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_CDiMAEpN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KDB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20일 HMM 경영권 공동매각을 위한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매각절차를 개시했습니다.

 

앞서 지난 4월 10일 산은과 해진공은 매각자문단(삼성증권, 삼일회계법인, 법무법인 광장)을 구성하고, 매각타당성점검 컨설팅을 통해 올해 중 HMM 경영권 매각에 착수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는데 그 동안 들어간 공적자금 회수나 해운업 경쟁력 제고 보다는 도장값을 챙기려는 권력실세의 의중이 들어간 매각이 아닌가 의구심이 듭니다.

 

이번 경영권 매각은 국가계약법에 따른 공개경쟁입찰로 진행되는데 2단계 입찰을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연내 주식매매계약체결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으로 이렇게 될 경우 연내 인수자가 결정되기 때문에 내년 총선자금을 챙길 수도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매각 대상지분은 총 3억9900만주로 현재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영구채 포함 희석기준 지분율 약 38.9%로 잔여 영구채는 HMM의 상환권행사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으로 전환주식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인수자와 협의하에 처리할 예정입니다.

 

산은 관계자는 "HMM의 국가경제적 중요성을 감안, HMM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능력있는 인수자에게 경영권을 매각할 것"이라며 "급변하는 해운산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HMM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주가가 연중 최저가 부근에서 헤매고 있을 때 매각하는 것이라 인수자측에 유리한 딜이 될 수 있습니다.

 

HMM을 인수하는 그룹이 국내 1위 국적해운사를 갖게 되는데 대우조선해양을 헐값에 인수한 한화그룹이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같은 특혜를 준다면 다시 뛰어들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어 벌써부터 여러 소문이 돌고 있는 상황입니다

 

HMM의 경영권을 가져가기 위해 KDB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약 38.9% 지분을 확보해야 하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자금이 약 8조원원 정도로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할 경우 16조원에 달해 인수할 수 있는 대상자는 삼성, 현대차, SK, LG, POSCO 정도에 불과합니다

 

해외 사모펀드들도 욕심을 부리고 있는데 이럴 경우 몇 년 후에 국내 기업이 다시 사들여야 해서 20조원이 넘는 인수비용이 들오갈 수도 있게 되어 국부유출 논란이 일 수 있어 쉽게 결정하진 못하겠지만 윤석열 정부라면 국민 눈치 보지 않고 마음대로 하기 때문에 가능한 시나리오가 될 수 있습니다

 

지난 번 예상 했듯이 역시나 총선전에 서둘러 매각을 진행하고 있어 총선자금 마련용 매각이 아닐까 의구심이 들어 대우조선해양 때와 같이 헐값매각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HMM이 산업은행의 3,0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를 주식으로 전환한다는 소식에 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15일 오전 9시47분 현재 HMM은 전 거래일 대비 4.54%(2,100원) 내린 4만4,1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날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온라인 이슈브리핑에서 HMM CB 주식 전환 여부에 대해 “당연히 전환할 것이고,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전환을 하면 이익이고 이 기회를 포기하면 (산은의) 배임"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산은이 보유하고 있는 3,000억원(6,000만주) 규모 HMM CB는 오는 30일 만기가 도래하는데 CB 전환가격은 주당 5,000원, 전날 HMM 종가인 4만6250원으로 계산하면 평가차익만 약 2조 4,750억원 수준입니다.

이 회장은 HMM 주가 하락 우려에 대해서는 "두고 봐야 한다"며 "시장에서의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전환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시장가격에 포함돼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HMM 매각 계획에 대해서는 "다른 고려 요소까지 포함해서 단계적인 방법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조금 더 시간을 두고 검토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HMM의 현 주가를 감안할 때 산업은행의 대기업구조조정에서 성공사례라 할 수 있는 정도인데 단기간에 해운업황이 붐업되면서 산업은행의 투자가 적절한 타이밍이었다는 사실을 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MM에 대한 산업은행의 투자회수는 당연한 것인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블록딜로 하거나 경영권 M&A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럴 경우 현재 시세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인정받아 매각하기 때문에 더 큰 차익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진해운 파산으로 해운업에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다고 국민의힘이 비난을 해 댔지만 국적해운사의 필요성은 이번 해운대란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으로 태평양 노선을 장악한 중국 해운업체들이 한반도를 패싱하고 지나치면서 우리 기업들의 수출물량이 항국에 발이 묶기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HMM과 국내 해운사들의 추가적인 선박 투입과 친환경 대형선박의 운용은 해운호황의 호기를 제대로 실적과 연결시키는 호기를 잡은 모습입니다

