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배터리 기술 경쟁이 기존 배터리 업체를 넘어 완성차 업체로 확대되고 있는데 자체 배터리 기술을 확보하지 않으면 미래 차의 핵심인 전기자동차 경쟁에서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전기차 배터리 내재화에 본격 나서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내재화를 목표로 남양연구소에 전기차용 배터리 연구개발(R&D) 조직을 선행기술·생산기술·배터리기술 등 3개 부문으로 확대하고 인력도 보강했는데 특히 현대차는 전고체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를 오는 2025년에 내놓고 2030년부터 본격 양산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이 높아 폭발 위험이 작고 주행거리는 긴 장점이 있는데 기술 확보를 위해 현대차는 최근 미국 전고체 배터리 개발 업체인 솔리드에너지시스템(SES)에 1억 달러(1,169억 원)를 투자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글로벌 완성차 판매량 1위 기업 도요타는 배터리 내재화를 전기차 전략의 핵심으로 채택하기도 했는데 도요타는 지난 7일 전기차 배터리 개발·생산에 2030년까지 1조 5,000억 엔(약 16조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도요타는 투자 발표와 함께 자사가 개발한 전고체 배터리 탑재 차량을 공개하면서 2030년에는 연간 200GWh 이상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출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연간 200GWh의 배터리 생산 규모는 1회 충전으로 약 400㎞를 달리는 전기차를 약 400만 대 만들 수 있는 수치로 도요타는 ‘프리우스’를 대표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시장에서 기술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 생산능력도 충분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도요타에 이어 2위 자동차 업체인 폭스바겐도 배터리 내재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50%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730억 유로(약 10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중 상당 금액이 배터리 개발에 쓰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폭스바겐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유럽에 4곳, 미국과 중국에 각각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했습니다.

 

폭스바겐과 함께 독일 완성차 산업을 대표하는 벤츠도 자체 배터리 생산을 준비하고 있는데 벤츠는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전 세계 8곳에 차세대 배터리 셀과 모듈을 생산하는 기가팩토리 건립을 추진하고 있고 벤츠는 배터리 내재화와 함께 2025~2030년 모든 차종에 전동화 버전을 추가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2030년부터는 전기차만 판매한다는 전략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EU의 환경규제가 유럽차들의 전동화를 빠르게 추진하는 동인이 되고 있는데 전기차에서 원가비중이 가장 큰 전기차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을 낮추기 위해 필연적으로 내재화할 수 밖에 없는 핵심 부품이 되고 있습니다

 

여기다 미국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분쟁은 유럽차들에게 안정적인 전기차배터리 공급을 위해 내재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늘고 있어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의 고객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