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Rzkqty7pV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엔젤로보틱스는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을 기반으로 지능형 웨어러블로봇을 개발하는 로봇회사로 핵심제품인 'angel MEDI(재활의료 전문 웨어러블로봇)"을 비롯해 ‘angel GEAR’(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SUIT’(일상생활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KIT’(모터드라이버, 스마트구동기 등 로봇 핵심부품)를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국방용 웨어러블 로봇 관련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설립 초기인 2017년 5월, LG전자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아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고 2020년 9월 세브란스 재활병원에 angel MEDI를 공급하여 실제 의료현장에서 검증받은 이력을 갖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엔젤렉스(angel MEDI 제품)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3등급 품목
허가를 획득하여 건강보험 급여적용이 가능해져 판매량 증가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엔젤로보틱스는 웨어러블 로봇 분야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술성장기업 특례상장
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엔젤로보틱스 주요 고객은 종합병원, 재활기관, 장애인 복지관, 요양병원, 재활병원, 대학교로 엔젤로보틱스의 거래 고객수는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2022년 12월 동사가 엔젤렉스(angel MEDI 제품) 관련해서 식약처로부터 의료기기 3등급 품목
허가를 획득하여 건강보험 급여적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웨어러블로봇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엔젤로보틱스 뿐 아니라 대기업들도 속속 웨어러블 로봇시장에 진출하고 있고 삼성전자도 '봇핏'이라는 웨어러블 로봇을 내놓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의료용 재활로봇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아직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고있는 실정으로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마케팅 부족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의 2대주주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LG전자가 인수해 줄지 의문이 들고 있는데 웨어러블로봇 시장으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재활의학 분야의 좁은 시장으로는 성장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군사용 웨어러블 로봇같은 대량 납품이 가능한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독자적인 생존능력을 검증 받을 수 있을 겁니다

 

엔젤로보틱스는 관련 기술을 갖고 있지만 돈은 못 버는 바이오신약개발사와 마찬가지로 시장진입이 쉬운 웨어러블로봇 시장에서 독자적으로 살아남기에는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성장기대감이 아니라 수익이 나는 실적외형을 보여줘야하는데 외형성장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습니다

 

격년으로 열리는 일본 동경로봇전시회iRex에 가보면 넘쳐나는 것이 웨어러블로봇이라 엔젤로보틱스가 과연 이런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자기만의 시장을 찾을 수 있을 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엔젤로보틱스_IR Book.pdf
8.39MB
엔젤로보틱스20240926_기업IR협의회.pdf
1.9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67VbuvA6Lsg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1차 협력사 인탑스가 스마트폰 Assy(조립)과 자동차부품, 금형 등의 기존 주력사업에서 삼성전자의 첫번째 웨어러블 로봇 양산에 동참하면서 로봇사업에도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인탑스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조립을 주력사업으로 코로나19팬데믹 기간에는 코로나19진단키트 케이스로 꽤 큰 수익을 거두기도 했는데 인탑스가 갖고 있는 제조역량을 다른 스타트업과 함께 개발에 나서고 금형을 지원하며 신규 사업에 대한 탐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인탑스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도 제조법인들을 자회사로 두고 있는데 이들 해외법인들을 통해 스마트폰 조립과 가전조립 그리고 자동차부품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의 협력관계로 기존 스마트폰 조립과 가전조립은 꾸준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고 자동차 부품사업을 키우면서 전장업체로의 전환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최근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로봇 제조에 파일럿 생산을 대행하면서 향후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로봇 위탁생산을 수행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어 삼성전자가 미래먹거리로 키우고 있는 로봇사업에도 동참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웨어러블로봇이 하반기 런칭을 예고하고 있어 인탑스의 위탁생산에 따른 실적이 상반기 실적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인탑스가 삼성전자와 하고 있는 사업들은 마진은 적으나 일감이 꾸준하고 안정적이라 이를 바탕으로 인탑스 자체 사업을 찾아 인탑스인베스트먼트와 함께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에 나서고 있는데 미래성장성이 큰 업체의 경우 투자를 병행하여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인탑스의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45,000원대로평가되어 지난 4월 5일 44,750원을 기록하여 거의 근접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2분기 실적호전이 확인되면 이를 뛰어넘는 주가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인탑스 2023Q1 이베스트증권.pdf
0.71MB
인탑스 20220916 유안타.pdf
0.9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Xzl6AkDQcRM

안녕하세요

현대차그룹이 로봇사업에 뛰어들면서 점차 성과를 내는 모습입니다

 

현대차가 환자용 웨어러블 로봇 '엑스블'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는데 의료용 재활로봇으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웨어로블로봇을 착용하고 재활훈련을 받게 되는데 사용됩니다

 

현대차는 앞서 엑스블 상표를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에 등록했는데 엑스블은 환자, 장애인의 하지 근육 재건, 관절 운동 회복 등 재활·훈련을 목적으로 환자가 착용하고 보행할 수 있는 전동 장치입니다

 

웨어러블로봇은 재활의료기기 뿐 아니라 노인인구가 늘어나 젊은 노동력이 부족한 시골지역의 노인들을 위한 근력강화로봇으로 활용될 수 있고 노동현장에서 웨어러블로봇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정의선 회장 체제 출범 이후 완성차 제조업체에서 모빌리티 업체로 변신하고 있는데 로봇분야도 정의선 회장이 보스턴 다이내믹을 인수할 때 사재 2000억원을 출연할 정도로 의욕을 갖고 키우고 있는 분야입니다

 

푸른기술은 신규사업 분야로 협동로봇 및 의료로봇 개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해 현대위아를 대상으로 협동로봇 '심포니 15'의 납품을 시작했는데 푸른기술은 심포니 15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맞는 라인업 제품을 선보일 방침입니다.

