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xLcSXFdxMOQ?si=mZbz_A8kE5aMpxpI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올릭스는 RNA간섭(RNA interference; RNAi)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로 라이센스 아웃이 주요 수익원이 되고 있는 바이오신약개발사입니다

 

올릭스 RNA간섭기술은 기존 신약개발 플랫폼인 저분자화합물 및 항체치료제를 이은 제3세대 플랫폼 기술로 불리는 올리고 핵산치료제 중,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현실화된 기술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올릭스는 RNA간섭 플랫폼기술을 기반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여 관련 기술을 국내외 제약사에 이전하는 사업구조를 갖고 있는데 동물에서 효력과 독성에 대한 연구(비임상시험) 후 인체에 독성관련 시험을 하는 제1상 임상시험까지 완료한 다음 제2상 임상시험 초기에 조기 기술이전을 하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고 지금까지 몇 번의 성공과 실패를 반복해 왔습니다

 

올릭스는 지난 7일 미국 제약기업 일라이릴리와 선급금과 마일스톤 포함 총 9100억원 규모의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는데 대사이상지방간염(MASH)과 심혈관·대사질환을 표적하는 임상 1상 물질인 ‘OLX75016’의 개발과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고 이번 계약에 따라 올릭스는 OLX75016의 임상 1상을 완료해야 하고 임상 개발과 사업화는 일라이릴리가 진행하며 이후 일라이릴리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하게 됩니다.

 

올릭스는 대사이상지방간염(MASH) 치료제 후보물질 ‘OLX75016’의 일라이릴리 라이센스 아웃 발표 이후 주가가 단기간에 200% 급등했는데 계약금액의 크기가 9,100억원대라 지금까지 손실을 다 메꾸고도 남기 때문입니다

 

신약개발사의 라이센스 아웃은 거래상대방이 신뢰할 수 있는 거대 다국적 제약사인지 살퍄봐야 하고 초기 계약금의 사이즈와 마일스톤의 지불구조 등을 살펴봐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계약금과 마일스톤 구조에 대해서는 영업상 비밀로 공개하지 않지만 총액만 공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임상 중간에 결과가 좋지 않아 반환할 경우 계약금고 기지급된 마일스톤도 반환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올릭스는 황반변성치료제에 대해 라이센스 아웃 후에 반환받은 적이 있어 불성실공시법인 유예조치를 받기도 했습니다

 

신약개발사들은 임상을 마치고 원하던 효능을 확인하는 결과 데이타를 얻을 수 있어야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올릭스 전환사채를 들고 있던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달 말 주식전환이후 라이센스아웃 시기에 맞춰 보유 지분을 처분한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올릭스 20250210 대신증권.pdf
1.21MB
올릭스 20250210_유진투자증권.pdf
1.17MB
올릭스 20250210_키움증권.pdf
0.4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gh2yfOUH2I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올릭스의 주가가 최근에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1회차와 2회차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이뤄지면서 재무구조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릭스의 주가 급등은 비만치료제와 탈모치료제 라이센스 아웃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된 것으로 이 과정에서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이뤄지기 때문에 부채가 줄고 자본이 확충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릭스는 자체적으로 발굴한 대사이상지방간염(MASH) 및 비만치료제 OLX702A의 호주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대사이상지방간염 환자까지 대상자에 포함해 일부 효력까지 확인하는 구조로 임상시험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특히 위고비와 '젭바운드' 같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관련 약물과 병용으로 사용할 경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또 GLP-1 관련 약물과 달리 투여를 중단하면 다시 살이 찌는 '요요현상' 부작용 우려가 적다는 점도 장점으로 알려져 있고 3개월에 1회 투여하는 방식이라 환자 편의성도 상대적으로 높아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에서 관심이 많은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릭스 탈모치료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올릭스의 자체 리보핵산간섭(RNAi) 유전자 조절 기술을 접목한 파이프라인으로 월 1회 투여해 탈모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데 현재 호주 임상 1상 단계로 2023년 6월 첫 환자 투여를 완료했고, 이어 지난 6월 시험 대상자 모두에 대한 투약을 종료해 연내 임상 1상을 완전히 종료하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탈모치료제는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어 어느 제약사가 먼저 검증 가능한 탈모치료제를 개발할지 시장의 관심이 많은데 올릭스의 탈모치료제도 전임상에서 효능이 확인되어 기대가 큰 치료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릭스는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개발될 수 있는 비만치료제와 탈모치료제에 대해 유리한 조건에서 라이센스아웃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단 1회차와 2회차 상환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이뤄지고 있어 재무구조 개선이 확인되고 있는데 라이센스 아웃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릭스는 지난 6월 24일 최저가 8,280원을 기록하고 이후 비만치료제와 탈모치료제의 라이센스아웃 기대감에 주가도 10월 11일 52주 신고가 27,40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지금의 주가 급등은 단기간에 300% 이상의 주가 급등으로 라이센스 아웃 기대감이 선반영된 것으로 보이고 상환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을 가능케 했지만 실제 라이센스 아웃이 이뤄질지 알 수 없는 것으로 기대감만으로 만들어진 주가는 사상 누각과 다를 바 없기 때문입니다

