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디앤씨미디어'에 해당되는 글 20건

  1. 2025.03.02 디앤씨미디어 2024년 실적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나혼랩 OSMU 전략 실적호전 지속 기대감 7
  2. 2024.07.23 웹툰관련주 네어비 웹툰엔터테인먼트 주가 회복에 동반 강세
  3. 2024.06.28 웹툰관련주 네이버웹툰 본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 상장 성공 주가재평가 기대감
  4. 2024.05.30 웹툰관련주 네이버웹툰 나스닥 IPO 기대감
  5. 2024.05.09 디앤씨미디어 웹툰 "나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에 이어 넷마블과 협력해 모바일 게임으로 출시 흥행 기대감
  6. 2024.02.28 디앤씨미디어 콘텐츠 애니화 기대감 네이버웹툰 나스닥 상장 콘텐츠주 몸값 재평가 (?) 4
  7. 2024.01.08 디앤씨미디어 최고 히트작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공개 기대감 2
  8. 2023.11.08 디앤씨미디어 디앤씨웹툰비즈와 소규모 합병 성공 몸값 상승 기대감
  9. 2023.09.11 디앤씨미디어 산하 웹툰 제작 전문 계열사 디앤씨웹툰비즈 흡수합병
  10. 2023.07.05 디앤씨미디어 왕년에 잘 나간 회사가 앞으로도 잘나가란 법 없다
  11. 2023.04.13 웹툰 웹소설 관련주 2차전지 차익실현 자금 순환매 유입
  12. 2023.02.28 웹툰관련주 만화진흥법 개정 수혜 기대감
  13. 2023.01.16 웹툰 웹소설 관련주 중국 한한령 해제 및 M&A 기대감에 동반 강세 2
  14. 2023.01.09 디앤씨미디어 몸값 상승 수익성 둔화에도 콘텐츠 CP 보유 부각
  15. 2023.01.03 웹툰웹소설관련주 경기침체속 성장지속 기대감에 매수세 유입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yMkzEwypo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의 성공한 IP인 "나 혼자만 레벨업"시즌 2 애니메이션이 일본에서 1월 5일 런칭했는데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습니다

 

글로벌 143억뷰 웹툰ㆍ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 지식재산권(IP)의 2차 사업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IP 홀더와 원 소스 멀티 유즈(OSMU) 사업자들이 흥행 성공에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는데 애니메이션 2기, 콘솔 게임, 드라마 등에 힘입어 각 콘텐츠로 팬덤이 유입되고, 시너지를 내며 추가 수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에도 나 혼자만 레벨업 IP 기반의 2차 콘텐츠들이 활발히 만들어지고 있는데 나 혼자만 레벨업 IP 기반의 애니메이션 2기 ‘나 혼자만 레벨업-ARISE FROM THE SHADOW’가 5일 일본의 Tokyo MX 등 방송국과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넷플릭스, 크런치롤, 애니플렉스와 같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서 함께 공개되어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습니다

 

넷마블은 올해 나혼렙의 PCㆍ콘솔 게임을 출시할 계획이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추후 나혼자만 레벨업 드라마를 위해 현재 대본 작업을 진행 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1기는 넷플릭스로 반영된 모든 국가에서 Top3 내의 성적을 기록하고 북미, 유럽지역의 크런치롤에서 1위의 성적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디앤씨미디어는 지난해 4분기 애니메이션 1기의 제작비 회수를 완료하고 애니메이션을 통한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는 상황으로 여기에더해 애니메이션 2기 방영 이후 IP 사업이 확대된다면 실적 추정치와 수익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넷마블은 연내 나혼렙의 PC·콘솔 버전 게임도 출시할 계획으로 넷마블은 PC·콘솔 개발이 완료되면 게임 시장이 큰 북미, 유럽 지역 공략을 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디앤씨미디어는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92.5% 증가한 102억원을 기록했는데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37.8% 증가한 832억4000만원이고 당기순이익도 전년 대비 134.1% 증가한 92억750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디앤씨미디어의 매출과 순이익이 증가한 것은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OSMU(원소스멀티유즈) 매출이 본격화 되었기 때문인데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면서 순이익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디앤씨미디어의 올 해 실적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지난 해 실적기준 적정주가 18,5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현재의 주가가 실적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디앤씨미디어는 실적호전을 주가에 반영하며 장기간 우상향하는 챠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중국의 한한령 해제에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에 대한 수익화가 가능해서 빠르게 실적 개선이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앤씨미디어 20250211_신한투자증권.pdf
1.6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미국 나스닥 시장 상장 이후로 한풀 꺽이는 모습을 보였던 국내 증시 상장 웹툰주들이 오랜만에 급반등세를 나타내는 모습입니다

