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gFextiXRQ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가전용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전문 기업인 어보브반도체는 삼성전자, LG전자를 비롯해 중국 샤오미, 레노보 등 국내외 가전사에 모바일 솔루션, 파워솔루션,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어보브반도체의 실적부진은 고객사의 실적둔화에 따라 MCU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인데 매출은 2022년 1348억원에서 지난해 936억원으로 감소하면서 실적부진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 인수한 반도체 전후 공정 기업 윈팩은 꾸준히 실적이 증가하고 있는데 세부공정 패키징(PCG)과 테스트(TEST)로 인한 실적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 해 매출에서 패키징이 차지하는 비율도 16%에서 30%로 상승했고 테스트(TEST) 매출은 2022년 47억원에서 지난해 125억원으로 3배가량 증가했습니다

 

어보브반도체는 기존 가전 시장과 더불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화합물 전력반도체를 내세울 전망이고 최근에는 인공지능(AI) 가전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삼성전자 웨이퍼 생산 업체 SK실트론과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DB하이텍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탄화규소(SiC)·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어보브반도체는 자사주와 자회사 윈팩 지분을 활용해 교환사채(EB)를 200억원 규모로 발행했는데 둘 다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0.0%로 설정됐고 만기일은 2028년 8월13일입니다

 

어보브반도체의 주요 고객사들이 소비자 가전사업을 하고 있어 원달러환율이 급등하는 것은 수출 증가 기대감을 키우고 있어 내년 트럼프의 보편관세에도 수출증가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어보브반도체 20241122_기업IR협의회.pdf
2.4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에서 미래먹거리 탐색을 위한 전담조직이 꾸려지고 이 곳에 전영현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 부회장이 발탁되면서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에 삼성그룹이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 부회장은 LG반도체를 거쳐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에서 30년 가까이 근무한 반도체 전문가로 삼성에서 D램 설계팀장, 개발실장, 메모리 사업부장 등을 역임하며 반도체 신화를 쓴 주역으로 삼성SDI에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배터리 사업 역시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켰다

 

전영현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 부회장은 상대적으로 삼성전자가 뒤쳐지고 있는 시스템반도체 분야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M&A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수성에 안주하지 않을 것이라는 메세지로 해석됩니다

 

이건희 선대 회장 지시로 꾸려진 신사업추진단은 삼성의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의 수장 김순택 부회장을 필두로 태양광·LED·자동차용 전지·바이오·의료기기 등 5대 신수종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 냈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단기간 안에 세계적인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 자리매김한 것은 삼성그룹의 집중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삼성그룹이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시스템반도체를 점찍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시스템반도체 업체들의 몸값이 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시스템반도체 관련주 

퀄리타스반도체

이미지스

칩스앤미디어

어보브반도체

제주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리노공업

DB하이텍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BHLuBlt9ma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보브반도체는 백색가전, TV, 모바일 및 소형가전, 로봇 등 각종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을 설계 생산하는 팹리스 업체로 핵심기술인 설계능력 기반에 외주관리를 통해 제조 생산하고 있습니다

 

어보브반도체의 주요 제품은 생활가전에 들어가는 Home Appliance MCU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Mobile Solution MCU, Remote Controller MCU 등으로 다양한 분야 사용되고 있고 최근 로봇분야에도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어 몸값이 올라가고 있는 팹리스 기업입니다

 

어보브반도체는 기본적으로 매그나칩 반도체의 MCU 사업부문을 인수해 사업을 시작했고 M&A를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해 왔습니다

 

MCU는 전자제품의 두뇌역할을 하는 시스템반도체라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는데 로봇산업의 성장과 함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있는 분야입니다

 

삼성전자도 시스템반도체 분야를 키우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SK하이닉스도 탐을 내고 있는 분야로 어보브반도체의 몸값이 올라가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로봇분야의 성장은 MCU의 가치를 올려주고 있는데 기존 생활가전이 저가의 MCU였다면 로봇분야 MCU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수익성 개선에 큰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어보브반도체를 노리는 대기업들이 많은데 어보브반도체를 인수할 경우 단번에 글로벌 MCU시장에서 주요 마켓플레이어로 올라설 수 있기 때문에 인수할 가치가 있는 회사입니다

