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eobA3GAuz0?si=up3L22-jkuWAVew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두산로보틱스가 스마트팩토리의 산업용 로봇을 넘어 치킨프랜차이즈와 식당주방의 조리 로봇분야까지 진출하고 공항의 수화물 하역로봇까지 진출하고 있어 시장도 확장하고 실적도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싯가총액 기준으로 상장된 로봇주 중에 1위를 달리고 있는데 주가는 삼성전자에 인수된 레인보우로보틱스에 이어 2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의 지난 3분기 매출은 1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늘었지만 영업적자는 61억원을 기록해 여전히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고이번 공모자금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는 마케팅망과 생산케파를 키우는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 수원공장에서 연간 2200대의 로봇을 만들며 OEM방식으로 외부에서 1000대가 생산되고 있는데 내년 말부터는 로봇이 로봇을 만드는 자동화셀을 추가 설치하며 수원공장에서만 4000대를 양산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춰지게 됩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신규사업으로  ▲단체급식 솔루션 ▲복강경 수술보조 솔루션 ▲공항 수하물 처리 솔루션 ▲레이저용접 솔루션 ▲빈피킹(Bin-picking) 솔루션 등을 준비하고 있고 있습니다

 

단체급식 솔루션은 지난 11월 국내 최초로 서울시 한 중학교 급식실에 도입됐는데 4대의 협동로봇이 국·탕, 볶음, 튀김 등 대규모 조리작업을 수행하고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반복 동작, 유증기 등은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화상을 유발하고, 호흡기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솔루션의 도입은 작업의 효율성과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보조 솔루션은 협동로봇에 내시경 카메라를 탑재하고 몸 안에서 움직이는 작업을 해야 하는 만큼 정교한 움직임이 필요한데 이 솔루션은 3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조이스틱을 이용해 별도로 원격 통제가 가능하고 특히 기존에 2~3명의 의사가 장시간 내시경 카메라를 들고 있어야 하는 힘든 작업을 로봇이 대신하게 되어 보다 많은 수술이 가능해지게 되었습니다

 

공항 수하물 처리 솔루션은 덴마크 코봇 리프트(Cobot Lift)사와 협업해 만들었는데 공항에서 수하물을 옮길 때 활용되는데 최대 25kg의 사물을 들 수 있는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H시리즈는 코봇 리프트의 기술을 활용해 최대 70kg의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고 최근 네덜란드 스키폴공항에서 사업실증(PoC)을 마쳐 상업화에 성공한 사업입니다.

 

레이저용접 솔루션은 기존 대비 용접 속도가 빠르고, 추가 작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작업면이 매끄러운데 작업 완성도가 높아 항공우주, 자동차, 조선, 의료기기 등 첨단 산업에서의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특히 열로 인한 접합재 손상이 없고, 다양한 재료와 두께에 사용 가능해 조선업종의 특수용접에도 응용이 가능해 조선업종의 인력부족을 일부 해소해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협동로봇이 스마트팩토리에서 인간노동을 대신하고 있는 변화가 이제는 치킨프랜차이즈와 식당 그리고 서비스로봇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어 빠르게 인간노동을 대체하는 분야를 늘려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청년노동을 대체해 줄 로봇노동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내년부터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국내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수가 유입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두산로보틱스의 최대주주인 두산도 내년 주가 상승세를 보면서 경영지배력에 문제가 없는 잉여지분을 블록딜로 매각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가가 올라야만 합니다

 

두산로보틱스는 공모시 IPO 보호예수 수량과 최대주주 두산의 블록딜 물량이 시장에 나올 때쯤 가격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은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한 호재성 재료와 실적개선을 이어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