 

지난 6월 24일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치료제 OLX301A 기술이전 계약해지 및 권리반환 공시가 있기도 했는데 신약개발에 있어 이런 라이센스 아웃 반환이 종종 있는 경우로 인삼진행에 따라 언제든지 가능한 일이기에 막연한 기대감은 자칫 큰 손해를 가져올수도 있어 끝까지 긴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올릭스가 개발하고 있는 비만치료제와 탈모치료제는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글로벌 시장을 갖고 있는 분야이기는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올릭스 IR 2024.pdf
4.3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Lq_BE_uDqs

안녕하세요

탈모관련주들이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윤석열 당선자의 인수위원장을 맡게 되면서 안 위원장의 "탈모약 반값"공약이 시행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인식이 투자자들 사이에 묻지마 매수세를 불러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올해 초 안 위원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시 대선후보가 ‘탈모 치료 건강보험 적용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우자 “탈모약 제네릭(복제약)의 가격을 낮추고 탈모에 대한 보건산업 연구개발 지원을 대폭 확대하는 것이 실현가능한 대안”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현재 탈모치료제 시장을 이끌고 있는 것은 MSD의 ‘프로페시아’(성분명 피나스테리드)와 GSK의 ‘아보다트’(성분명 두타스테리드)로 프로페시아는 199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먹는(경구용) 남성형 탈모치료제로 승인받았고 아보다트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 허가받은 뒤, 2009년 적응증이 추가되면서 탈모 치료에 처방되고 있습니다.

 

탈모치료제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이 모낭을 축소시키면서 일어나는데 DHT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대사를 통해 바뀐 물질인데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는 DHT 생성을 억제합니다.

 

프로페시아는 국내 탈모치료제 시장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0년 국내 탈모치료제 시장은 1300억원 규모로 피나스테리드 935억원, 두타스테리드 137억원 등입니다.

 

정부 지원이 이뤄질 경우 탈모증상이 있는 사람들이 조기에 치료에 착수할 수 있어 탈모약을 갖고 있는 제약사들의 실적이 호전될 수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탈모관련주

현대약품

JW신약

JW중외제약

대웅제약

동국제약

올릭스

TS트릴리온

바이오니아

하이로닉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방역 당국이 국산 mRNA(메신저 RNA)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계획에 관련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업들이 주식 시장에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장 초반 아이진은 전 거래일 대비 24.39% 오른 2만 5,550원에 거래 중이고 에스티팜도 전장 대비 5.82% 오른 11만 8,1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국내 바이오 기업 중 mRNA 백신와 관련된 기술을 확보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앞서 방역 당국은 지난 7일 mRNA 백신과 관련한 임상시험을 올해 중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mRNA 백신은 mRNA를 사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의 유전자 백신으로 최근 희귀 혈전 논란이 번지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과 달리 부작용이 비교적 적게 보고되고 있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또 특정 유전자만 합성하면 다른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어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활용도가 크다는 평가입니다.

