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제유가는 11일(현지시간) 상승했는데 글로벌 에너지 대란으로 원유 수요 증가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1.17달러(1.5%) 상승한 배럴당 80.52달러에 마감했는데 WTI 가격이 종가기준으로 80달러를 돌파한 것은 2014년 10월 31일 이후 7년 만으로 장중에는 배럴당 82달러까지 뛰기도 했습니다.



브렌트유 가격도 이날 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는데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12월물 브렌트유는 1.26달러(1.5%) 뛴 배럴당 83.65달러로 집계됐고 이는 2018년 10월 9일 이후 최고가입니다.



최근 유럽에서부터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곳곳에서 에너지 공급 부족의 여파로 전력 위기가 커지고 있는데 특히 겨울철을 앞두고 석탄과 천연가스 재고가 이미 급감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원유 역시 수요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천연가스 급등으로 가스 화력발전소 업체들이 원유로 전환한 것이 유가 상승을 일부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는데 소시에테제네럴(SG)은 최근 파키스탄과 쿠웨이트, 한국 등의 유틸리티 업체들이 천연가스 가격 급등을 피하고자 현물 시장에서 추가 연료유를 조달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시티인덱스의 피오나 친코타 선임 금융시장 분석가는 블룸버그에 "공급 측면에서 (원유가) 고갈될 것이란 투자자들의 두려움이 분명히 존재한다"면서 "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가 시장에 다시 공급을 추가한다고 해도 유가를 낮추는 데 큰 영향을 주지 못해 유가가 배럴당 9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OPEC 플러스는 지난주 점진적으로 감산을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했고 이에 11월 산유량을 하루 40만 배럴가량 증산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수요는 살아났지만 공급측면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수요공급의 미스멫;ㅣ가 발생하고 있고 결제통화인 달러의 가치하락이 가격상승을 부추기고 있어 인플레이션을 옥죄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 뿐 아니라 천연가스 가격이 로켓트와 같이 튀어오르고 있기 때문인데 탄소저감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을 줄이면서 수요가 천연가스로 옮겨붙고 이게 다시 연료유쪽으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팬데믹이 만든 또 다른 문제가 에너지로 대부분의 에너지 공급을 하는 후진국들이 공급을 줄인 것을 다시 급격하게 늘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진국들부터 에너지 수요가 빠르게 살아나고 있어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분간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은 상승세를 탈 수 밖에 없는데 결제통화인 달러가치를 끌어올리거나 공급측면에서 증산이 이뤄져야 이런 급격한 에너지 가격상승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국내 에너지시장은 대표적인 독과점 시장으로 소수의 재벌들이 시장을 갖고 있어 이들의 폭리까지 더해질 경우 물가불안은 가중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도시가스 관련주

한국가스공사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서울가스

경동도시가스

인천도시가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