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두산그룹 오너일가가 두산퓨얼셀 532만주를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로 처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을 비롯한 오너일가는 두산퓨얼셀 보통주 532만7,270주를 처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블록딜 주관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는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지난 5일 수요예측에 돌입한 바 있는데 참여자 대부분이 해외 기관투자자였던 것으로 전해지며 이날 기관 경쟁률은 6대1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매도 물량은 보통주 기준 지분율 8.13% 이르는데 매각가는 이날 종가(5만7,000원)에 할인율 9.6%를 적용한 5만1,528원으로 확정됐고 두산 오너일가는 2,770억원을 현금화하게 됐습니다.
지난해 10월 오너일가가 블록딜로 지분을 내놓은 이후 3개월만에 잔여 지분을 모두 처분하게 됐는데 당시 두산퓨얼셀 총 발행주식의 19.7%인 1,093만주가량을 내놨지만 국내외 기관투자자의 참여는 목표치의 절반 수준인 560만주에 그친 바 있습니다.
지난 10월 오너일가는 당시 종가(4만3,250원)에 할인율 최대치인 18%를 적용한 3만5,465원으로 가격을 결정한 바 있는데 당시 두산퓨얼셀은 블록딜 직후인 지난 12월 3,300억원 규모 공모 유상증자를 앞두고 있었는데 유상증자 발행가(3만3,600원)와 비교하면 가격 매력이 없어 기관들의 외면을 받았다는 분석이 따랐습니다.
이후 3개월간의 락업이 풀리자 곧바로 잔여 지분 매각에 나섰는데 직전 블록딜보다 주당 매도 가격은 30%가량 높았지만 해외 기관 중심의 수요가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두산그룹의 구조조정이 순항 중인 가운데 두산퓨얼셀의 주가도 유상증자 이후 상향세를 이어온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박 회장 등 두산 오너일가는 두산퓨얼셀 보유 지분 23%를 두산중공업에 무상 증여하는 사재출연을 결정한 바 있는데 블록딜로 마련한 자금은 주식 담보 대출 상환과 양도세 납부 등에 쓰일 예정입니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두산퓨얼셀의 최대주주인 두산중공업㈜ 및 그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은 기존 46.59%에서 38.45%로 조정됐습니다
두산그룹 구조조정이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는데 두산퓨어셀을 두산중공업 자회사로 만들면서 오너일가는 사재출연을 마무리했습니다
두산건설의 1조원대 미분양으로 시작된 두산그룹 유동성 위기가 약 3조원대 자산매각으로 고비를 넘기게 된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DB산업은행 카카오의 차세대 핵심 계열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1000억원 투자 (0) | 2021.01.06 |
---|---|
대한항공 6일 임시 주주총회 유상증자 위한 정관 변경 가결 국민연금 반대에도 성공 (0) | 2021.01.06 |
디스플레이장비주 모바일 디스플레이 OLED전환 수혜 기대감 (0) | 2021.01.06 |
제닉 지난 해 4분기 실적호전 기대감에 선취매 유입 (0) | 2021.01.06 |
CJ ENM 드라마 제작 자회사 본팩토리 할리우드 엔데버 콘텐츠와 글로벌 콘텐츠 공동제작에 관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0)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