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로나(COVID-19) 치료재를 공공재로 공급하겠다던 약속을 지킨 셀트리온이 치료제를 넘어 백신 개발까지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평소 '기술 주권'을 강조해오던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18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개발 시작 때 말씀드린 바 대로 이 치료제는 공공재이며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원부자재와 인건비 등만 적용이 됐다"고 밝혔습니다.
서 명예회장은 "(셀트리온은)백신까지 진출할 준비는 이미 돼 있는 상태"라며 "국가가 백신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데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면 (백신 개발에)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선 "(렉키로나는)어제부터 공급이 시작됐다"며 "이 제품을 개발한 주된 이유는 팬데믹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었지 영리 목적이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렉키로나는 지난 17일부터 환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기 시작했는데 전국 156개 지정 코로나19 치료의료기관에서 직접 공급요청서를 작성해 셀트리온제약에 신청하면 공급받을 수 있는데 셀트리온은 국내 환자 치료 목적으로 10만명분의 렉키로나 생산을 마쳤고 수요에 따라 연간 150만~300만명분의 생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서 명예회장은 "치료제 개발을 생각한 것은 1년 전으로 에이즈, 사스, 메르스 등 바이러스 연구를 계속해 왔던 셀트리온은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며 "빠른 단계에 치료제 개발에 동참한 회사가 됐고 개발에 10개월, 허가 1년이 걸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현재 감염병 국면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았습니다.
서 명예회장은 "처음부터 코로나19와의 싸움에 들어갈지를 고민했던 이유도 분명히 나타날 변이와의 싸움이 쉽지 않을 것이었기 때문"이라며 "상대적으로 넓게 퍼진 영국변이는 이미 또 다른 변이가 시작됐고, 남아공 변이도 추가 변이가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서 명예회장은 "때문에 렉키로나는 초기부터 변이에 대응해 개발을 진행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렉키로나주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퍼진 영국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이미 우수한 효능을 입증한 상태로 다만 남아공 변이에 대한 효과는 낮았는데 서 명예회장은 "6개월 안에 남아공 변이를 잡는 치료제도 내놓을 것"이라며 "남아공에서의 단독 임상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서 명예회장은 변이 바이러스 관련, 특히 기술주권을 강조했는데 그는 "한국은 진단 시스템이 확실하며 치료제도 우리가 제공한 이상 기술주권이 있다"며 "하지만 도입에 의존하는 백신은 국산이 따라갈 수 있을지가 숙제다"고 말했고 변이가 창궐한 가운데 이를 예방할 백신 도입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대안이 없다는 문제제기입니다.
이와 관련, 서 명예회장은 "(셀트리온은)백신까지 진출할 준비는 이미 돼 있는 상태"라며 "국가가 백신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데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면 (백신 개발에)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구상에 주가부양 목적 등 다른 의도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는데 서 명예회장은 "(항체 치료제와 백신은)경제성이 있는 사업이 아니다"며 "하지만 감염병 진단과 치료, 예방의 3박자 자국 기술이 있어야 하고 이는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셀트리온이 개발에 성공한 코로나19항체치료제를 무상으로 전국 치료소에 공급하기로 해서 이에 대해 수익성은 마이너스가 날 수 밖에 없고 은근 코로나19항체치료제로 큰 수익을 기대한 투자자들은 실망매물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에 국한된 문제로 해외에 수출할 때는 제값이상을 받으려고 하고 있는데 특히 국내에서 치료에 효과를 봤다는 뉴스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코로나19항체치료제 렉키로나를 무상으로 국내에 공급하는 이유도 이런 치료제에 대한 효과인증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서정진 명예회장의 언론 인터뷰에 인상적인 발언들이 많아 소름이 돋기도 하는데 언론을 아주 잘 이용하는 경영자인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드론택시 기업 이항(EHang)홀딩스 주가 밤새 또 21% 폭락 (0) | 2021.02.19 |
---|---|
미국증시 인플레 신호에 일제히 하락세 FRB 통화정책 변경 금리인상 우려감 (0) | 2021.02.19 |
기아자동차 미국판매법인(KMA) 랜섬웨어 공격 업무 마비 (0) | 2021.02.18 |
현대차 현대글로비스 LG에너지솔루션 전기 택시 배터리 대여 및 사용후 배터리 활용 실증 사업 MOU 체결 (0) | 2021.02.18 |
금융위원회 분식회계 혐의 위니아딤채와 시큐브에 과징금 부과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