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SzWcrgAuk0

안녕하세요

국토교통부가 연말까지 국제선 운항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의 50% 수준까지 복원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3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국토부는 질병관리청 등 방역 당국과 국제선 운항 복원 계획에 대한 실무 협의를 마쳤으며, 이르면 다음주 안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안건으로 상정해 보고할 예정입니다.



정부가 이달 4일부터 2주간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소폭 완화하는 등 점차 방역 조치를 완화하고 있어서 국토부 계획도 5월부터 시행될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다만 방역 당국은 '하늘길'의 단계적 확대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019년 우리나라의 국제선 정기편 운항은 주 4천770편가량에 달했지만, 지난달에는 406편만 운항했고 이달에는 정부의 입국자 격리 면제 조치에 힘입어 420편으로 다소 늘었지만, 2019년 대비 8.8% 수준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인천국제공항의 시간당 국제선 도착 편수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40편가량이었지만, 현재는 10편으로 제한되고 있는데 국토부의 국제선 운항 복원 계획 초안에 따르면 국토부는 국제선 운항 증편을 3단계로 나눠 추진할 방침입니다.



5월부터 1단계 계획을 시행해 해당 기간 매달 100편씩 국제선을 증편하고, 인천공항 도착 편수 제한도 시간당 20회로 늘릴 예정입니다.



이후 7~8월께 2단계에 돌입해 매달 300편씩 국제선을 증편하고, 인천공항 도착 슬롯(시간당 가능한 비행기 이착륙 횟수) 제한도 시간당 30회로 확대합니다.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지는 감염병)으로 전환되면 3단계를 시행해 최종적으로 국제선 운항을 50%까지 회복시킨다는 계획인데 국토부는 이르면 올해 10월 3단계 계획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단계에서는 미국과 유럽 항공편이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일본과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의 운항 제한 정책이 계속 이어진다면 전체 노선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엔데믹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중국과 일본은 여전히 코로나19팬데믹에 머물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선 운항 재개를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 국토부는 항공사 운항 허가를 국토부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해달라고 방역 당국에 요청했는데 국토부는 직접 운항 허가를 내리고, 결과를 방역 당국에 공유하겠다는 입장인데 코로나19 사태 이전 항공사들은 국토부에 하계·동계 단위로 운항 신청을 하고 허가를 받았지만, 지금은 사실상 방역 당국이 매월 항공사 신규 운항 여부를 결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방역 당국이 그동안 국제선 신규 운항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항공사들은 운항 확대와 증편 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는데 국토부는 장기적으로는 입국 시 PCR(유전자 증폭) 검사 의무도 해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데 국제선이 증편될 경우 인천공항에서 모든 입국자를 대상으로 PCR 검사를 시행할 인력과 공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토교통부가 코로나19 이전으로 정책을 되돌리기로 하는 것은 "일상으로 복귀" 일환으로 볼 수 있는데 코로나19엔데믹 전환에 따른 방역 당국이 2선으로 물러나도 될 상황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관광객에 대해 해외 여러나라들이 격리면제를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해외여행지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항공료도 점차 안정세를 찾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외입국자에 대해 부스터샷 접종을 확인해 주는 관광객에 한해 격리면제와 대중교통 이용이 허용되면서 우리나라에 대한 해외관광객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행주와 항공주가 수혜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여행주

노랑풍선

하나투어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레드캡투어

세중

GKL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KOTI) 항공 공항 정책 Trend&Insight Vol.2 No.1-코로나19 이슈 관련 특별호.pdf
2.17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