 

네이버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나스닥 상장 초기 주가가 실망스런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동반 하락세를 나타내며 차익실현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최근 웹툰엔터테인먼트의 공모가 회복은 웹툰주들에게 다시금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을 가져오는 모멘텀이 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단순 웹튠 유통사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웹툰의 영상화에도 적극적인데 이런 영상물이 K콘텐츠가 되어 OTT를 통해 전 세계에 방영되면서 2차 저작물에 의한 수익도 발생하고 있어 성장성이 큰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웹툰엔터테인먼트가 맏형이 되어 이런 사례들을 잘 만들어내면 후발주자들인 국내 상장 웹튠주들도 보유 IP의 영상화에 투자를 받아 나설 수 있어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미국 나스닥 시장 공모가 회복은 이런 미래 성장성에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고 경기침체에 적은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오락꺼리로 웹튠의 효용이 높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과거 대공황 시기에 미국인들이 헐리웃의 단돈 1달러짜리 영화에 현실의 고통을 잊었듯이 21세기 소비자들은 손안에 스마트폰으로 즐길 수 있는 모바일게임과 함께 웹튠과 웹소설을 즐기고 있는 것입니다

 

가장 먼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네이버 웹툰엔터테인먼트가 미국 나스닥시장에 상장 할 수 있었던 것처럼 국내 상장 웹툰주들도 성장 기대감이 커질 수 밖에 없어 주가 재평가의 기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관련주

디앤씨미디어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미스터블루

엔비티

와이랩

탑코미디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웹툰 본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가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에 상장했습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27일 오후 12시(현지 시간) 나스닥 글로벌 셀렉트 마켓(Nasdaq Global Select Market)에 종목코드 ‘WBTN’으로 상장했는데 기업공개 대상인 1500만주에 대한 공모가격은 주당 미화 21달러입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전 세계 약 1억7000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고 모바일 감상에 최적화된 웹툰과 웹소설을 기반으로 글로벌 스토리텔링 시장을 이끌며 다양한 지적재산권(IP)와 창작 생태계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웹툰엔터테인먼트가 2021년 왓패드(미국), 2022년 이북이니셔티브재팬(일본) 등을 잇따라 인수하며 현지 시장에 적합한 감성을 지닌 웹툰을 직접 유통하고 있고 현지 작가를 발굴해 웹툰 생태계를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2023년 연간 실적발표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은 상각전영업이익(EBITDA) 기준으로 흑자전환했는데 이자, 세금 등을 차감하기 전 영업이익에서 흑자를 냈다는 뜻으로 2017년 5월 네이버에서 분사된 네이버웹툰이 연간 흑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 해가 처음으로 IPO를 위한 절호의 타이밍을 잡고 미국 나스닥 상장에 성공한 것입니다

 

이날 나스닥 증시에서 웹툰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 Inc·종목코드 WBTN)는 공모가인 21달러보다 0.3달러 높은 21.3달러로 거래를 시작했고 장중에는 공모가보다 11.76% 오른 23.47달러까지 올랐고, 9.52% 오른 23달러로 거래를 마쳤는데 이에 따라 기업가치는 29억 달러(약 4조 원)를 넘어서게 됐습니다.

 

네이버는 이번 웹툰엔터테인먼트 IPO를 통해 1500만 주를 발행해 총 3억1500만 달러(약 4400억 원)를 조달하는 데 성공했고 상장 후에도 네이버가 지분 63.4%를 보유하고 있어 경영권에 흔들림이 없고 추가적인 자금 조달 가능성도 열려있습니다

 

한국 콘텐츠 기업 중 나스닥 상장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는 우려가 있기도 했지만, 첫날 거래에서 10%가량 오르며 흥행에 성공하자 후속 콘텐츠업체의 뉴욕증시와 나스닥상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웹툰업체들에 대한 주가재평가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관련주