돌이켜보면 이런 산업은행을 이명박 정부에서 공기업 민영화라는 명분으로 팔아먹으려고 했다는 점에서 아찔하다 아니할 수 없습니다

한진해운 파산과 공기업민영화 같은 국민의힘 정부시절 주요 정책들에 대해 왜 그런 정책을 펴서 국부를 팔아 먹고 경쟁력을 약화시켰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KDB산업은행이 전환사채의 전환권을 행사할 경우 확실한 경영권 지분을 확보하게 되고 이는 곧바로 경영권 매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집니다

POSCO와 HDC현산 등이 해운업 진출에 의욕을 나타내고 있어 HMM의 흥행성공은 안 봐도 비디오인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우건설 매각이 흥행 조짐을 보이면서 #효성중공업 이 계열 건설사 #진흥기업 의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리가 나오면서 관련주들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진흥기업은 채권단 보유 지분만 쪼개 팔고 있었는데 최대주주 지분을 합친 #경영권 매각 으로 바뀌면서 성사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업계에서는 대우건설 매각 과정에서 중견기업과 사모펀드들의 수요가 드러난 만큼 대우건설 매각이 끝나고 인수에 실패한 기업들 대상으로 진흥기업 인수를 타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효성중공업은 #진흥기업경영권매각 을 위해 매각 주관사를 선정하고 이르면 이달 투자설명서를 발송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매각 대상은 효성중공업 지분 48.21%와 채권단 지분을 포함한 80.58%로 매각가는 2,800억 원 안팎이 예상되는데 상장사인 진흥기업의 주가가 그대로 반영된 가격으로 채권단이 지분 매각 시 설정한 최저 하한선에 해당하는 가격이기도 합니다.

표면적인 매각자는 효성중공업 뿐이지만 채권단도 지금까지 별도로 지분 매각을 추진해 온 만큼 이번 경영권 매각이 성사되면 함께 지분을 넘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흥기업은 2011년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채권단이 보유한 #무담보채권#출자전환 됐고 채권단은 #우리은행, #KDB산업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채권단은 2019년부터 지분 매각을 시도했지만 경영권이 없는 소수 지분이어서 매각에 실패했는데 최근에는 진흥기업이 #오세훈테마주 로 묶이면서 주가가 2배 이상 오르자, 우리은행 등 지분을 떼어 장내에 팔았고 한때 44.11%에 이르던 채권단 지분은 현재 32.92%로 줄어든 상태입니다.

도로·교량 등 토목 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던 진흥기업은 2020년 싱공능력 평가액 기준 도급순위 52위에 해당하는 중견 건설사로 2008년 효성그룹이 인수한 뒤 2019년 인적 분할로 효성중공업 자회사가 됐는데 효성그룹에 인수되면서 토목공사보다 주택사업으로 확장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수주 규모는 총 4조 7,485억 원으로 #부평4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 등 민간건축이 5,925억 원, 인천가스저장탱크 등 관급토목이 2,222억 원, 파주운정LH아파트 등 관급건축이 262억 원 가량 됩니다.

매출은 2017년 5,733억 원과 2020년 3,772억 원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각각 217억 원과 203억 원으로 나타났는데 외형은 줄었지만 부채비율은 313%에서 138%로 개선했습니다.

솔직히 MB의 사돈그룹이었던 효성그룹이 #4대강사업 진출을 위해 토목공사 위주의 진흥기업을 인수한 것은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이 되어 왔는데 4대강 사업이 끝나고 적자에 시달리던 진흥기업을 채권단 관리로 떠넘기면서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쳐 실적호전을 이뤄낸 상태입니다

효성그룹이 더 이상 건설업에 미련이 없기 때문에 매각에 나서면서 채권단도 부담을 덜게 된 것으로 구조조정이 끝나고 토목공사에서 주택건설로 사업영역이 확장된 건설사라 매력적인 매물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효성중공업과 채권단 지분을 모두 인수할 경우 최대주주 지분이 80%에 달해 경영권 안정도 확보된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KDB산업은행(이하 산은)이 카카오의 차세대 핵심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1000억원을 투자했습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가 AI(인공지능) 기반의 B2B(기업간거래) 플랫폼 사업 진출을 위해 2019년 12월 설립한 자회사로 메신저 기반의 업무 협업 도구인 '카카오워크(Kakao Work)', 기업용 클라우드 '카카오 i 클라우드(Kakao i Cloud)' 등을 통해 B2B IT 시장에 진출 중입니다.

