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LRpmZz5lU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메디포스트가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을 진행하기 위해 12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공시하면서 하한가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최대주주 변경으로 1400억원이 넘는 자금을 유치한 지 1년 만에 또 대규모 유상증자에 나선 것으로 대규모 신주 발행으로 주가 희석 우려가 커지며 하한가로 폭락했습니다.

 

27일 공시에 따르면 메디포스트는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1199억9999만9720원을 조달하는데 예정발행가액은 9080원으로 총 1321만5859주가 발행될 예정이며 확정 예정일은 10월6일 유상증자 신주 가격이 확정됩니다.




메디포스트는 발행 자금 모두를 종속회사 'MEDIPOST America INC.' 증권 취득에 사용해 해외로 빠져나가게 되어 있는 구조인데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 3상 진행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며 세부적으로는 오는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카티스템 임상 3상에 987억7100만원을 투입하고 또 한국 RWE(실사용 근거) 확보에 145억200만원, 운영자금에 67억2700만원을 쓸 계획입니다.




메디포스트의 대규모 자금 조달은 지난해에 이은 2번째로 지난해 회사는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인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이하 스카이레이크)·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이하 크레센도) 컨소시엄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됐습니다.


당시 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 양사는 제3자 배정 자금 조달 방식으로 1400억원을 투자했는데 의결권부 전환우선주(CPS)와 전환사채(CB) 인수에 각각 700억원씩 투입했고 이 밖에도 양윤선 대표가 보유한 구주 40만주도 20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하지만 메디포스트가 원하는 자금을 조달하기에는 쉽지 않아보이는데 최근 크레센도와 스카이레이크가 메디포스트 CB에 대해 전환청구권을 행사했고 이로 인해 지난해 말 보통주 1626만4194주와 우선주 374만314주 등 총 2000만4508주에서 보통주 473만7732주가 증가한 2474만2240주가 됐고 지난해 말 대비 23.68%가 늘어난 것입니다.




여기에 유상증자로 발행될 주식도 부담인데 이번에 발행되는 주식 총수는 1321만5859주로 전체 주식의 53.41%에 달하며 기존 주주들에게는 대규모 유증으로 주식가치 희석이 나타날 수밖에 없어 기존 주주들 중심으로 대규모 매물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지난 26일 메디포스트는 전거래일 대비 4050원(30%) 폭락한 하한가 9450원으로 거래를 마쳤는데 이날 급락으로 주가는 발행 예정가 근처인 9080원까지 내려갔고 특히 발행 물량이 전체의 50%를 넘기는 만큼 추가로 주가 하락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 유상증자가격이 추가로 낮아져 주식수가 더 늘어나게 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이런 상황에도 경영권을 인수한 스카이레이크·크레센도 컨소시엄측이 유상증자를 밀어붙이는 것은 이번 기회에 최대주주 지분을 안정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유상증자 가격이 낮아지면 그만큼 향후 주가 상승에 따른 최대주주의 지분가치가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 카티스템 임상 3상이 성공할 경우 관절염치료제라는 글로벌 블럭버스터급 신약을 손에 쥐게 되는데 관절염이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노인들을 중심으로 많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선진국에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약입니다

 

사모펀드측이 주가를 떨어뜨려 지분율을 높일 목적이라면 실권주에 대해 우호적 투자자들의 청약을 독려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메디포스트는 일찍부터 라이센스 아웃을 해온 바이오신약회사라 시장의 신뢰는 있는 회사라는 생각이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tZg0twmPOI

안녕하세요

삼성그룹이 국가 핵심 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동시에 신성장 사업 분야의 ‘초격차’ 유지를 위해 향후 5년간 450조 원 규모의 ‘통 큰 투자’를 발표했습니다.

 

삼성은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정보기술) 등에 5년 동안 450조 원을 중점 투자해 ‘반도체 초강대국’을 건설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는데 바이오 분야에서도 ‘제2의 반도체 신화’를 만들어 세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주장했습니다.



경제계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반도체, 바이오, 6G 등 차세대 통신 사업을 직접 챙기고 있는 만큼, 이번 대규모 집중 투자 배경에 이 부회장의 강한 의지가 담겨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과감한 투자를 지속해 미래 먹거리 사업에서 초격차를 공고히 한다는 계획으로 삼성은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 등 성장 가능성이 큰 핵심 전략 사업을 선택해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이번 전략적 투자는 한국 대표 기업으로서 선택이 아닌 의무”라고 밝혔습니다

 

삼성은 바이오 주권 확보를 위해 바이오 분야에서도 공격적 투자 기조를 공개했는데 CDMO(위탁개발생산)와 바이오시밀러를 중심으로 바이오 사업을 반도체에 이은 새로운 미래먹거리로 육성합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2027년 글로벌 바이오 시장은 약 9114억 달러(약 1152조 원) 성장이 예상되는데 바이오시밀러 규모는 2021년 100억 달러(약 12조6600억 원)에서 2030년 220억 달러(약 27조8500억 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항체 바이오시밀러가 연평균 약 11% 성장해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삼성은 중장기적으로 CDMO와 바이오시밀러 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구조 구축에 나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현재 건설 중인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에 이어 5, 6공장 건설에 나서 생산기술 및 역량을 고도화해 CDMO 생산량 1등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4공장이 완공되면 CDMO 분야 생산능력은 62만 리터로 압도적인 세계 1위로 도약합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기술제휴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제품 5개를 성공적으로 출시했고 독자 기술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 중인데 삼성은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과 원부자재 국산화 등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도 지속할 계획입니다.