디앤씨미디어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미스터블루

탑코미디어

와이랩

웹툰엔터테인먼트 분챠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네이버웹툰의 글로벌 시장 흥행 성공으로 미국 뉴욕증시에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미국증시 IPO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미국증시 상장은 6월 중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이는데 기업가치는 5조원대로 큰 이변이 없는 한 예고한 데로 6월 중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네이버웹튠은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주력 자회사로 일본 만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수 1위를 달성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글로벌 플랫폼입니다

 

라인망가는 지난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일본 만화 앱 기준 월간 사용자수(MAU) 1위 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액 규모에서는 11개월만에 1000억엔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네이버 웹툰은 한 국가의 인기 웹툰을 다른 국가로 확산하는 크로스보더 전략을 통해 글로벌 웹툰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크로스보더 콘텐츠 허브 역할을 하는 한국에서는 수많은 독자 검증을 거친 수준 높은 작품들은 현지 문화와 정서를 반영해 글로벌 9개 언어로 빠르게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북미에서 네이버웹툰은 만화 앱 기준 유일하게 월간 사용자수 1000만명을 넘긴 앱으로 1위 사업자 위상을 유지하고 있어 IPO에 적당한 순간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일본 정부가 일본라인야후의 경영권을 강탈하는 만행을 저지르고 있고 윤석열 정부는 무능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네이버 입장에서는 미국 뉴욕증시에 웹툰엔터테인먼트를 IPO 시킴으로써 네이버웹툰의 일본 자회사 라인망가에 대한 지배력의 안정을 꽤하는 것도 같습니다

 

네이버웹툰은 최근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를 주관사로 선정, 오는 6월을 목표로 미국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네이버웹툰의 몸값이 5조원에 달하자 다른 웹툰업체들의 몸값도 재평가에 들어가는 모습입니다   

 

네이버웹툰은 웹툰엔터테인먼트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IP를 활용한 영상화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데 "내 남편과 결혼해줘", "나 혼자만 레벨업" 등이 드라마와 애니메이션 등으로 만들어져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관련주

디앤씨미디어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미스터블루

엔비티

와이랩

탑코미디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_D97QcqYag?si=lrcD0PKfwvmgQjpP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의 인기 웹툰 "나혼자만 레벨업" 모바일게임 "나혼자만 레벨업 : 어라이즈"가 넷마블에 의해 5월 8일 런칭되었습니다

 

디앤씨미디어의 인기 웹툰 "나혼자만 레벨업" 은 이미 국내외 조회수만 143억회나 될 정도로 인지도와 인기를 갖고 있는 IP인데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져 흥행에 성공했고 이번에 넷마블을 통해 모바일게임 신작으로 런칭되었습니다

 

디앤씨미디어는 '나 혼자만 레벨업'의 IP를 보유하고 있는데 나혼자만레벨업은 글로벌 히트작으로 애니와 게임으로 만들어지면서 드라마화까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넷마블 측은 지난달 19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해외에서 진행 중인 사전등록자 수가 최근 1200만명을 넘었다고 발표했는데 이틀 만에 사전등록자 수가 100만명을 기록하고 한 달이 채 되기 전에 12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특히 중국 플랫폼 '빌리빌리'에서 현재 1위를 기록 중이고 태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오픈베타를 진행하고 있는데 태국에선 매출 1위를 기록했고 북미 진출의 전초기지 격인 캐나다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넷마블은 디앤씨미디어 IP인 '나 혼자만 레벨업'을 이용해 모바일게임 "나혼자만 레벨업 : 어라이즈"를 만들어 런칭했기 때문에 게임 수익의 일정부분을 로열티로 지급해야 합니다

 

"One Source Multi Use" 전략은 콘텐츠업체들에게 성공한 IP를 이용하여 수익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전략으로 디앤씨미디어는 이미 검증된 웹툰 IP를 이용해 게임과 드라마 그리고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다양한 수익원을 만들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디앤씨미디어의 지난 해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35,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모바일게임 "나혼자만 레벨업 : 어라이즈" 흥행기대감이 주가급등의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앤씨미디어 20231117 신한투자증권.pdf
1.68MB
디앤씨미디어 20240320 하이투자증권.pdf
0.2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5Jc_El0eiQ?si=hFvwNx7rv6q48LLy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는 유명 작가와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능력있는 편집부로 콘텐츠 제작과 출판 유통하는 웹소설 및 웹툰 전문 콘텐츠 공급업체입니다

 