이번 투자는 그간 해외자본에 의존해 온 대형 스케일업(Scale Up) 투자를 국내 기관이 단독으로 실행한 이례적 사례로 평가되는데 국내 기관에 의한 대형 스케일업 투자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인데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기업당 평균 벤처투자금액은 미국이 154억원인데 반해 한국은 27억원으로 격차가 큰 편입니다.

이에 이동걸 산은 회장은 평소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내 벤처투자 시장이 단순히 스타트업에 돈을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해당 업체에 대한 후속 투자 등 스케일업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해왔습니다.

신산업과 신기술 육성을 위해 초기 단계를 벗어나 고성장을 추구하는 기업에 충분한 자금을 투입해 회사의 성장을 돕고, 투자자 입장에서도 향후 투자 결과물을 향유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산은은 우량 스타트업에 대한 대형 투·융자 직접 지원을 위해 지난해 초 스케일업금융실을 신설했는데 이번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대한 투자를 포함해 지금까지 14개 기업에 각각 100억원 이상의 대형 투자를 실행했습니다.

이 회장은 "성장가능성이 높은 우량 스타트업에 대한 과감한 금융지원이 요구되는 시대적 상황에 맞춰 혁신기업에 대한 대규모 스케일업 투·융자와 차별화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올해부터 5년간 1조원 규모의 '한국판 뉴딜 벤처·스케일업 투융자 프로그램' 신설 등을 통해 혁신성장 주요 분야 핵심 기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산업은행이 국민경제의 위기시마다 소방수가 되어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두산그룹과 아시아나항공 같은 대기업구조조정 뿐 아니라 벤처투자까지도 역할을 해 주고 있어 멀티플레이어라는 말을 들을 만 합니다

이런 산업은행을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공기업 민영화라고 해서 민간 재벌에 팔아버릴뻔 했다는 사실은 모두 잊고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국책은행으로 산업은행의 역할을 대체할 금융기관이 딱히 없다는 측면에서 민간에 팔아먹지 않은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진중공업 우선협상대상자에 한국토지신탁·NH 프라이빗에쿼티(PE)·오퍼스 PE 컨소시엄이 선정됐습니다.

예비입찰까지만 해도 경쟁자였던 한국토지신탁과 NH PE 컨소시엄이 본입찰 직전에 손을 잡고 유일한 전략적 투자자(SI)·재무적 투자자(FI) 조합으로 떠오르면서 승기를 가져갔다는 분석입니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진중공업 주채권자인 KDB산업은행은 한국토지신탁·NH PE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채권단협의회에 통보했는데 채권단은 늦어도 24일까지 이 같은 결정을 확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토지신탁·NH PE 컨소시엄은 본입찰에 참여한 KDBI·케이스톤파트너스, SM상선에 비해 소폭 높은 매각가를 써낸 것으로 전해지는데 세 원매자가 제시한 매각가는 4000억~5000억원 선에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지난 9월 말 매각 공고가 나왔을 당시만 해도 시장에서는 한진중공업 몸값을 4000억원 수준으로 점쳤지만 그간 주가가 6000원 선에서 8000원 선으로 올라 17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이 6720억원까지 오른 상황입니다.

시가총액과 인수자 측이 써낸 가격에 차이가 있는 만큼 안건 통과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매각 대상은 산은 등 금융기관 지분인 보통주 63.44%와 필리핀 금융기관이 소유한 20.01%로 한국토지신탁 컨소시엄이 한진중공업을 품게 되면 한국토지신탁 자회사인 동부건설이 영도조선소 용지를 활용해 시너지를 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는 일찍부터 바닷가를 끼고 있어 고급 아파트 단지로 개발할 경우 상당한 부동산 개발차익이 가능하다고 평가되고 있었습니다

한진중공업 법정관리로 오히려 영도조선소 부지 개발에 부담이 사라지게 된 것으로 동부건설이 시공사로 나설 경우 경쟁력 있는 가격에 부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