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인텔이 뉴욕 증시에 상장한 지 3년 만인 1974년 31% 폭락 이후 최대폭인 26.05% 폭락한 21.48달러(2만9245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가는 종가 기준으로 2013년 4월 15일(21.38달러) 이후 11년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시가총액 역시 918억달러(약 125조원)를 기록하며 1000억달러 아래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로써 인텔의 시총은 삼성전자 시총(3875억달러)의 4분의1 수준으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인텔 주가 폭락은 2분기 실적발표에 기인하는데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숫자를 내놓았기 때문입니다

 

인텔은 2분기(4∼6월) 128억3000만 달러의 매출과 주당 0.02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는데 매출은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전망치 129억4000만달러에 미치지 못하고 주당 순이익도 전망치 0.10달러를 밑도는 실망스런 숫자를 내놓았습니다

 

이에 인텔은 100억달러 비용절감 계획을 내놓았는데 전체 직원의 15% 수준인 1만 5천명 이상을 감원하고 4분기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고 연간 자본지출도 20% 이상 줄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인텔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시대에 뒤떨어지는 모습들을 노출하고 있고 의욕적으로 시작한 파운드리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을 이어가고 있어 투자자들을 실망시키고 있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 인텔은 엔비디아와 AMD에 한참 뒤쳐진 존재로 치부되고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차이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미국기업도 시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면 잊혀진 존재로 전락하고 만다는 사실을 인텔이 잘 보여주고 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인텔 FINAL Q2 24 Earnings Release.pdf
0.44MB
인텔 Q2 2024 Earnings Deck for INTC.pdf
1.7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cuFO-l3Lfg

안녕하세요

미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이 재고 평가 손실 여파로 회계연도 기준 지난 2분기(12~2월)에 3조원 규모의 적자를 보였는데 매출도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수준으로 낮아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업계 '실적 쇼크'의 예고편을 보여주었습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회계연도 2분기 매출이 36억9300만달러(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고 이는 전년 같은 기간 77억8600만달러 대비 52.6% 감소한 것으로, 시장 전망치(37억1000만 달러)에도 못미치는 수준이었습니다.



마이크론은 이번 분기에 14억3000만달러(1조8000억원) 규모의 재고자산평가손실이 발생했는데 메모리 반도체 판매 가격이 추락하는 가운데, 창고에 쌓여 있던 재고 가치가 원가 이하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마이크론은 이번 분기에만 20억7700만달러(2조7000억원)의 영업손실을 입었고 당기 순손실도 역대 최대인 20억8100만달러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는데 다만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을 낮추지 않았다"고 밝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마이크론은 오는 회계기준 3분기(3~5월) 가이던스(기업 자체 전망치) 기준 37억달러(35~39억)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는데 전년 동기에 비해 60% 감소한 수준인데 마이크론은 올해 감원 규모를 전체 직원의 10%에서 15%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마이크론이 예상보다 낮은 성적을 거두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업계의 실적 우려가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이크론 측은 "올해 D램의 비트 공급 증가율은 유의미하게 '소극적(네거티브)'일 것"이라고 주장했고 또 낸드의 경우 올해 비트 생산량이 전년 대비 더 적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시설투자 규모는 70억달러로 유지하겠다고 밝혔지만, 업계에 따르면 이는 기존 투자 금액 범위의 하단에 해당합니다.

 

마이크론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도 치킨게임 속에 빠져들면서 수요가 살아나지 않으면 시장 과점 사업자인 셋 중 어느 하나가 자빠질 때까지 반도체 가격하락은 지속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마이크론은 미국 정부의 반도체 패권주의에 입각한 Chips법으로 지원을 받으며 손실을 버틸 수 있지만 SK하이닉스는 가장 먼저 파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는 손실이 나더라도 SK하이닉스가 감산한 만큼 시장점유율을 늘리면서 SK하이닉스 파산 이후를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은 가치가 떨어지며 쌓여갈 것이고 결국 더 이상 못 버티면 파산을 선언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시장 1위 삼성전자와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마이크론의 틈에 끼여 SK하이닉스는 윤석열 정부의 무능속에 서서히 파산을 향해 가고 있는데 최태원회장은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도 모르고 상의회장 놀이에 빠져 있는 한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마이크론테크놀로지 Reports Results for the Second Quarter of Fiscal 2023.pdf
0.07MB
마이크론테크놀로지 Q2 2023 Earnings Deck for Website.pdf
1.1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live/GobiGni03co?feature=share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시장을 짓눌렀던 은행권에 대한 우려가 진정되고, 기관투자자들의 윈도우드레싱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했습니다.

 

2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23.35포인트(1.00%) 오른 32,717.60으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56.54포인트(1.42%) 상승한 4,027.81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10.16포인트(1.79%) 오른 11,926.24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은행권의 위기가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은행권 위기가 진정되면서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고 다만 이날 금리가 보합권에서 유지되고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유지되면서 증시는 위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지역 은행들의 파산에도 당국이 발 빠르게 대응하며 위기가 진정 국면에 들어서자, 투자자들은 다음 위기에도 당국이 나서 해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바 연준 금융 감독 부의장은 전날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이번 사태를 계기로 1천억달러 이상 자산을 보유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은행의 경우 자본과 유동성 측면에서 강력한 규제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바 부의장은 이날도 은행 감독과 규제를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는데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금리는 회의별로 결정될 것이며, 들어오는 지표와 금융 여건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국채금리는 전날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는데 10년물 국채금리는 전날과 비슷한 3.56%를, 2년물 국채금리도 2bp가량 상승한 4.09% 근방에서 움직였습니다.



