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M7lLct7LxY

안녕하세요

국제유가의 급증과 원화약세에 무역적자가 연속되고 있는 상황인데 재정과 경상수지가 모두 적자를 보는 ‘쌍둥이 적자’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수출액이 576억9000만 달러(약 72조8600억원)로 지난해 4월과 비교해 12.6% 늘었는데 4월 기준 역대 최고 수출액이지만 같은 기간 수입액은 603억5000만 달러로 18.6% 증가하며 수출액을 넘어서고 있어 이 때문에 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도 26억6000만 달러 적자를 봤고 3월(-1억4000만 달러)과 비교해 적자 폭이 오히려 더 커지면서 두 달 연속 적자를 이어갔습니다.

 

무역수지가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은 올해 초를 제외하면 2008년 미국발(發) 금융위기 이후 처음인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줄곧 흑자였던 무역수지는 지난해 12월 처음 20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고 올해 들어서는 2월을 제외하고 모든 달의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많아지면서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무역수지가 계속 적자를 내는 것은 인플레이션 때문인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공급망 차질이 장기화하면서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고 여기에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달러가치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수입 물가 부담을 배가시키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달 3대 에너지(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은 148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4월 수입액 77억2000만 달러와 비교해 91.8%(70억9000만 달러) 급증했고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겨울철인 올 2월 수입액(124억8000만 달러)보다도 많은 이상증가 현상을 나타내고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길어지면서, 국제유가가 봄철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세계 곡창 지대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치르면서, 밀·옥수수 가격도 급등하고 있는데 지난달 농산물 수입액(24억 달러)은 월간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많았고 여기에 에너지 가격 상승세로 인한 전력난에 알루미늄괴(26.1%)·구리광(53.5%) 같은 비철 금속 수입액도 전년보다 많이 증가했는데 중간재 품목인 반도체(21.8%)·철강제품(10.3%) 수입액도 1년 전 보다 늘었습니다.

 


이런 물가 상승세는 교역 조건 악화로 이어지고 있는데 한국은행은 최근 발표한 ‘3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서 3월 한국의 순상품교역조건지수(87.3)가 전년 동월 대비 6.3% 내렸다고 밝혔고 수입가격 상승(22.2%)이 수출가격 오름세(14.5%)보다 컸기 때문인데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100 이하라는 것은 수출품이 수입품보다 제값을 받지 못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지난달 수출액은 4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물량은 지난해 4월보다 5.6% 오히려 감소했고 판매량이 줄었는데 판매 단가가 올라 수출액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전년 대비 4월 품목별 수출액 증가율을 보면 철강(21.1%)·석유제품(68.8%)같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출액이 늘어난 품목들이 선전했습니다.

 

주요 수출시장인 중국의 성장 둔화도 우려되는 점으로 지난달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하면서 4대 수출 시장(중국·미국·유럽연합·아세안) 중에서 유일하게 줄었는데 코로나19 확산에 중국 정부가 상하이를 봉쇄하면서 주요 공장의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공급망 불안 등의 여파로 세계 경제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바,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부담을 주는 환경”이라고 했습니다.

 

무역수지 악화 상황이 길어지면서,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쌍둥이 적자(재정수지와 경상수지 모두 적자)’를 볼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데 특히 경상수지는 무역적자 폭에 좌우되는 경향이 큽니다.

 

실제 월간 기준 역대 최대 무역적자를 기록했던 올해 1월, 경상수지 흑자 폭(18억1000만 달러)도 전년 대비 49억7000만 달러 줄었습니다.


재정수지는 문재인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에 최근 코로나19 지원 대책 등이 겹치면서,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1차 추가경정예산 기준 정부가 예측한 올해 전체 통합재정수지(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것)는 70조8000억원 적자로 적자 폭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상황입니다.

 

올해 2월까지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 주는 관리재정수지(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기금 수지 제외)도 20조원 적자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재정적자 확대는 경상수지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재정적자로 국채 발행이 늘어나면, 이자율이 올라가 기업 자금 조달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인데 이는 동시에 소비 및 투자 위축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데 국회예산정책처도 최근 보고서에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재정수지가 악화하면 경상수지도 나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우리 증시에서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가 이어지고 있고 삼성전자의 경우 52주 신저가를 기록하며 육만전자로 내려 앉기도 하면서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물량은 외환시장에서 달러 매수로 작용해 원화약세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국제유가와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결국 무역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데 가공무역을 주로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의 무역적자는 이후 수출증가로 연결될 수 있는 사안이기는 합니다

 

문제는 원화가치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나타내고 있어 무역수지 적자 폭을 늘리는 이유가 되고 있는데 4월 29일 금요일 외환시장에서 보여준 드라마틱한 원화가치 상승은 정부 또는 한국은행의 시장개입이 아니었을까 의구심이 들기도 합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금리인상이 더 가속도를 높일 수 있어 원화가치 방어에 한국은행이 더 공격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한국술출실적_20220501_대신증권.pdf
0.29MB
★ 220501_수출입과 22년 4월 수출입 동향(11시 엠바고).pdf
1.88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