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kvffzp3mihY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최근 며칠간 급락한 데 따른 반발 매수세에 개장 초 크게 반등했으나 오후 들어 오름폭을 축소하면서 혼조세로 돌아섰습니다.

 

1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96포인트(0.26%) 하락한 32,160.74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81포인트(0.25%) 상승한 4,001.05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4.42포인트(0.98%) 반등한 11,737.67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한 데 따른 반발 매수세로 개장 초부터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는데 그러나 오전장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시 반등하는 등 이날도 극심한 변동성은 지속됐습니다.

 

전날 S&P500지수는 1년 만에 4,000 아래로 떨어졌으나 하루 만에 4,000선을 회복했는데 다우지수는 마감 직전 하락세로 전환된 뒤 반등에 실패했습니다.

 

시장은 다음날 나오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으나, 10년물 국채금리가 3% 아래로 가파르게 하락한 점이 투자 심리를 일부 개선했는데 국채금리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서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속도조절에 들어갈 수도 있다는 희망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위험 회피 심리로 안전자산인 국채로 몰리면서 금리는 아래쪽으로 방향을 튼 모습인데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줄줄이 나왔으나 시장이 이미 반영해왔던 수준이라 영향은 크지 않았습니다.



시장은 이미 연준이 앞으로 두 번의 회의에서 50bp(=0.5%포인트) 금리 인상이 단행되리라는 것은 어느 정도 가격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오는 6월과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고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이날 인터뷰에서 다음 두 번의 회의에서 50bp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아주 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지금이 금리 인상을 할 때라며 "경제가 강할 때 금리를 더 많이 인상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는데 그는 다만 향후 금리 인상폭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파월 연준 의장은 다가오는 두 차례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을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연준 위원들은 경기 침체 위험이 증가하고 있지만, 결국 연준이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습니다.

 

윌리엄스 총재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실업률이 다소 올라갈 수는 있지만, 미국 경제가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메스터 총재도 연준의 금리 인상이 경기를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몰아넣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는데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현재의 금리 수준은 경제에 긴축적인 금리 수준에서 아직 멀었다"라며 연준의 금리 인상이 깊은 침체를 촉발하지는 않으리라고 예상했습니다.

 

헤지펀드 매니저 데이비드 테퍼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매도세가 끝에 근접했다고 생각한다"라며 나스닥지수가 1만2천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기업들의 실적은 종목별로 엇갈리고 있는데 운동기구업체 펠로톤의 주가는 예상보다 분기 손실이 확대됐다는 소식에 8% 이상 급락했고, 극장 체인 AMC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예상보다 개선된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5% 하락 마감했습니다.

 

제약업체 노바백스의 주가는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장중 10% 이상 하락했으나 결국 1% 오름세로 장을 마쳤고 대출 플랫폼 업스타트의 주가는 실적 악화에 56% 이상 폭락하기도 했습니다.

 

S&P500지수 중에 부동산, 유틸리티, 금융, 필수 소비재, 산업 관련주가 하락하고, 기술, 에너지, 통신, 헬스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다만 소비자물가 지표가 둔화하면 시장의 매도세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왔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 조바이든 대통령이 조속히 안정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고 우크라이나의 농산물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이른 시일 안에 내놓겠다고 말하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안정화시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 시장의 혼란은 기대인플래이션 효과로 볼 수 있는데 결국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조기에 인상해야 한다는 논리이기 때문입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76포인트(5.06%) 하락한 32.99를 기록해 다소 안정화 되어가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국제유가가 중국 봉쇄 장기화로 하향 안정화되고 있는 것이 인플레이션을 안정화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해 러시아 스스로가 수출중단을 선언해 서방에 공급만 문제를 이슈화시키고 있는데 러시아와 서방의 치킨싸움에 누가 더 맵집이 쎈지 구경꺼리가 생긴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새해 들어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 행진을 벌인 가운데 삼성·현대차·SK·LG 등 재계 4대 그룹의 시가총액이 무려 150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와 전기차 관련 종목의 강세에 힘입어 4대 그룹의 합산 시가총액은 1200조원을 훌쩍 넘어섰고 코스피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를 돌파했습니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재계 4대그룹 상장 계열사 59곳(보통주)의 시가총액은 올해 들어 한달도 채 안돼 150조8717억원 늘었습니다.

지난해 연말 1108조4569억원이던 4대 그룹 합산 시총은 지난 21일 기준 1259조3186억원을 기록했는데 그 결과 코스피 전체 시총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58%에서 60%로 증가했고 시총 증가율로 보면 13.6%로 이 기간 코스피 상승률인 10.1%를 비교적 크게 앞섰습니다.

4대그룹의 시총 규모를 보면 시가총액 1위 대장주 삼성전자를 앞세운 삼성그룹이 737조8752억원으로 압도적이고 이어 SK그룹(197조5124억원), LG그룹(166조4407억원), 현대자동차(157조4083억원) 순입니다.