미국의 2월 매매 계약을 체결한 주택 판매는 전달보다 0.8% 증가하는 데 그쳤고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1.1% 적은 수준인데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가 2월 초 6% 근방에서 2월 말에 7%를 넘어서면서 주택 매매를 둔화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올랐고, 부동산, 기술관련주가 2% 이상 올랐고 에너지와 금융, 임의소비재 관련주도 1% 이상 상승했습니다.



마이크론의 주가는 회사의 분기 손실이 예상보다 컸다는 소식에도 실적이 바닥을 찍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이어지며 7% 이상 올랐는데 인공지능(AI) 분야의 성장으로 2025년 반도체 시장의 호황을 기대한다는 경영진의 낙관적 전망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인텔의 주가도 반도체 시장 확대 기대에 7% 이상 올랐습니다.



룰루레몬의 주가는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고, 가이던스도 전망치를 웃돌면서 12% 이상 상승했습니다.



루시드는 실적 부진에 직원의 13%를 감원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2%가량 올랐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은행권에 대한 우려가 진정되며 주가가 반등하고 있으나, 저항선을 뚫으려면 실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은행 시스템이 미연준의 금리인상 기간동안 매우 취약해 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조바이든 정부의 발빠른 개입으로 미 연방정부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어 안도랠리가 펼쳐지는 모습입니다

 

여기다 기관투자자들의 1분기 윈도우드레싱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지수를 올려놓고 있는데 1분기 기업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여 바닥을 찍는 종목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이크론의 주가급등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게도 작은 희망을 주고 있지만 미국정부의 반도체 산업 지원책으로 뒷받침되기 때문으로 우리나라 반도체기업들은 미국의 Chips법에 따라 중국시장을 잃게 될 가능성이 커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의 주가가 같은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은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우리시장과 미국시장은 분명히 디커플링 되고 있는데 미국은 회복으로 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구렁텅이로 빠져들고 있는데 윤석열 정부의 무능과 한심한 대응에 결국 부정적인 쪽으로 움직이고 있어 이를 막는 방법은 능력있고 책임질 수 있는 새 정부를 구성하는 방법 밖에 없어 보입니다

 

3월 들어 연준의 긴축 우려에 2년물 국채금리는 5%를 넘어섰다가, 이후 은행 위기에 3.5% 수준까지 하락했고 지금은 4% 근방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61.4%,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38.6%를 기록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85포인트(4.26%) 하락한 19.12를 나타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Pjn6sid_Bo

안녕하세요

인텔이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에 밀리면서 투자자들도 이제는 인텔을 팔고 갈아타야 할 때가 되었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급증했던 PC 수요가 위축되는 가운데 설상가상으로 인텔이 경쟁사인 AMD에 밀려 시장을 빼앗기고 있고 대규모 투자로 투자자들에게 배당을 주기 어렵다는 사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JP모건은 인텔의 시장점유율 하락을 이유로 11일(현지시간) '비중축소(매도)'를 권고했는데 인텔이 지금 처해진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배런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JP모건 애널리스트 할란 수르는 인텔 분석을 재개하면서 혹평을 내놨는데 이날 분석노트에서 그는 인텔 추천의견을 '비중축소(매도)'로 강등하고 목표 주가도 이전에 제시한 수준의 절반으로 하향조정했습니다.



앞서 '비중확대(매수)'와 목표주가 64달러를 제시했던 수르는 인텔을 다시 분석 대상에 포함시키면서 추천의견은 두 계단 낮은 '비중축소'로, 그리고 목표주가는 이전의 반토막인 32달러로 제시했습니다.



수르는 지금의 거시경제 환경에서 인텔에 비해 경쟁사들이 더 잘 대응하고 있다면서 인텔이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으며 이를 단기간에 수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고 비관했습니다.



수르는 PC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에서 인텔과 경쟁하는 AMD가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며 인텔의 시장을 빼앗고 있다고 분석했는데 AMD CPU는 10년 전만 해도 고가인 인텔 CPU를 장착할 경우의 가격부담을 고려해 가격을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 고려돼 왔습니다.



가격경쟁의 이점을 살린 AMD가 인텔의 아성을 잠식한 끝에 이제는 상황이 역전됐다는 것이 수르의 판단입니다.



그는 인텔이 지난 수년간 서버 CPU 시장점유율을 AMD에 내어준 데다, 경영진의 거듭된 오판으로 이제는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달았다는 평가를 내렸고 수르는 이제 인텔이 지금의 흐름을 뒤집으려면 수년의 각고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인텔이 그렇다고 2위로 전락한 것은 아닌데 수르에 따르면 2분기 현재 매출 기준으로 인텔의 서버 CPU 시장 점유율은 약 77%에 이르기 때문에 여전히 독과점 업체의 지위를 누리고 있지만 향후 이런 지위를 계속 누리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1년 전보다는 10%포인트, 2년 전에 비하면 시장점유율을 17%포인트 빼앗겼기 때문인데 이런 시장잠식이 점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는 사실로 AMD는 계속해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인텔 전망을 더 어둡게 하는 것은 PC 수요 위축으로 팬데믹 이후 수요 폭증으로 추가 수요가 줄어든데다, 출근이 재개되고, 등교도 다시 이뤄지면서 수요를 부추길 요인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윈도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마이크로소프트(MS), 인텔 경쟁사 AMD 실적발표에서도 PC 수요 위축은 확인된 바 있습니다.



수르는 자체 분석 결과 PC와 서버 시장이 앞으로 1년간 하강할 것으로 예상됐다면서 PC 판매 대수는 올해 14%, 내년 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텔은 전일비 0.67달러(2.25%) 상승한 30.43달러, AMD는 더 큰 폭으로 올라 3.90달러(5.70%) 급등한 72.37달러로 뛰었다.

 

향후 인텔은 대규모 반도체 투자를 예정하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배당할 몫이 줄어들 것으로 보여 AMD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