디앤씨미디어는 2023년 기준 매출액 604억 원, 영업이익 35억 원을 기록했는데 매출액이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0.5% 감소해 부진한 실적을 공개했습니다

 

국내 웹소설 및 웹툰 플랫폼의 거래액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해외 시장의 성장에 따라 수출 금액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매출액이 소폭 감소하는 정도로 실적둔화가 나왔다고 발표했습니다

 

2022년 7월 설립된 한일 합작 웹툰 스튜디오인 스튜디오붐에서 상반기부터 웹툰 신작 출시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2024년에는 다양한 장르의 더 많은 신작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디앤씨미디어는 웹튠의 애니메이션화를 추진하여 2차 저작에 따른 수익 극대화를 노리고 있는데 2023년 ‘그녀가 공작저로 가야 했던 사정’, ‘귀환자의 마법은 특별해야 합니다’ 애니메이션 출시를 통해 애니메이션 제작 및 마케팅에 대한 노하우를 획득하고  2024년 1월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시즌1을 방영하여 좋은 반응을 받고 있고, 하반기 ‘나 혼자만 레벨업’ 시즌2, ‘용사가 있었는데요’ 애니메이션 출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2024년 1월 첫 방영을 개시한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은 기대 이상의 글로벌 성과를 나타내고 있어 후속 애니메이션의 실적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또한 디앤씨미디어와 디앤씨웹툰비즈와의 합병을 통해 비용절감과 실적 턴어라운드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다 네이버 웹툰의 미국 나스닥상장으로 웹툰 업계 전반에 몸값을 재평가 분위기가 생기면서 디앤씨미디어의 몸값이 오르고 있는 모습입니다

 

디앤씨미디어의 지난 해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25,000원에 불과해 지금 주가는 오버슈팅 구간에 진입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의 성공은 디앤씨미디어가 보유하고 있는 웹툰과 웹소설의 영상화 기대감을 키어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앤씨미디어 20230502 삼성증권.pdf
3.36MB
디앤씨미디어 20231117 신한투자증권.pdf
1.6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gCYutJYVvI?si=gaDgaDTns5LJ_ebg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의 대표 지적재산권(IP)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 공개를 앞두고 시장참여자들의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웹소설 원작의 웹툰으로 출시돼, 전 세계 누적 조회 수 143억회를 기록한 인기작이고 넷마블을 통해 1분기 중 관련 게임도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은 이번 주말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공개되는데 글로벌 OTT 플랫폼 크런치롤과 국내 TV 채널 애니플러스, 왓챠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영될 예정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선 1기 흥행여부 확인 후 2기 제작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외전까지 나올 정도로 인기있는 웹툰컨텐츠로 영상화를 통해 2차 저작물의 수익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디앤씨미디어는 디앤씨웹툰비즈를 소규모 합병을 통해 내부 사업부로 가져와 웹툰 관련 수익을 내재화하는데 성공했습니디

 

최근 웹튠의 영상화가 연이어 성공하면서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드라마 방영 전후로 '마스크걸', '무빙', 'D.P 개의 날' 거래액은 각각 3배, 12배, 5배 증가했습니다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1기는 2024년 1월 초 방영을 확정했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이 일찍부터 관심을 갖고 있었고 1월들어 묻지마 매수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dI2lNaqkQc?si=xvuNuszkYY-yllu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웹소설과 웹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앤씨미디어가 산하 웹툰 제작 전문 계열사 디앤씨웹툰비즈를 흡수합병을 결정했는데 사업부 분리 이후 2년여 만으로 앞서 디앤씨미디어는 전문성 강화를 목표로 웹툰사업 부문을 분할했지만 보유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을 기반으로 한 협업 증가와 사업 시너지가 중요해진 만큼 다시 합병을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애초에 디앤씨웹툰비즈의 분리가 2대주주인 카카오엔터에 매각하기 위한 사전포석으로 받아들여 디앤씨미디어의 기업가치를 줄이는 행위로 주주들 사이에 비판받았던 사안이었습니다

 

 

 

이번 소규모 합병은 주주들의 20% 이상이 반대할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있었지만 다행스럽게 그에 못 미치는 반대가 나와 무사히 소규모 합병을 완료하게 되었습니다

 

 

 