올해들어 시총 증가액으로 봐도 삼성그룹이 1위로 상장 계열사 16곳을 합한 삼성그룹의 시총은 지난해 연말 672조4234억원에서 55조4238억원 늘었습니다.

1등 공신은 단연 삼성전자로 삼성전자의 시총은 올해 들어서만 42조3854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코스피 시총 8위(우선주 제외)인 셀트리온(41조9843억원)의 시총을 넘어서는 규모로 삼성전자는 올해 반도체산업 슈퍼사이클 기대감에 동학개미들이 몰리면서 한때 '10만전자'를 바라보기도 했습니다.

전기차 관련 2차전지(배터리) 관련주인 삼성SDI의 시총도 지난해말 43조1841억원에서 51조2296억원으로 8조455억원 늘었고 5G시대 본격화에 따른 기대감에 삼성전기 시총도 지난해말 대비 2조4275억원 증가했습니다.

삼성그룹에 이어 두번째로 시총이 크게 불어난 그룹은 현대차그룹으로 현대차그룹의 시총은 같은 기간에 114조5963억원에서 157조4083억원으로 새해 들어서만 42조8120억원 늘었는데 올해 전기차 시장 확대 기대감에 애플과의 전기차 협력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현대차의 시총은 41조243억원에서 56조5152억원으로 15조4099억원 불었고 기아차의 시총도 25조2947억원에서 36조9286억원으로 11조6339억원 늘었으며 현대모비스 시총도 10조282억원 증가했고 특히 현대위아의 시총 증가폭은 102.80%로 4대그룹 상장사 중 가장 높았습니다.

LG그룹의 시총은 올해 들어 26조5070억원 증가했는데 지난해말 138조9337억원이던 시총은 지난 21일 기준 166조4407억원으로 부풀었고 LG그룹의 경우도 2차전지 관련 종목이 이끌었는데 2차전지 대표종목인 LG화학의 시총은 58조1681억원에서 69조7452억원으로 11조5771억원 늘었는데 최근 적자사업 부문인 스마트폰의 철수 가능성에 주가가 크게 오른 LG전자 시총도 8조1823억원 증가했습니다.

SK그룹의 시총은 올해 26조1179억원 늘어난 197조6124억원으로 200조원 돌파를 눈앞에 뒀는데 SK그룹 역시 반도체 덕을 톡톡히 봤는데 SK하이닉스의 시총은 86조2683억원에서 95조7323억원으로 9조4640억원 늘었고 2차전지주인 SK이노베이션 시총은 7조9520억원 증가했으며 지주사 효과와 친환경 호재가 반영된 SK 시총도 7조1063억원 늘었습니다.

4대그룹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급등장도 주도했는데 삼성그룹의 시총은 2019년말 475조7544억원에서 지난해말 682조4324억원으로 206조6780억원(증가율 55.09%)이나 늘었는데 절반에 가까운 시총이 1년 사이 증가한 셈입니다.

LG그룹은 55조4957억원(97.12%), SK그룹은 41조9743억원(52.57%), 현대차그룹은 26조6252억원(78.93%)이 각각 지난 한 해 동안 늘었는데 4대그룹 시총 증가율은 모두 지난해 코스피 지수 상승률인 47.24%를 크게 넘어선 수준입니다.

지난 해는 연초의 코로나19사태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며 출발해 일년 내내 급등세를 타며 랠리를 펼쳤는데 저금리 기조에 시장내 풍부한 유동성이 주가버블을 만들기에 충분한 조건을 만들었습니다

올 해는 미국의 조 바이든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우려해 재정긴축으로 선회할 경우 시장 내 유동성을 빨아들여 버블붕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미 실물경제와 주식시장은 큰 괴리율을 갖고 있어 버블붕괴가 안 오는 것이 이상할 정도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국 연방정부의 지속적인 재정부양책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부양정책이 부추긴 뉴욕증시의 급격한 상승랠리가 자산시장에서 버블(거품)을 만들고 있다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경고했고 이런 가운데 투자의 대가가 꼽히는 제러미 그랜섬 GMO 창업주도 버블 붕괴를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마이클 하트넷 BoA 스트래티지스트는 이날 투자자들에게 공개한 보고서에서 “미국 정부와 연준의 정책 버블이 월가 자산시장 버블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그는 “이미 부유하고 그 부유함을 계속 유지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마치 이제 부유해지고 싶은 사람들처럼 행동하기 시작할 때가 바로 투기적인 시장 상승의 마지막 단계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하트넷 스트래티지스트는 “이제 시장 조정이 임박했고 1분기 중에 증시는 정점을 찍을 것”이라며 BoA가 자체적으로 산정하는 ‘강세 및 약세 지표’가 매도 시그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 투자자들의 투자행태가 시장가격을 끌어 올리고 이 것이 실물경제의 인플레이션을 유도할 수 있다고 예상했고 또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와 타이트한 금융여건, 변동성 국면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BoA는 올해 연준의 대차대조표 상 자산규모가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42% 수준까지 불어날 것이며 미국 재정적자도 GDP의 33%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해 3월 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대유행)에 최저치를 찍은 증시는 이후부터 막대하게 풀린 유동성과 경기 회복 기대감 등으로 상승랠리를 이어왔는데 올 새해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민주당의 상원 장악에 따른 추가 재정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가세하면서 랠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지난해 3월 이후 지금까지 70% 이상 뛰었습니다.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GMO 창업주이자 월가 투자 대가로 꼽히는 그랜섬 창업주도 전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투자자들이 지금처럼 자아도취(유포리아)에 빠져있던 때도 거의 없었다”며 현재 증시 버블을 2000년 닷컴 버블이나 1929년 증시 대폭락에 견줬습니다.

