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최근 며칠간 급락한 데 따른 반발 매수세에 개장 초 크게 반등했으나 오후 들어 오름폭을 축소하면서 혼조세로 돌아섰습니다.
1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96포인트(0.26%) 하락한 32,160.74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81포인트(0.25%) 상승한 4,001.05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4.42포인트(0.98%) 반등한 11,737.67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한 데 따른 반발 매수세로 개장 초부터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는데 그러나 오전장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시 반등하는 등 이날도 극심한 변동성은 지속됐습니다.
전날 S&P500지수는 1년 만에 4,000 아래로 떨어졌으나 하루 만에 4,000선을 회복했는데 다우지수는 마감 직전 하락세로 전환된 뒤 반등에 실패했습니다.
시장은 다음날 나오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으나, 10년물 국채금리가 3% 아래로 가파르게 하락한 점이 투자 심리를 일부 개선했는데 국채금리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세로 돌아서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속도조절에 들어갈 수도 있다는 희망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위험 회피 심리로 안전자산인 국채로 몰리면서 금리는 아래쪽으로 방향을 튼 모습인데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줄줄이 나왔으나 시장이 이미 반영해왔던 수준이라 영향은 크지 않았습니다.
시장은 이미 연준이 앞으로 두 번의 회의에서 50bp(=0.5%포인트) 금리 인상이 단행되리라는 것은 어느 정도 가격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오는 6월과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고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이날 인터뷰에서 다음 두 번의 회의에서 50bp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아주 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지금이 금리 인상을 할 때라며 "경제가 강할 때 금리를 더 많이 인상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는데 그는 다만 향후 금리 인상폭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앞서 파월 연준 의장은 다가오는 두 차례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을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연준 위원들은 경기 침체 위험이 증가하고 있지만, 결국 연준이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습니다.
윌리엄스 총재는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실업률이 다소 올라갈 수는 있지만, 미국 경제가 연착륙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메스터 총재도 연준의 금리 인상이 경기를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몰아넣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는데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도 "현재의 금리 수준은 경제에 긴축적인 금리 수준에서 아직 멀었다"라며 연준의 금리 인상이 깊은 침체를 촉발하지는 않으리라고 예상했습니다.
헤지펀드 매니저 데이비드 테퍼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매도세가 끝에 근접했다고 생각한다"라며 나스닥지수가 1만2천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기업들의 실적은 종목별로 엇갈리고 있는데 운동기구업체 펠로톤의 주가는 예상보다 분기 손실이 확대됐다는 소식에 8% 이상 급락했고, 극장 체인 AMC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예상보다 개선된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5% 하락 마감했습니다.
제약업체 노바백스의 주가는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장중 10% 이상 하락했으나 결국 1% 오름세로 장을 마쳤고 대출 플랫폼 업스타트의 주가는 실적 악화에 56% 이상 폭락하기도 했습니다.
S&P500지수 중에 부동산, 유틸리티, 금융, 필수 소비재, 산업 관련주가 하락하고, 기술, 에너지, 통신, 헬스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다만 소비자물가 지표가 둔화하면 시장의 매도세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왔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 조바이든 대통령이 조속히 안정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고 우크라이나의 농산물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이른 시일 안에 내놓겠다고 말하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안정화시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금 시장의 혼란은 기대인플래이션 효과로 볼 수 있는데 결국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조기에 인상해야 한다는 논리이기 때문입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76포인트(5.06%) 하락한 32.99를 기록해 다소 안정화 되어가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국제유가가 중국 봉쇄 장기화로 하향 안정화되고 있는 것이 인플레이션을 안정화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해 러시아 스스로가 수출중단을 선언해 서방에 공급만 문제를 이슈화시키고 있는데 러시아와 서방의 치킨싸움에 누가 더 맵집이 쎈지 구경꺼리가 생긴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백화점 1분기 실적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보복소비 수혜 (0) | 2022.05.11 |
---|---|
2차전지 장비제조 업체 씨아이에스 경영권 매각 추진 (0) | 2022.05.11 |
일론 머스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대통령 트위터 사용 허용 시사 (0) | 2022.05.11 |
올 해 서학개미 미국시장 급락에 20조원대 손실 발생 (0) | 2022.05.11 |
서울 논현동 먹자골목 입구 새로생긴 가성비 좋은 정육식당"마켓정"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