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 인수 후 통합전략(PMI)을 오늘 17일 산업은행에 제출합니다.

대한항공의 PMI에는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 통합방안과 아시아나항공의 고용유지·단체협약 승계 방안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권과 산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대한항공이 오늘 산은에 제출할 PMI는 산은이 대한항공과 수정·보완 협의를 한 뒤 확정됩니다.

대한항공 제출하는 PMI에서 가장 주목되는 점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저비용항공사(LCC) 통합과 인력구조조정 내용입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통합되면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의 통합도 불가피한데 이 내용이 PMI에 포함됐을 것이라는 관측이고 또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발표 직후 노조가 우려했던 고용 유지 세부방안도 PMI에 포함됐을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산은과 대한항공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 발표 직후 구조조정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항공업계에서는 업무가 중복되는 직원의 인사이동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대한항공은 1월 14일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해 미국을 비롯한 EU(유럽연합), 중국, 일본, 터키 등 기업결합심사가 필수인 9개 경쟁국에 기업결합 신고를 했고 터키에서 기업 결합 심사를 통과했습니다.

기레기들은 대한항공 경영진과 산업은행이 거짓말을 하고 있고 통합 항공사에서 대규모 인력주조조정이 있을 것이라는 뉘앙스로 왜곡보도를 일삼고 있습니다

최소한 산은이 공적자금을 한진칼에 투자한 이상 고용을 취대한 보장하는 선에서 사업구조조정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고 말 그대로 중복되는 자리에 일부 조정이 있을 수 있어도 기레기들이 왜곡보도하듯이 대규모 인력구조조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태입니다

항공업계는 이제 바닥을 지나고 있는 상황으로 무급휴직과 순환근무 형태로 비용을 최소화해 놓은 상태입니다

근무형태가 정상으로 돌아오기 전에는 아직까지 부담이라 할 수 없는데 대한항공 같은 경우 작년에 화물기 수익이 증가하고 무급휴직으로 인해 흑자를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트래블버블과 코로나19백신 접종이 증가하면 다시금 해외여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이때를 대비해 경험있는 인력을 확보하고 있어야 합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통합항공사가 저비용항공사들도 합병에 나설 경우 제주항공을 넘어서는 큰 규모의 저비용항공사가 탄생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중국과 일본을 연결하고 동남아까지 커버하는 인구 밀집지역의 항공수용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항공사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해외여행이 다시 재개될 경우 그 동안 억눌러 왔던 여행욕구가 보복소비 형태로 나타날 수 있어 인력충원이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대형 M&A에서 단기간에 흑자를 내기 위해 대규모 인력구조조정을 단행했을 때와 지금은 상황이 다른 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