 한번 꼴로 올려도 비싼 돈을 내고 사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인데 명품브랜드들이 오직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서만 이런 식으로 가격인상을 단행하며 베짱 영업을 하는 이유는 그 만큼 시중에 눈먼돈이 많다는 증거가 될 겁니다

 

과잉 유동성이 만들어낸 촌극이기도 한데 유럽과 미주에서는 이런 식으로 무리해 가격인상을 단행하지 않고 있는 것은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서구인들의 소비관행이 우리와 차이를 보이기 때문일 겁니다

 

우리나라는 명품백계라는 것이 생겨날만큼 명품백에 대한 대중화가 이뤄지고 있어 동네 아줌마도 샤넬백 하나 정도는 갖고 있다는 말이 있을만큼 흔한 백이 되어 10초백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입니다

 

남들이 가지면 나도 가져야 한다는 시기심에 구매가 늘어나는데 이들 명품브랜드들이 우리나라에서 벌어들인 수익은 대부분 고스란히 해외로 빠져나가는 돈이라 힘들게 수출로 벌어온 달러가 해외로 순시간에 빠져 나가는 효과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보복소비 운운하고 "오늘이 가장 싼 명품백"이라는 슬로건으로 여성들의 조바심에 불을 댕겨 명품브랜드 소비를 진작시킨 것은 해외여행이 막히면서 면세점 매출이 줄어든 것을 보상하려는 마케팅이 먹히고 있다는 것으로 어느 정도 이해는 되는 측면이 있지만 우리 사회에 전혀 기여하는 바가 없는 명품브랜드에 너무 많은 돈이 몰려가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소비도 어느 정도 선을 지키며 해야 하는데 솔직히 저런 대우를 받으며 소비를 하는 것은 힘들게 돌 벌어온 사람들에게 예의가 아닌 것 같습니다

 

솔직히 한심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자존감을 내세울 것이 저런 백 밖에 없기 때문인지 안타까운 심정도 듭니다

 

그래도 정도껏 했으면 하는 생각도 듭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