 

푸른기술은 현대차의 로봇사업에 협력사로 참여하고 있어 현대차의 로봇사업이 성장할수록 사업확장의 기회를 얻게 되기 때문에 오늘 의료용 웨어러블 재활로봇의 KFDA 사용승인은 시장 확대의 신호탄으로 이해되는 것 같습니다

 

푸른기술은 기존 역무자동화기기와 금융자동화기기에 이어 로봇사업을 성장동력으로 확보해 실적호전의 기회를 노리게 된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협동로봇기술동향 2022.pdf
10.38MB
협동로봇시장ASTI MARKET INSIGHT 020(0712).pdf
1.33MB
현대차 환자용 웨어러블 로봇 '엑스블'
현대차 환자용 웨어러블 로봇 '엑스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9eqZAMCOom8

안녕하세요

지니틱스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오는 8월 웨어러블로봇을 해외에 출시한다는 소식에 관련 테마주로 거론되는 지니틱스에 관심이 몰린 것으로 보입니다.

 


13일 오전 10시 8분 현재 지니틱스는 전일 대비 225원(+8.26%) 상승한 294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날 한 매체는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을 웨어러블 로봇 ‘GEMS-H’가 오는 8월 공식 출시되고, 초도물량은 3~5만대 수준이라고 보도했는데 이 로봇은 걷기 어려운 분들을 돕는 보행 보조 로봇인데 앞서 삼성전자는 작년 10월 26일 미국 FDA 물리 의학(Physical Medicine) 부문에 ‘젬스 힙(GEMS-H)’에 대한 허가신청을 제출했고, 지난달 21일 최종 승인(Substantially Equivalent, SESE)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삼성전자는 로봇 사업화를 위해 2021년 TF(태스크포스)를 상설조직인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하는 등 신사업으로 로봇사업 강화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BIS에 따르면 세계 웨어러블 로봇 시장 규모는 2016년 9600만 달러(약 1077억 원)에서 2026년 46억5000만 달러(약 5조2150억 원)로 10년간 50배가량 성장할 전망인데 이같은 소식에 전세계 웨어러블 터치IC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인 지니틱스에 기대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보입니다.

 

지니틱스는 웨어러블 기기에 들어가는 전용 터치IC 제품을 공급 중인데 중국 모바일 제조사 오포, 비보를 계열사로 둔 중국 BBK에 칩을 공급한 지니틱스는 삼성 갤럭시 워치, 화웨이, 샤오미 등에 칩을 공급하고 있으며, 전 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의 탑5 제품 중 3개 제품에 지니틱스 IC가 들어갈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지니틱스에 대한 기대감은 이미지스테크놀로지의 사례를 볼 때 경계해야 할 것으로 초기에는 삼성전자가 지니틱스 터치IC반도체를 구매해 사용하겠지만 햅틱이 그렇듯이 시장이 성숙하면 내재화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성장에는 한계를 갖고 있어 보입니다

 

웨어로블로봇은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특히 농어촌지역 노인인구의 노동력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 웨어러블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지니틱스20210527유안타증권.pdf
0.5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착용형 근력증강로봇 LEXO

안녕하세요

LIG넥스원과 한컴라이프케어 착용형 근력증강로봇 LEXO(Lucid EXOskeleton for industry·military)의 기술발전 및 사업확대를 위한 협력·교류 활동을 본격화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5일 밝혔습니다.

LIG넥스원은 용인 한컴라이프케어 본사에서 강동석 연구개발본부장과 우준석 한컴라이프케어 대표이사 등 양 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착용형 로봇 LEXO의 공동연구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LIG넥스원과 한컴라이프케어는 착용형 로봇 LEXO의 기술발전 및 사업확대를 위한 공동연구 및 협력활동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공동 과제 참여 및 상호 협력 △소방을 비롯한 공공·민수 분야에서의 공동 프로모션 등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최근 빠르게 첨단화·고도화되고 있는 착용형 로봇은 국방 분야를 비롯해 소방, 재활의료, 실버산업, 농·산업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와 관련해 LIG넥스원은 착용형 로봇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2010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해 LEXO란 브랜드로 유압 파워팩, 센서처리 보드, 제어 알고리즘 등 핵심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LIG넥스원은 착용형 로봇 분야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군, 소방, 산업 전 분야에 걸쳐 개인안전장비 시장을 선도해온 한컴라이프케어의 노하우 및 인프라 등을 최대한 접목해 새로운 시장기회를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강동석 연구개발본부장은 “한컴라이프케어와의 긴밀한 협력이 전세계에서 경쟁적으로 개발을 추진 중인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한편, 국방, 소방, 재활의료, 실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우준석 한컴라이프케어 대표도 “착용형 로봇은 재난구조나 산업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기술로 앞으로 관련 시장이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시장 니즈에 알맞은 착용형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시장 선점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전했습니다.

착용형 근력증강로봇 LEXO는 웨어러블로봇으로 노인국가에서 투자가 많이 이뤄지고 있는 분야입니다

일본은 가장 먼저 노인국가가 된 나라로 웨어러블로봇에 일찍부터 투자를 늘리며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는데 젊은 노동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를 커버하기 위해 노인들을 위한 웨어러블로봇을 발전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LIG넥스원과 한컴라이프케어의 웨어러블로봇에 대한 사업협력은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이면서 노인국가의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