합병 완료 후 최대주주인 신현호 디앤씨미디어 대표의 지분은 기존 30.17%에서 29.78%로 소폭 감소하며 신 대표의 부인인 이미자씨의 지분도 기존 16.03%에서 15.83%로 유지돼 경영권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이로써 디앤씨미디어는 디앤씨웹툰비즈를 과거와 같은 한 사업부로 내부에 두게 되었고 웹툰 콘텐츠 영상화를 통한 2차 IP화를 가속화 시킬 수 있게 되어 기업가치를 더 키워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근 Jtbc를 통해 방영된 "재벌집 막내아들"은 웹소설이 원작으로 영상화에 성공하면서 상당한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고 있는데 이외에 넷플릭스의  '마스크걸', '스위트홈', '지금 우리학교는' 등에서 성공가능성이 확인되고 있어 디앤씨미디어가 디앤씨웹툰비즈를 소규모 합병해 내재화하는 것은 IP확보와 향후 영상화를 위한 포석이라할 수 있습니다

 

 

 

이제 디앤씨미디어는 영상화IP를 다수 보유한 컨텐츠 개발사가 되어 몸값을 더 키우게 되었는데 향후 NAVER와 카카오엔터가 디앤씨미디어를 인수할 경우 더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와 계열사들은 웹소설 및 웹툰 전문 콘텐츠 공급업체로서, 작가 수급 경쟁력과 편집부 기반의 조직을 통해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출판, 유통하는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다수 작가의 출판권 및 배타적 발행권 설정을 통해 ‘Killer Contents’를 제작하고, 이를 전자책(e-Book)으로 발행하여 다수 플랫폼에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이 모바일 또는 PC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행된 콘텐츠를 도서로 출판하여 서점, 도서대여점 등을 통해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한일 합작 콘텐츠 자회사 (주)스튜디오붐을 설립하였습니다

 

최근 웹소설과 웹툰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앤씨미디어가 산하 웹툰 제작 전문 계열사 디앤씨웹툰비즈를 흡수합병을 결정했는데 사업부 분리 이후 2년여 만으로 앞서 디앤씨미디어는 전문성 강화를 목표로 웹툰사업 부문을 분할했지만 보유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을 기반으로 한 협업 증가와 사업 시너지가 중요해진 만큼 다시 합병을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웹소설 및 웹툰 전문 콘텐츠기업 디앤씨미디어는 산하 자회사 웹툰 제작회사 디앤씨웹툰비즈를 흡수합병한다고 공시했는데 디앤씨미디어와 디앤씨웹툰비즈 간 합병비율은 1 대 1.3229032로 합병기일은 오는 12월1일로 합병에 따른 신주상장은 오는 12월28일입니다.

 

이번 흡수합병은 소규모합병 방식으로 이뤄지는데 소규모합병은 존속회사가 소멸회사 지분을 90% 이상 보유하는 경우로 합병 승인을 이사회로 대신하고 매수청구권을 부여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고 디앤씨미디어의 경우 디앤씨웹툰비즈의 지분 96.1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합병 완료 후 최대주주인 신현호 디앤씨미디어 대표의 지분은 기존 30.17%에서 29.78%로 소폭 감소하며 신 대표의 부인인 이미자씨의 지분도 기존 16.03%에서 15.83%로 유지돼 경영권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현재 디앤씨미디어는 신 대표를 비롯한 특수관계인 지분이 46.20%이고 2대 주주는 전략적 파트너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지분 23.13%를 보유 중에 있습니다

 

디앤씨웹툰비즈는 지난 2020년 디앤씨미디어의 웹툰 사업부문이 단순·물적분할하여 설립했는데 당시 알짜배기 웹튠사업을 카카오에 매각하기 위한 수순이거나 IPO 가능성이 제기되어 기존 주주들의 반발을 샀는데 결국 중복부서로 인한 비용만 소비하고 다시 합병하게 되어 웹튠자산의 수익을 디앤씨미디어에 합쳐 수익성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웹소설과 웹툰을 기반으로 한 매체간 협업은 지난 2년간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JTBC에서 방영돼 인기를 끈 재벌집막내아들은 본래 웹소설이 원작으로 웹소설에서 검증된 인기를 TV드라마로 옮겨서도 성공하고 다시 웹튠으로 이식되어 네이버를 통해 인기리에 연재되고 있습니다

 