 

삼성전자, LG전자, 위니아, 위닉스 등 국내 가전사들을 비롯하여 중국의 Midea, XIAOMI, Lenovo 및 일본, 유럽, 미국의 유수한 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고, Touch Sensor, Ambient Light Sensor 등의 Sensor 사업 및 각종 Driver IC를 개발 공급하며 신규시장을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로봇산업의 성장은 어보브반도체에게 고부가가치 신시장이 열린 것이라 평가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인수하면서 전기전자 분야에 대기업에 의한 M&A 기대감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어보브반도체의 지난 해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8,000원 정도로 평가되는 데 올 해 들어서 연초에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한 삼성전자의 투자와 M&A로 대기업이 인수를 탐낼 기업으로 몸값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어보브반도체 20210805.pdf
1.15MB
어보브반도체 20220802 KB증권.pdf
0.55MB

https://youtu.be/kJybFTGCE24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5DR_YCWblE

안녕하세요

차량용반도체 부족사태가 횟수로 2년여를 넘기면서 완성차 업체들의 차량용반도체 내재화 선언이 속속 나오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반도체는 가전용이나 스마트폰용보다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산순위에서 후순위로 배정되어 코로나19 공급망 위기에 부족사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전동화가 가속화되면서 일반 차량에서 필요로하는 반도체수도 급증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내연기관차량이 약 300개 정도의 반도체가 필요하다면 전장화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량에는 약 1000여개의 반도체가 필요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5천만원이 넘는 자동차를 만드는데 500원짜리 차량용반도체가 없어 생산을 못하는 우스꽝스런 상황이 자동차업계에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경우 내연기관에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로 경쟁 완성차업체보다 먼저 전환하기로 발표한 상황에서 차량용반도체 부족은 현대차그룹의 계획차질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모비스를 중심으로 차량용반도체 내재화를 추진하기로 했는데 전력용반도체는 현대모비스가 내부 조직을 반도체사업부로 격상해 직접하고 고성능반도체는 외부협력업체를 늘려가는 방향으로 차량용반도체 부족사태를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차량용반도체 팹리스업체 인수합병도 고려하고 있어 현대차그룹발 반도체M&A 바람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가 삼성전자와 같은 세계적인 반도체 업체를 옆에 두고도 직접 차량용반도체 내재화에 나서는 것은 삼성전자 스스로가 저부가사업인 차량용반도체 사업에 투자를 기파하는 것도 이유가 있지만 삼성그룹의 삼성차 사업 진출이후 소원해진 관계가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몽구 왕회장이 살아 있는 한 삼성과 거래는 없다는 말처럼 정의선 회장 시대로 넘어왔어도 삼성SDI의 배터리는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모델에 탑재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차량용반도체 내재화에 나선 이상 차량용반도체 상장사들은 잠재적인 M&A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데 최근에 상장한 앤씨앤 계열사인 넥스트칩은 가장 먼저 거론되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차량용반도체 개발과 제조를 하는 업체들이 현대차그룹의 인수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어 몸값을 올리기 좋은 시기가 찾아온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차량용 반도체

삼성전자

현대모비스

DB하이텍

해성디에스

텔레칩스

칩스앤미디어

유니퀘스트

유니트론텍

코아시아

SFA반도체

넥스트칩

다믈멀티미디어

어보브반도체

제주반도체

LX세미콘

테크윙

아이에이

세원

아모텍

테스나

자동차모빌리티 20220524 현대차증권.pdf
5.67MB
차량용반도체 20210601_유진투자증권.pdf
2.96MB
현대모비스 2022년 2분기 경영실적_국문.pdf
0.93MB
현대모비스 20220530 삼성증권.pdf
0.80MB
현대모비스 20220725__2Q22 리뷰_미래에셋.pdf
1.37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