 

삼성의 바이오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바이오 헬스케어에 대한 재평가를 종용하고 있는데 바이오주들은 코로나19팬데믹 가운데 사상 최고가 경신행진을 벌이고 이후 지난 해 일년 내내 주가가 흘러내린 상황으로 고점 대비해서도 반토막이 났고 코로나19팬데믹의 최저가보다 낮아진 종목들도 많은 상황입니다

 

최근에 HLB관련주들이 급등하면서 바이오주들에 대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환기시켜주었는데 삼성그룹의 바이오분야 대규모 투자는 다시 투자자들이 바이오주 매수에 가담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다만 삼성그룹이 정권초기에 발표한 투자는 대부분 지켜지지 않는 약속이었다는 점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바이오주들도 연구의 진실성을 감안해 투자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개발 기술에 대해 라이센스 아웃이 없는 기업들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바이오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HLB

HLB생명과학

HLB제약

우리바이오

화일약품

헬릭스미스

메디포스트

유바이오로직스

파마리서치

에이비온

지놈앤컴퍼니

씨젠

에스디바이오센스

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팜

에이비엘바이오

아미코젠

제넥신

차바이오텍

바이오톡스텍

AACR참가기업_220304_교보증권.pdf
0.32MB
제약바이오 2020년 하반기 전망 하나금융투자.pdf
0.5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_KuX83tFTXI

안녕하세요

1세대 바이오기업으로 유명한 "메디포스트"가 경영권 매각을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을 시장에 알렸습니다

 

메디포스트는 2000년 서울대 의대출신 삼성서울병원 교수출신인 양윤선 대표가 설립해 2005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벤처기업입니다

 

메디포스트는 17일 이사회를 통해 총 1400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 전환사채(CB) 발행 결의와 함께 경영권변경을 위한 200억원 규모의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메디포스트의 최대주주는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스카이메디유한회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마블2022홀딩스 유한회사, 크레센도제3의디호사모투자합자회사)로 변경되는데 두 회사는 메디포스트의 지분 20.7%를 보유해 공동으로 최대주주 지위를 가지며, 양윤선 대표와 함께 실질적인 경영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공시에 따르면 메디포스트 최대주주인 양윤선 대표는 주식 40만주를 스카이메디유한회사, 마블2022홀딩스유한회사, 크레센도제3의디호사모투자합자회사에 총 200억원에 양도했고 양 대표의 주식매각 가격은 주당 5만원으로 양도 후 양 대표의 지분은 3.0%로 떨어지게 됩니다.

 

메디포스트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374만314주를 스카이메디유한회사, 마블2022홀딩스유한회사, 크레센도제3의디호사모투자합자회사에 발행하며 약 7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는데 신주 발행가액은 할인율 5%를 적용한 1만8715원으로 납입일은 오는 6월 30일로 주식은 1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보호예수됩니다.

 

메디포스트는 총 7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는데 구체적으로 메디포스트는 스카이메디유한회사와에 350억원, 마블2022홀딩스 유한회사와 크레센도제3의디호사모투자합자회사에 각각 317억5600만원, 32억4400만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습니다.

 

스카이메디가 인수한 CB의 표면이자율과 만기자율은 각각 0%, 2%로 만기일은 2029년 3월 28일로 마블2022홀딩스 유한회사와 크레센도제3의디호사모투자합자회사가 인수한 CB의 표면이자율과 만기자율은 각각 0%, 2%로 만기일은 2029년 4월 8일이며 최저 조정가액은 모두 1만4775원으로 전환사채가 발행된 이후 상당기간 주가하락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메디포스트는 조달한 자금을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추진을 위한 북미소재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회사 투자와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의 미국 임상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두회사와 양윤선 대표는 함께 공동 경영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데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와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는 공동경영자이면서 재무적투자자FI이기 때문에 전환사채의 가격조정 하한선까지 주가가 하락한 후에 주가를 끌어올리기 때문에 최소한 일년간은 지루한 주가하락의 시기를 보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전환사채의 행사 이후 재무구조 개선효과와 자본확충으로 주가가 오르기 시작하면 시세분출은 그 다음 나타나기 때문에 최소한 일년간은 메디포스트 주주들에게 힘든 시기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MEDIPOST_IR_BOOK_2021_v7.pdf
4.28MB

안녕하세요

메디포스트가 개발한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가 국내 2상 임상에 돌입합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메디포스트는 차세대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SMUP-IA-01의 국내 2상 임상시험계획(IND)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 받았습니다.

 


SMUP-IA-01의 주성분인 스멉셀(SMUP Cell)은 메디포스트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차세대 줄기세포 플랫폼 기술로 생산된 고효능의 동종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로 SMUP-IA-01은 치료 효능이 뛰어날 뿐 아니라 바이오리액터를 통해 대량 생산을 할 수 있어 생산 시간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냉동제형으로 보관 및 유통 문제를 해소해, 그동안 1세대 세포치료제가 지녔던 상업화와 글로벌시장 진출의 어려움을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국내 임상 2상은 경증 및 중등증(K&L 2~3등급)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 총 90명을 대상으로 무릎 관절강 내에 SMUP-IA-01을 1회 주사 투약한 후, 1년간의 관찰기간을 통해 안전성과 탐색적 유효성을 평가하고 임상 3상을 위한 최적의 용량도 확인할 계획인데 이번 임상시험은 서울대학교병원, 신촌 세브란스병원 및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총 3개 기관에서 진행됩니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SMUP-IA-01은 약물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수술에 망설일 수 있는 치료 공백을 겪는 환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메디포스트 주가가 흘러내리고 있는 것은 제대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수익성에 빨간불이 들어온 때문인데 적자를 지속하고 있지만 신약 개발에 연구비가 계속 들어가고 있어 재무구조가 점점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스멉셀(SMUP Cell)도 2020년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파이프라인들의 연구진척이 확인되어야 주가 회복도 지속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최대주주 지분이 적어 함부로 유상증자를 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이후 유상증자를 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