웹소설과 웹튠의 영상화는 넷플릭스의  '마스크걸', '스위트홈', '지금 우리학교는' 등에서 성공가능성이 확인되고 있어 디앤씨미디어가 디앤씨웹툰비즈를 소규모 합병해 내재화하는 것은 IP확보와 향후 영상화를 위한 포석이라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앤씨미디어 20201231 IR Book.pdf
6.43MB
디앤씨미디어 20221118 삼성증권.pdf
0.68MB
디앤씨미디어 20230106 하이투자증권.pdf
0.5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는 ‘나 혼자만 레벨업’(이하 나혼렙) 등 킬러 콘텐츠 지식재산권(IP)을 다수 보유해 웹소설·웹툰 강자로 불리며 화려하게 증시에 상장했지만 실적은 둔화기조를 보이며 기업가치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디앤씨미디어 상장 초기만 해도 '나혼렙'과 같은 인기 콘텐츠를 다수 보유하고 있어 실적호전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실제로 숫자로 보여준 실적은 계속 쪼그라드는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기 콘텐츠의 수명이 짧아 이를 이어받을 후속 콘텐츠가 히트를 치지 못하고 그만그만한 성적을 내면서 ip만 많지 영양가가 없다는 소릴 듣고 있는 실정입니다

 

올 4분기 넷마블에서 액션 역할수행게임(RPG)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가 출시될 예정으로 나혼렙 애니메이션도 연말 또는 내년 초에 글로벌 팬들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2차 저작에 따른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노블코믹스(웹소설 기반 웹툰) 나혼렙은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중국 등 해외에서도 인기가 많은데 넷마블에서 나혼렙 게임이 나오면 디앤씨미디어는 매출의 일정 비율을 원작 수수료(러닝 개런티)로 받는 수익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한·일 합작 웹툰 제작회사 스튜디오붐(지분율 100%)을 세웠고, 또 다른 웹툰·웹소설 기획사 디앤씨웹툰비즈(지분율 96.2%)도 2020년 설립했는데 경쟁력 있는 원천 IP를 통한 원소스 멀티 유즈 전략를 펼치고 있지만 실적과는 연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웹툰 전문 기획사 더앤트(지분율 84%), 애니메이션 기획사 쏘울크리에이티브(지분율 63%)를 통해서도 원천 스토리 및 IP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익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디앤씨미디어 콘텐츠는 아직 해외에서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국내 실적이 대부분으로 해외시장 개척 없이는 성장성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위메이드플레이와 디앤씨미디어가 콘텐츠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플레이디앤씨'를 설립하기도 했는데 위메이드플레이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빅데이터 운영, 블록체인 기반의 수익 공유 시스템 개발을 전담하고, 디앤씨미디어는 방대한 웹툰 저작물과 작가 그룹을 활용·발굴할 예정으로 이런 시도가 수익성을 담보해 줄지는 아직 의문이 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디앤씨미디어의 2023년 1분기 기준 매출액 161억 원, 영업이익 9억 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는데 매출액이 전년 대비 7.8%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9.2% 감소했습니다

 

디앤씨미디어는 임금인상과 인플레이션으로 영업비용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했는데 경영자는 이런 경영외적인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실적감소가 예상될 때 비용축소를 통해 수익성 유지를 하라고 높은 연봉을 주며 그 자리에 앉혀 놓는 것입니다

 

비상장사도 아니고 상장사에서 이런 변명은 주주들을 우롱하는 것으로 경영진의 무능력을 변명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인기 콘텐츠인 ‘나 혼자만 레벨업’의 경우 1월 웹툰 외전 런칭에 이어 기존 ‘나 혼자만 레벨업’ 세계관을 확장한 웹소설 스핀오프(Spin-off)도 4월 런칭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게임과 애니메이션까지도 런칭하면서 ‘나 혼자만 레벨업’에 대한 IP(지적재산권)가 더욱 확장될 예정이라 관련 실적에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7월 들어 주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어 4월에 런칭한  ‘나 혼자만 레벨업’  스핀오프편이 실적에 도움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디앤씨미디어의 실적호전을 확인시켜줄 킬러콘텐츠가 나와줘야 투자자들은 안심하고 장기투자에 나설 수 있을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앤씨미디어 20201231 IR Book.pdf
6.43MB
디앤씨미디어 20221118 삼성증권.pdf
0.6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W4udMtfHG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시장참여자들이 2차전지에서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빠르게 덜 오르거나 가격조정을 받은 섹터로 순환매를 보이고 있습니다

 

웹툰과 웹소설 관련주들이 일제히 급반등세를 타고 있는데 지난 해 연말 이후 올 해 들어와 가격조정을 받으면서 고점 대비 상당한 가격조정을 받은 상황이라 상대적으로 싸보인다는 장점이 있는 종목들입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글로벌 조회수 143억회를 기록한 대표 지식 재산권(IP) '나 혼자만 레벨업' 웹소설의 스핀오프  이야기를 담은 웹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 : 라그나로크'를 10일부터 카카오페이지에서 선보이는데 2018년 3월 완결된 웹소설에 이어 5년 만에 연재되는 새 시리즈입니다.



