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G전자가 5일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공식화할 전망입니다.
사업 재검토 계획을 밝힌 지 2개월여 만으로 매각이 여의치 않으면서, 결국 철수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지는데 지금까지 손실을 보면서도 끌고왔었던 스마트폰 사업부를 갑자기 매각도 아니고 철수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이 고개가 갸우둥하긴 합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날 이사회를 열어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C사업본부의 철수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지금까지 LG전자는 MC사업본부 매각을 위해 베트남 빈그룹, 독일 폭스바겐 등과 접촉했으나 논의에 진전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미 LG전자는 약 3700명인 MC사업본부의 인력 재배치를 위한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LG전자는 사업 재조정을 발표하면서 "사업 운영 방향이 어떻게 정해지더라도 원칙적으로 고용은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 전장사업이나 배터리 등 미래 사업, 주력인 가전 사업 등으로 인력을 재배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날 이사회에서 스마트폰 사업 철수가 확정될 경우 인력 재배치 계획과 함께 소비자와 협력사에 대한 지원방침도 함께 발표할지 주목됩니다.
LG전자는 지난 1월 20일 모바일 사업의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MC사업본부는 2015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23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냈는데 누적 손실액은 약 5조 원에 달합니다
보수적인 분위기의 LG전자가 MC사업부 매각도 아닌 철수로 급하게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이 궁금해 하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은데 이미 LG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을 매각할 적기를 놓친 상황으로 경영권 승계라는 어수선한 상황에서 이를 책임질 리더쉽이 없었고 구광모 회장체제가 들어선지 얼마 되지 않고 구본준 전 고문의 그룹 분할 기업들도 결정되지 않아 시간만 끌다가 돌이키기 어려울만큼 망가지게 된 것도 매각에 실패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여기다가 LG유플러스가 미국 정부의 압력속에 중국 화웨이 통신장비를 사용하면서까지 공을 들인 것이 결국은 MC사업부를 10억달러 이상의 고가로 매각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기인한 것 같은데 미중무역전쟁의 유탄으로 화웨이 사업이 쪼그라들면서 이 마져도 물거품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매각이 아닌 철수로 가는 것은 MC사업부의 그나마 가치를 떨어뜨리고 헐값매각이 될 수 밖에 없는데도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LG마그나합작사 탄생으로 LG그룹이 애플 자율주행전기차 위탁생산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일 겁니다
특히 자율주행차와 스마트폰은 개인이동통신의 핵심 허브가 될 수 있는데 LG전자가 스마트폰을 생산하는데 여기다가 자율주행 전기차의 위탁생산을 맡기는 것은 기술유출 우려가 높기 때문에 애플이 꺼리던 것으로 LG전자가 급하게 MC사업부 철수를 선언한 것은 애플을 안심시키기 위한 수순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LG전자가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지난 20여년간 LG전자를 먹여살린 MC사업부를 포기하는 성의를 보인이상 애플도 자율주행전기차 위탁생산으로 화답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LG그룹 차원에서도 이미 경쟁력을 상실한 MC사업부를 유지하기 보다는 성장성이 큰 전기차 전장부문을 키우는 것이 미래먹거리로 더 손색이 없기 때문일 겁니다
LG마그나 합작법인의 탄생은 MC사업부를 대체할 새로운 사업이 생겼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지스테크널러지 회계감사인 이촌회계법인 감사업무 미종결 불확실성에 투매발생 폭락세 (0) | 2021.04.05 |
---|---|
코오롱인더 LG디스플레이와 협업 세계 최초 폴더블(접히는) 노트북 레노보 싱크패드 X1 폴드 제품에 탑재커버 윈도우 공급 (0) | 2021.04.05 |
테슬라 중국 전기차 시장 1분기 판매호조 덕분 사상 최고 판매 실적 달성 (0) | 2021.04.05 |
공정거래위원회 LG전자 의류 건조기 부당광고 혐의 제재 수준 고민 중 (0) | 2021.04.04 |
페이스북 약 5억3300만명 개인정보 유출 사건 발생 주가폭락 우려감 (0) | 2021.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