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Zuok6KtmqE

안녕하세요

극장가의 연이은 흥행작 출현에 영화주가 상승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반기에도 기대작들이 줄줄이 대기 중인 가운데 영화 관련주들이 코로나19팬데믹 상황에서 꾸준히 영화관람료를 올린 것이 전화위복이 될 것 같습니다.

 

CJ CGV와 콘텐트리중앙(메가박스), NEW, CJ CNM 등 영화관련주들은 영화관람료가 코로나19팬데믹 이전보다 거의 따블이 오른 평일 15000원으로 오른 가격에 관객들을 맞이하고 있고 팝콘과 콜라 등 음식물 섭취가 가능해 지면서 부대수익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관객이 급감하면서 약세를 이어오던 CJ CGV 주가는 최근 3개월간 6.36% 올랐고 같은 기간 영화 제작·배급사인 쇼박스 역시 15.51% 상승했습니다.



영화주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방역규제가 시행된 지난 2년여간 실적 악화를 겪은 대표 업종 중 하나였지만 지난달 말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2년 만에 해제되면서 실적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영화관 내 팝콘 등 음식물 섭취가 가능해진 후 관객들의 발길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관에서 팝콘 등 음식물 섭취가 가능해진 지난달 25일부터 1일까지 일주일간 전체 영화 관객 수는 96만8722명을 기록했고 취식이 금지돼 있던 전주(지난달 18~24일)의 전체 관객 수(70만4440명)보다 약 37.5% 늘어난 수치입니다.



지인해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4월까지만 해도 큰 변화가 없었던 극장이 5월부터 완전히 달라졌다"며 "영화관 내 취식이 허용되며 지난 2년간 연기됐던 국내외 영화 라인업이 줄줄이 개봉했고 어린이날을 겨낭한 '닥터 스트레인지2'의 개봉이 분위기 전환의 신호탄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극장 박스오피스의 부흥에는 로컬 작품이 중요한데 지난 18일 개봉한 '범죄도시2'가 개봉 7일만에 4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데 범죄도시 2는 15세 이상 관람가 영화라는 측면에서 흥행 속도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개봉작 가운데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기간 최고 흥행작인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은 11일째, 이달 초 개봉한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는 9일째 400만명을 넘긴 바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CJ CGV와 메가박스 모두 3분기 흑자를 기대하고 있는데 그 배경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평균티켓가격(ATP)이 대폭 상승했고 관람객 수가 빠르게 회복 중이기 때문이고 또한 극장 인력을 대폭 줄이고 키오스크를 전면 도입하면서 비용이 감소한 덕분에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도 흥행 기대작들이 쏟아질 예정인데 '브로커', '헤어질 결심', '마녀2, '토르', '블랙팬서2' 등이 개봉을 앞두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CJ CGV, 콘텐트리중앙, CJ ENM, NEW 등 영화 관련주를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있는데 영화 흥행 시 극장은 물론 배급과 제작을 총괄한 사업자의 이익 레버리지가 크기 때문입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객수와 식음료(F&B) 매출은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극장은 5월 손익분기점(BEP), 3분기 BEP를 행해서 순항 중"이라며 "주요 작품들의 성과 포함 관객수 데이터를 일별로 확인하면서 주가 상승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19팬데막과 사회적 거리두기속에 극장을 찾지 않던 관객들이 다시 극장을 찾게 되면서 비싸진 영화관람료에 놀라기는 하지만 한번 터진 극장 이용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일종의 보복소비 심리가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하지만 이후 비싸진 영화관람료로 다시 OTT시장으로 관객들이 떠나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극장관련주의 실적호전은 오래갈 것 같지 않습니다

 

극장들이 영화관람료를 너무 많이 올린 것이 결국 극장을 찾는 관객수를 줄이는 부메랑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