디앤씨미디어가 제작한 '나 혼자만 레벨업'은 인류 최약체로 불리던 주인공이 '레벨업'을 하면서 지구를 구할 최강의 헌터로 거듭나는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는 환타지물입니다.

 

웹툰을 만화에 포함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만화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후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3월 내내 관련주들의 주가가 흘러내렸는데 이후 최근 중국이 한한령 완전철회 가능성을 내보이고 있어 K콘텐츠 관련주들이 일제히 반등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웹소설과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와 드라마가 히트를 치면서 원작에 대한 IP가치가 오르고 있는 것도 이런 관련주들의 몸값을 키우고 있는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2차 저작에 대한 흥행이 원작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고 있어 시장에 선순환을 가져오고 있어 올 해 실적호전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웹소설관련주

NAVER

카카오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디앤씨미디어

미스터블루

대원미디어

엔비티

스튜디오드래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W4udMtfHGc

안녕하세요

만화산업의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공정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표준계약서 사용 권고 내용 등을 포함한 ‘만화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만화진흥법) 개정안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만화계에서 오랫동안 요구해온 것으로, 만화 정의를 수정해 웹툰을 포함하고 웹툰 정의를 신설했는데 명확한 기준 없이 혼용됐던 ‘만화’와 ‘웹툰’을 구분해 변화하는 만화산업의 환경에 맞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문체부는 올해 ‘만화진흥법’ 개정과 함께 지난해 운영한 ‘웹툰상생협의체’에서 논의한 만화 분야 표준계약서 개정, 웹툰 표준식별체계 도입 등 제도 개선 관련 연구, 제5차 만화산업 진흥 중장기 계획(2024년~2028년) 수립 등 만화산업 육성과 창작자 권익 보호를 포함한 공정한 생태계를 만드는 정책을 추진하는 데 앞장선다는 계획입니다.

 

웹툰시장은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데 네이버와 카카오가 글로벌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면서 매년 성장세를 키우고 있습니다

 

웹툰IP를 이용한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의 성공은 웹툰IP를 이용한 2차 저작과 시장 확장을 가져오고 있는데 캐릭터IP로 확대되면서 시장을 확장해 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OTT를 통해 드라마와 영화화된 웹툰이 전 세계로 방영되면서 웹툰의 시장은 글로벌 시장에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웹툰의 유통경로에 인터넷포털이 있는데 NAVER와 카카오는 플랫폼으로 수익을 올리며 동반 성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웹툰시장에 광고까지 가세하면서 웹툰시장의 수익성은 빠르게 개선되고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웹소설관련주

NAVER

카카오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디앤씨미디어

미스터블루

대원미디어

엔비티

스튜디오드래곤

 

웹툰 20201104 유안타증권.pdf
12.15MB
웹툰시장 20210224_교보증권.pdf
1.78MB

https://youtu.be/QJUDTBOMPac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JsJTLB4pqs

안녕하세요

웹툰과 웹소설을 원전으로 하는 드라마와 영화가 연이어 흥행에 성공하면서 시장참여자들이 콘텐츠 보유 상장사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작년 중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한 국내 웹툰작가의 오리지널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 "월맨"이 국내 개봉을 앞두고 있고 웹소설 기반의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의 Jtbc 드라마가 큰 관심을 받으면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상장사의 몸값이 오르고 있는 모습입니다

 

여기다 중국 정부가 한한령 완전해제에 한발 더 다가가면서 중국 콘텐츠 시장이 다시 열릴 것으로 보여 이 또한 콘텐츠 보유기업의 몸값을 올리는 요인을 작용하고 있습니다

 

웹툰과 웹소설의 주요 유통창구인 NAVER와 카카오가 콘텐츠사업을 더 강화하기 위한 M&A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상장된 콘텐츠 관련사들은 언제든지 M&A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영권 매각 프리미엄이 주가에 스며들 수 밖에 없습니다