그는 “개인투자자들이 심장과 영혼을 던지고 있고 가진 현금 전부를 시장에 넣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이같은 버블 치고 최소 50%씩 하락하지 않았던 전례는 거의 없다”고 경고했고 이어 “신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자리를 잡을 때가 거품이 빠지기 시작할 좋은 타이밍”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백신 보급 등으로 증시 거품이 이어지더라도 투자자가 언젠가는 세상이 ‘실제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라는 자각을 할 것”이라며 “글로벌 교역량이 줄어들고 있고 지난 수십 년간 글로벌 성장이 꾸준히 둔화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경기부양책으로 유동성을 쏟아부었지만 경기가 죽는 걸 방어했을 뿐 실물경제는 더 나아지지 않았고 자산버블은 유동성의 힘으로 밀어올려져 미래 가치마져 땡겨와 지금의 가치에 버블을 있는 데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연방준비은행으로 하여금 금리인상의 유혹에 빠지게 하고 결국 과거와 같은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시중 유동성을 다시금 빨아들이려 할 것입니다

미국은 증시에 버블이 크게 끼어들었지만 우리나라는 과잉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에 거품을 만들어 미국에서 긴축정책으로 선회할 때 버블은 급격하게 무너지고 우리 부동산 시장도 무너지게 될 겁니다

결국 부동산 투기꾼들은 고점에서 부동산을 실소유자들에게 팔아치워 평생을 부동산 부채를 갚게 만드는데 성공했고 다시금 하우스푸어들을 양산하게 되었습니다

매일 같이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부동산 투기꾼들의 투기성공을 기원했던 기레기들은 광고를 수주하는 것으로 행복할 지 모르겠지만 이들의 나팔로 부동산 실수요자들은 남은 평생을 내집마련의 꿈을 이룬 댓가를 치르게 될 겁니다

부채로 쌓아올린 사상누각 앞에 인플레이션이라는 큰 파도가 들이치려 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연준 대차대조표 상 자산규모와 S&P500지수 추이 (블룸버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0년 미국 뉴욕증시가 31일(현지 시각)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마감했습니다.

지난해 뉴욕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급락한 뒤 기록적인 수준의 반등을 보이면서 롤러코스터를 탔습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6.92포인트(0.65%) 오른 30,606.48에 거래를 끝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24.03포인트(0.64%) 뛴 3756.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8.28포인트(0.14%) 상승한 12,888.28에 2020년을 마무리했습니다.

다우지수와 S&P500은 천장을 뚫고 신고점을 보였는데 나스닥도 종가 기준으로 역대 최고 기록에 근접했습니다.

2020년 연간으로는 나스닥이 지난 2009년 이후 최대폭인 43.6% 폭등했는데 다우와 S&P500은 각각 7.3%, 16.3% 올랐고 S&P500의 경우 지난 3월 역대 최단기간 30% 폭락 기록을 세웠다가 결과적으로 큰 폭의 연간 상승률을 기록한 것입니다.

대국민 지원금의 증액에 대한 기대가 투자심리를 자극했는데 미 공화당이 상원에서 대국민 지원금 증액에 제동을 걸었지만 결국 통과될 것이란 기대가 높은 상황입니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시장 전망치보다 낮게 나온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뉴욕증시는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급락했지만 미국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과 대형 기술주의 랠리로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셧다운 조치의 영향을 덜 받은 주요 IT(정보기술) 기업들 증시 회복을 이끌었는데 애플은 81%, 아마존은 76%, 마이크로소프트는 41%가 2020년에만 올랐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추가 부양책 가시화도 주요 지수는 연말에는 신고점 행진을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백신 상용화로 실물 경제가 회복되면 올해도 지난해 같은 증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는데 다만 과도하게 오른 만큼 거품이 꺼질 수 있다는 반박도 여전합니다.

지금 미국시장은 코로나19사태 속에 봉쇄정책으로 경기가 급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동성을 쏟아부어 만든 유동성장세로 당연히 버블이 만들어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실물경제는 침체인데 자산가격만 유동성의 힘으로 밀려올려진 괴리감은 결국 신규 유동성이 더 들어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버블붕괴로 끝나게 예정된 겁니다

폭탄돌리기의 끝에 누가 서 있는가에 따라 손해보는 당사자가 결정되겠는데 폭탄을 돌리는 과정에서는 모두가 축제를 즐길 수 있는 때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