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노 재팬'(No Japan) 불매 운동과 코로나 여파가 겹치면서 패션브랜드 유니클로가 이달 중으로 10개의 오프라인 매장을 폐점합니다.

12일 유니클로 홈페이지에 따르면 오는 18일 홈플러스 방학점·목동점·강서점·성서점·아시아드점·칠곡점·해운대점·동광주점 등 8곳이 폐점 예정으로 19일에는 롯데백화점 상인점, 25일 롯데백화점 광주점이 각각 문을 닫습니다.

이로써 유니클로는 전국 홈플러스 매장에서 모두 철수하게 되는데 오프라인 매장 수는 지난 2019년 말 187개에서 143개로 줄어듭니다.

유니클로 측은 "코로나19 장기화와 같은 외부 요인의 영향과 함께 소비 트렌드 변화 등 복합적인 요소를 고려해 더욱 효율적으로 매장을 운영하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의 일환"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현 상황에서 이달 이후 추가 폐점 계획은 없으며,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하는 소비 트렌드를 감안해 유니클로 온라인 스토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유니클로 매장은 '노 재팬'(No Japan) 불매 운동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황까지 겹치면서 매장 수가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30여 개 매장을 폐점했으며, 지난달에는 2011년 개점 당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유니클로 플래그십 점포로 화제를 모았던 명동중앙점이 문을 닫았고 이외에도 수원역 내 유니클로 AK 수원점, 대전 홈플러스 유성점이 지난달 폐점했습니다.

소비자들의 소비 트랜드가 온라인쇼핑으로 바뀌면서 굳이 오프라인에 매장을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된 것도 있고 일본불매운동에 유니클로가 소비자들에게 단단히 찍힌 것이라 매장에 직접 와서 소비하기 보다는 온라인소비로 돌아선 경우가 많아 오프라인 매장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일 겁니다

최근에는 일본불매운동에 대한 영향보다는 코로나19사태로 비대면 소비가 정착하고 있고 온라인쇼핑이 잘 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매장까지 나올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일 겁니다

일본불매운동으로 유니클로의 성장성이 꺽인 상황에서 코로나19사태는 유니클로 오프라인 매장을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 것 같습니다

유통가의 비대면 소비 트랜드에 따라 온라인 쇼핑이 점점 더 커지고 있어 안테나 매장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온라인 쇼핑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롯데그룹 입장에서는 잘 키운 브랜드를 버리기는 아깝겠지만 오프라인 보다 온라인 매출을 늘려갈 수 밖에 없어 일본 패스트리테일링과 합작을 이어갈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우리나라 시장은 일본 유니클로에게는 수익성이 좋은 시장으로 통해 왔는데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 물건을 판매함으로써 수익성이 두자릿수를 나타내 매출 외형은 글로벌 3위를 하고 있지만 수익성은 일본을 능가하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 시장에서 유니클로가 위축되는 것은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다만 온라인 쇼핑을 강화하고 오프라인 철수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어 오프라인 철수가 한국시장 포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롯데쇼핑의 온라인 매출 강화 정책하고도 맞아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