 

확실한 인수자들과 잠재적 매물이 있기 때문에 시장참여자들은 여기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이라 웹소설과 웹툰 콘텐츠를 보유한 상장사에 선취매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웹소설관련주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디앤씨미디어

미스터블루

대원미디어

NHN

스튜디오드래곤

 

NAVER 웹소설 20210120 삼성증권.pdf
1.02MB
웹툰시장 20210224_교보증권.pdf
1.78MB
웹툰시장 20201104 유안타증권.pdf
12.15MB
콘텐츠 20221214 하나증권.pdf
4.37MB
핑거스토리 IPO IR.pdf
16.1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SVCBp7OHqOA

안녕하세요

디앤씨미디어는 웹툰과 웹소설의 기획과 제작, 유통하는 콘텐츠프로바이더CP로써 무협과 판타지로맨스, 라이트 노벨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상장사입니다

 

 

특히 웹툰과 웹소설을 자체 브랜드로 기획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은 자체 콘텐츠를 확보하여 2차 저작이 가능한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 웹소설 "재벌집 막내아들"의 흥행성공으로 웹툰과 웹소설의 2차 저작에 대한 시장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디앤씨미디어는 보유 콘텐츠를 자체 브랜드로 소유하고 있어 2차 저작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2022년 넷마블과 함께 '나 혼자만의 레벨업'의 원천 IP를 이용해 게임 개발에 착수하고 현재 영상콘텐츠로 개발을 앞두고 있어 주가에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웹툰과 웹소설의 팬층을 갖고 있는 검증된 콘텐츠를 영상콘텐츠로 개발하기 때문에 왠만해서는 실패염려가 적은 점이 2차 저작의 강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디앤씨미디어는 연간 100여편의 신규 콘텐츠를 자체 기획과 제작으로 소유할고 있어 콘텐츠양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가 증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개발비가 많아질수록 비용이 증가하는 구조라 이를 수익화하는데 시간차를 갖고 있습니다

 

 

최근 웹툰 스튜디오 더앤트를 인수해 보유 웹소설을 웬툰으로 개발하는 작업을 서두르고 있어 시장은 수익성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NAVER와 카카오의 웹툰과 웹소설 콘텐츠 확전 경쟁에서 몸값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M&A이슈가 있는 기업입니다

 

 

경영권프리미엄이 주가에 낄 수 밖에 없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앤씨미디어 20230106 하이투자증권.pdf
0.58MB
디앤씨미디어 20220324.pdf
1.67MB
디앤씨미디어 20221118 삼성증권.pdf
0.6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ipvXOBWDAU

안녕하세요

2023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웹툰과 웹소설에 대한 소비가 급증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연초부터 웹툰과 웹소설 관련주에 매수세를 유입시키고 있습니다

 

웹툰과 웹소설은 NAVER와 카카오가 차세대 먹거리로 밀고 있는 것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이면서 성장성이 빠른 시장이기도 합니다

 

국내 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을 선점하며 석권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인터넷 포털인 NAVER와 다음카카오가 플랫폼으로써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비교적 적은 자본으로 컨텐츠라는 창착물을 생산해 내고 이를 국내외 플랫폼을 통해 유통해 저비용 고수익을 내는 사업으로 알려져 있는데 소비자 입장에서도 편당 200원~300원 정도의 적은 금액으로 큰 효용을 느끼고 있는 것이라 소비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웹툰과 웹소설로 확보된 IP를 영상화하여 2차적인 수익이 가능하고 이를 뮤지컬과 테마파크 등으로 재생산하여 부차적인 수익도 가능한 분야라 수익성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컨텐츠를 많이 확보해야 시장을 리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시장진입장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M&A를 통해 거대기업으로 집중화가 이뤄지고 있어 결국 NAVER와 카카오 주도의 시장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경기침체에 컨텐츠에 대한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 웹툰과 웹소설 관련주에 연초부터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미스터블루와 키다리스튜디오, 디앤씨미디어가 상장사로 집중적인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웹툰웹소설관련주

키다리스튜디오

핑거스토리

디앤씨미디어

미스터블루

대원미디어

NHN

스튜디오드래곤

웹툰 20201104 유안타증권.pdf
12.15MB
웹툰시장 20210224_교보증권.pdf
1.78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