코로나19 백신 가운데 모더나와 화이자의 백신이 mRNA 백신이며 조만간 출시될 독일 큐어백의 코로나19 백신 역시 mRNA 백신으로 분류됩니다.

mRNA백신은 #변이바이러스 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백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난 번 #영국변이바이러스 가 문제가 되었을 때 #미국모더나 CEO는 6주안에 영국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내놓겠다고 확언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이진과 #동아쏘시오홀딩스 계열사 에스티팜이 mRNA백신 개발에 출사표를 던져놓은 상태입니다

mRNA백신은 향후 백신 시장을 좌우할 선도기술로 평가되고 있는데 우리 바이오백신 개발사들도 관련 기술을 구매하여 mRNA 코로나19백신 개발에 뛰어든 상태입니다

아이진은 유상증자를 실시하고 있어 연구개발비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삼양홀딩스도 유전자 치료제 신약개발사 올릭스의 자회사 "엠큐렉스"와 코로나19 mRNA백신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개발에 들어갔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mRNA코로나19백신 개발사

#아이진

#에스티팜

#동아쏘시오홀딩스

#삼양홀딩스

#올릭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릭스가 자회사를 설립해 mRNA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나섭니다.

올릭스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mRNA 치료제와 백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mRNA 신약 연구개발을 위한 자회사 '엠큐렉스 주식회사(mCureX Therapeutics, Inc.)'를 설립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자사에서 연구하는 RNA 간섭 기술이 아닌 mRNA 관련 신약을 중점적으로 연구 개발할 수 있는 자회사를 설립해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mRNA 기술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가 되고 있는 코로나19 백신에 적용된 기술입니다.

mRNA 기반 치료제 및 백신은 특정 단백질의 결핍으로 야기되는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mRNA를 투여해, 세포 내에서 결핍된 특정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엠큐렉스의 최고 기술 책임자로서 연구 총괄을 맡게 되는 신동원 박사는 20여년 mRNA 및 올리고 핵산연구 경력을 가진 mRNA 분야 전문가로 신 박사는 미국에서 핵산 화학 부문 박사학위 및 박사 후 연구과정(Postdoc) 수료 후 트라이링크 바이오테크놀로지(Trilink Biotechnologies, LLC), 올릭스에서 mRNA 핵심 기술을 포함한 핵산 관련 연구개발을 수행했습니다.

특히 화이자-바이오엔테크가 내놓은 코로나19 mRNA 백신에 사용되는 mRNA 5’-Capping 원천기술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자, 해당 기술 특허권자(US10519189B2)의 일원이기도 합니다.

신 박사는 "mRNA 연구 경험과 기술이 엠큐렉스의 초기 mRNA 치료제 개발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이사는 "mRNA 치료제 및 백신 글로벌 시장은 수년 내 대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자체 원천 기술로 개발한 RNAi 치료제를 임상에 진입시킨 올릭스의 핵산 치료제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엠큐렉스를 통해 mRNA 치료제 개발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고 이어 "최근 mRNA를 이용한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성공한 모더나, 화이자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mRNA 치료제 개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올릭스의 자회사 엠큐렉스가 mRNA 전문가인 안톤 맥캐프리 박사(Anton McCafferey, Ph.D.)를 과학기술자문단(SAB) 자문위원으로 영입했습니다.

엠큐렉스는 이번에 SAB위원으로 영입한 맥캐프리 박사는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스탠포드 의대(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습니다.

최근까지 트라이링크 바이오 테크놀로지(TriLink BioTechnologies)에서 mRNA 백신·치료제의 연구개발과 제조 분야에서 활동해왔습니다.

맥캐프리 박사는 엠큐렉스의 CTO(최고기술경영자) 신동원 박사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mRNA백신에 적용되는 'mRNA 5'-Capping' 기술을 개발했고 관련 특허 발명자로 게재된 바 있습니다.

홍선우 엠큐렉스 대표이사는 "맥캐프리 박사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가 엠큐렉스의 mRNA플랫폼을 확립하고 자체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올릭스는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가 mRNA를 이용한 코로나19백신 개발에 고무되어 동일한 mRNA를 활용한 코로나19백신 개발에 착수한 것입니다

개발과 임상까지 거치면 내년이나 백신이 나올 것으로 보여 경쟁력이 있을 지는 의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