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후쿠시마 원전사고

안녕하세요

중국이 오는 2035년까지 신규 원자로 150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투입되는 자금만 최대 4,400억 달러(약 520조 원)에 이르는 원전굴기로 2060년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 배출이 적은 원자력 에너지를 확대한다는 논리이지만 인구밀집지역인 동부 해안지역의 전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보입니다.

 

계획대로라면 현재 원자로 52기를 보유해 세계 3위인 중국이 단숨에 압도적 차이로 1위 원전국에 올라서게 되는데 오는 8~11일 6중전회를 앞둔 시진핑 국가주석이 탈(脫)탄소를 명분으로 미국 등 원전 강국을 제치는 ‘원전굴기’를 키우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 시간) 중국이 2035년까지 총 147GW(기가와트) 규모의 신규 원자로 150기를 만들 계획이라고 보도했고 이는 당초 계획인 ‘2030년 100기 추가’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해마다 원자로 10기가 신설된다는 것으로 매년 6~8기의 추가 원자로 건설을 예상했던 중국 원자력 업계의 추정을 뛰어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150기는) 지난 35년 동안 전 세계에서 지어진 원자로보다 많은 숫자”라고 전했는데 투입 예산은 최소 3,700억 달러에서 많게는 4,400억 달러에 달합니다.

 

중국은 원자로 추가 건설로 탄소 배출을 연간 15억 톤가량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중국이 1위 탄소 배출국인 만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라도 비화석 연료인 원자력 에너지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세계적인 탈탄소 흐름으로 각국은 군비경쟁을 하듯 원전 증설에 나서고 있는데 조 바이든 미국 정부는 차세대 원전인 소형원전(SMR) 개발에 32억 달러(약 3조 7,000억 원)를 투입할 예정이고 한때 ‘탈원전’을 선언했던 프랑스도 지난달 10억 유로(약 1조 4,000억 원)를 들여 SMR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히며 원전건설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수년 전부터 ‘원전 굴기’를 추진해온 중국은 이런 분위기를 호기로 삼아 자국 원전의 경쟁력을 팽창시켰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는데 미 정부가 운영하는 미국의소리(VOA)는 “중국은 원자력을 핵심 제조업 분야로 보고 육성해왔다”고 분석했습니다.

 

글로벌 원전시장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수주가 급증하면서 미국이 SMR(소형원전) 분야에서 한미원전동맹을 추진하는 이유가 바로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려는 의유가 숨겨져 있는 것입니다

 

중국 원전 건설은 전력난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는 사안이지만 중국 동부해안가에 몰려 있는 원전의 안전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만에 하나 사고가 났을 경우 방사능 낙진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무분별한 원전건설이  우리나라에도 안전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