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롤렉스에 이어 에르메스까지 새해 벽두부터 명품 가격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에르메스는 이날부터 가격을 3~10% 가량 인상했는데 에르메스의 가격 인상은 지난해 1월 이후 1년 만인데 에르메스는 매년 1월마다 가방 가격을 인상해왔습니다.
에르메스 입문백으로 잘 알려진 '가든파티36'은 기존 482만 원에서 498만 원으로 3.3% 인상됐고 '피코탄36'은 354만 원에서 377만 원으로 9.9% 올랐고 이번 가격 인상은 글로벌 정책에 따른 것으로, 유럽에서도 주요 가방 품목 가격이 상향 조정됐습니다.
앞서 롤렉스는 지난 1일부터 주요 시계 모델 가격을 8~16% 가량 인상한 바 있는데 롤렉스가 가격을 올린 건 지난 2020년 1월 이후 약 2년 만인데 인기 모델인 ‘서브마리너 논데이트’는 985만 원에서 1,142만 원으로 16% 올랐고 서브마리너 중 ‘스타벅스’ 별칭을 가진 모델은 하룻밤 새 1,165만 원에서 1,357만 원으로 192만 원(16.5%)이나 인상됐습니다.
롤렉스와 에르메스에 이어 샤넬도 다음달 중 가격 인상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명품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물류대란 영향으로 올해 가격 인상 폭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시중 유동성이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가고 있어도 사치품에 대해서는 부의 양극화로 소비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MZ세대는 명품을 개인소장 만하는 것이 아니라 유통대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명품을 재테크 수단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이런 심리를 명품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일종의 폭탄돌리기를 하는 것으로 능력밖으로 명품을 갖고 싶은 허영심 큰 사람들을 이용하는 마케팅으로 이제는 개나소나 다 명품을 소비하는 시대가 된 느낌입니다
솔직히 가방이나 시계만 명품일 뿐 이를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명품이 아니기 때문에 그저 돈벌이 수단으로 명품을 활용하는 것이라 폭탄돌리기에 상투를 잡는 소비자는 바가지를 뒤집어 쓸 뿐 아니라 재산상 큰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일본의 버블경제시대 세계 명품 시장의 블랙홀로 일본인들이 사들인 명품들이 중고명품이 되어 "Book Off"유통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그렇게 될 날이 멀지 않아 보입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청년 간담회'홀대 논란 욕설과 강퇴로 얼룩 한심하다 (0) | 2022.01.05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탈모인 위한 공약 화제 (0) | 2022.01.05 |
미국 식품의약국(FDA) 화이자 부스터 샷 접종 허용 연령 12세 이상으로 확대 (0) | 2022.01.04 |
쿠팡플레이 'SNL코리아' 여야 대선후보 풍자 2탄 공개 (0) | 2022.01.03 |
새 해 첫날 동부전선 최전방 철책선 뚫렸다 군 방위 태세 헛점 노출 (0) | 202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