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증시는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종인 '오미크론'에 대한 우려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발언에 하락했습니다.
3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2.22포인트(1.86%) 하락한 34,483.72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8.27포인트(1.90%) 밀린 4,567.00을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45.14포인트(1.55%) 떨어진 15,537.69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파월 연준 의장의 청문회 발언, 오미크론 변이 추이와 10년물 국채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는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현시점에서 경제는 매우 강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은 더 높아졌다"라며 "따라서 내 생각에는 실제 11월에 발표한 테이퍼링을 아마도 몇 달 더 빨리 마무리하는 것이 적절하다"라고 말해 테이퍼링이 보다 짧고 강력하게 시행될 것이라는 예고를 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이에 대한 논의는 12월 회의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고 또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표현과 관련해 "나는 아마도 그 단어에서 빠져나와 우리가 의미하는 바를 더 명확히 전달하려고 노력할 좋은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해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표현을 없애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더 빠른 속도로 자산매입프로그램 축소인 테이퍼링을 종료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연준의 통화긴축에 대한 의지가 보다 강력해졌음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파월의 발언은 오미크론 변이 우려에 경기가 또다시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와 시장참여자들을 더 불안하게 만들었습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만약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더 일찍, 빠른 속도로 자산구매 축소를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그리고 FOMC는 기준금리를 더 일찍 인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오미크론에 따른 경제적 여파는 아직 가늠하기 힘들지만, 기존 백신이 오미크론에 잘 듣지 않을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발언이 나오면서 투자 심리는 악화했는데 스테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앞서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기존 백신이 델타 변이만큼 효과적이지 않을 것 같다"고 말해 사람들의 불안감을 더 부추겼는데 방셀 CEO는 앞서 CNBC와의 인터뷰에서는 오미크론에 대응한 백신을 개발해 공급하는데 여러 달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제약사 리제네론이 자사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가 오미크론에 효과가 떨어진다고 예비 결과를 내놓았다는 소식도 나왔는데 리제네론의 항체 치료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당시 사용한 제품으로 알려진 바 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안전자산 선호에 1.41%까지 하락했으나 2년물 국채금리는 0.56%까지 올랐고 2년물 금리는 연준의 통화정책에 민감해 긴축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둔화했는데 시중 유동성이 빠져 나가는 금리인상에 대한 시그널이 나오자 부동산투기꾼들이 매수에 나서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계절 조정 9월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연율로 19.5% 상승했고 이는 자료 집계가 시작된 1987년 이후 최고치였던 지난 7월과 8월의 19.8%에서 하락한 것입니다.
전미 주택가격은 14개월 연속 상승률을 높이다 지난 8월 상승세를 멈춘 바 있으며, 9월 들어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상승률이 둔화했는데 20개 도시 주택가격지수는 연율로 19.1% 올라 전월 기록한 19.6%에서 떨어졌고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19.3%를 밑돌았으며 2개월 연속 상승률이 둔화한 것입니다.
미국의 11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예상치와 전달치를 모두 밑돌아 소비 심리는 악화했습니다.
콘퍼런스보드는 11월 소비자신뢰지수가 109.5로 집계됐다고 발표했고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예상치인 110.0을 소폭 밑도는 수준으로 전달 수정치인 111.6보다 낮아진 것입니다.
업종별로 통신과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산업, 에너지, 자재 관련주가 2% 이상 하락하는 등 11개 섹터가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모더나의 주가가 이날 4% 하락했고, 화이자 주가는 2% 이상 올랐으며 애플 주가는 판매 호조 기대에 3% 가량 올랐습니다.
여행 관련주는 약세를 보였는데 엑스페디아와 노르웨이지안 크루즈의 주가가 모두 3% 이상 하락했고, 부킹홀딩스의 주가도 3.7% 밀렸고 넷플릭스의 주가도 3%가량 떨어졌고 테슬라의 주가는 0.7%가량 올랐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오미크론발 뉴스에다 파월 의장의 발언에 시장이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는데 로이트홀트그룹의 짐 폴슨 투자전략가는 CNBC에 "주식시장이 오미크론과 연계된 뉴스 흐름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남아공에서 보고된 변이의 증상이 약하다는 보도로 전날 증시가 올랐으며 이날은 기존 백신이 무력해 새로운 백신이 필요하며 이를 개발하는 데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는 모더나의 뉴스로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너스톤 웰스의 클리프 호지 최고투자책임자는 마켓워치에 "오미크론 우려에 이미 흔들리던 시장이 연준이 테이퍼링 속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것이라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충격을 받았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내년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68.4%로 예상했고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86.3%로 내다봤는데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4.23포인트(18.42%) 오른 27.19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시장이 오미크론 충격에 불확실성으로 빠져들고 있는데 금리인상의 전초전인 테이퍼링이 보다 강력하게 시행될 것이라는 제롬파월FRB의장의 발언만이 가장 확실해 보이는 것이라 시중 유동성이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오미크론 충격이 더해져 주가버블이 빠르게 껴저가는 과정으로 보여집니다
개별 종목들의 주가 움직임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코로나19 위기에 강한 종목들이 실적을 기반으로 주가 낙폭을 줄이는 모습에서 투자자들의 신뢰를 받는 종목은 반등이 나와도 먼저 나올 것이라는 기대감이 큰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파크 12월 대규모 프로모션 '연말에 진심인 사람들을 위한 인터파크 연말대전' 진행 (0) | 2021.12.01 |
---|---|
신세계그룹 이베이코리아 G마켓 옥션과 함께 합동 할인행사 (0) | 2021.12.01 |
치킨 프랜차이즈 bhc그룹 아웃백스테이크 인수 외식업계 지각변동 가속화 (0) | 2021.12.01 |
미국 모더나 스테판 방셀 최고경영자(CEO)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기존 백신 무력화 우려 시장 쇼크 (0) | 2021.11.30 |
일진머티리얼즈 30일 총 1조1500억원 규모 외부 투자 유치 성공 주가는 선반영 (0) |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