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자사의 투명 폴리이미드(PI) 필름 제품이 레노버가 출시한 세계 최초의 폴더블(접히는) 노트북의 커버 윈도우로 사용됐다고 5일 밝혔습니다.
투명 PI 필름은 유리처럼 투명하면서도 접었을 때 흠집이 나지 않아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로 쓰입니다.
2019년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브랜드명 'CPI 필름'은 레노보의 싱크패드 X1 폴드 제품에 탑재됐는데 X1 폴드는 13.3인치의 화면을 쉽게 접고 펼 수 있는 프리미엄 폴더블 노트북입니다.
주로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됐던 투명 PI필름이 노트북 같은 중대형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박막유리 커버윈도우에는 적용이 힘든 터치펜 기술이 세계 최초로 적용됐는데 X1 폴드는 지난해 말 북미 시장에 처음 출시됐고 국내에는 2월부터 판매되고 있습니다.
CPI 필름은 다른 소재들에 비해 내구성이 강하고 다양한 크기의 디자인에 자유롭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설명했습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X1 폴드 노트북 적용을 발판삼아 새로운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간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LG디스플레이와 협업으로 레노버에 CPI 필름을 공급한 만큼 향후에도 글로벌 디스플레이업체들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다양한 폼팩터에 최적화한 소재를 개발·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레노보의 싱크패드 X1 폴드의 런칭 과정에 핵심 부품이랄 수 있는 투명 PI필름에 우리나라 기업인 코오롱인더와 LG디스플레이 제품이 사용된 것에서 예전 일본이 핵심 소재를 제공하고 우리가 모듈을 만들어 중국에서 합작하던 동북아시아 생산체인이 변화되고 있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일본의 제조업은 이제 한물이 간 것이 아니라 구닥다리가 되며 퇴물취급을 받고 그 빈자리를 우리나라 기업들이 빠르게 차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21세기 디지탈 세상에서 일본의 갈라파고스에 갇힌 디지탈 기술은 더 이상 글로벌 시장에서 먹히지 않는 구닥다리가 된 것 같습니다
저그만한 스마트폰 화면에나 구현되던 폴더블 기능을 노트북의 대화면에서 구현한 것은 일대 혁명이라 할 수 있는데 과연 내구성도 따라 줄 수 있는 완성도를 갖고 있는지 궁금해 집니다
언제 전자시장에 나가면 한번 실물을 보고 싶네요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서포트 시장참여자들의 신뢰를 잃으면 아무리 좋은 호재도 먹히자 않는다는 교훈 (0) | 2021.04.05 |
---|---|
엔지스테크널러지 회계감사인 이촌회계법인 감사업무 미종결 불확실성에 투매발생 폭락세 (0) | 2021.04.05 |
LG전자 MC사업철수 애플 자율주행전기차 위탁생산을 받기 위한 읍참마속 (0) | 2021.04.05 |
테슬라 중국 전기차 시장 1분기 판매호조 덕분 사상 최고 판매 실적 달성 (0) | 2021.04.05 |
공정거래위원회 LG전자 의류 건조기 부당광고 혐의 제재 수준 고민 중 (0) | 2021.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