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현대자동차그룹이 자사 고급차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전면적 전동화를 선언하고 나섰는데 시점은 앞으로 4년 뒤로 2025년부터 제네시스에서 출시되는 모든 신차를 순수전기차나 수소연료전지차(수소전기차) 등 전동화 차량으로 내놓겠다는 목표입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승부수를 던진것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은 2일 12분짜리 유튜브 영상을 통해 제네시스의 미래 비전을 공개하고, 2025년부터 모든 신차를 전동화 차량으로 출시할 뿐 아니라 2030년엔 기존 내연기관차 생산까지 중단하겠다는 파격적 계획을 발표했고 이를 통해 2035년부터는 완전한 탄소중립도 실현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최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밝힌 2035년 유럽 내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계획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이날 공개된 영상에서 정 회장은 "지난 5년간 제네시스는 훌륭한 상품성을 발판 삼아 글로벌 브랜드로 입지를 굳혔다"며 "이제 다시 한번 담대한 여정을 시작하려 한다. 그건 바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장재훈 현대차 제네시스 사장은 "제네시스는 2025년부터 모든 신차를 순수전기차와 수소전기차라는 '듀얼(이중) 전동화' 전략에 따라 출시할 것"이라며 "2030년부터 연간 40만대 수준의 전동화 제네시스 차량이 국내외에서 판매될 것"이라고 밝혔는데 특히 장 사장은 "이 모든 과정의 궁극적 목표는 2035년 탄소중립 달성에 있다"며 "100% 전동화 전략을 통해 제네시스는 부품 공급과 차량 생산 라인에 혁신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제네시스는 지난 7월 브랜드 첫 전기차이자 기존 내연기관차 G80을 전기차로 바꾼 'G80 전동화 모델'을 국내에 출시했고 아울러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에서 생산하는 첫 전용 전기차이자 첫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GV60'도 올해 안에 내놓는다는 계획입니다.

 

제네시스는 이번 전동화 전략을 통해 2030년에는 G80과 GV80 등 그간 내연기관차를 모두 정리해 총 8개의 전동화 차량만으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으로 다만 국내 부품업계가 전동화 흐름에 빠르게 적응하고 변신할 수 있을 지가 문제로 인력 구조조정이나 재배치를 놓고 벌어질 노조와의 갈등 문제도 극복해야 할 문제로 알려졌습니다.

 

현대차의 변신은 일찍부터예고된 측면이 있어 시장충격은 조금 덜 할 것으로 보이는데 GV제네시스 시리즈는 고급차의 대표로 수요가 그리 많은 차종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그랜저와 소나타, 아반떼 같은 대중 브랜드 차량의 전동화는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사안으로 일단 현대차는 관련 부품사들과 시장에 충격을 덜 주는 쪽으로 변화를 가져가려는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최근 친환경 전략을 통해 2035년부터 유럽 내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을 제안했지만 그에 앞서 2026년부터 EU로 수출되는 차량에 탄소국경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완성차 업체에는 이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보고 제네시스가 2025년부터 모든 신차를 전동화 차량으로 내놓겠다는 건 탄소세 부과 1년 전부터 관련 비용을 아예 제거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현대차의 변신은 일찍부터 예고된 사안이고 부품사들과 노조의 반발을 감안한 조치로 자연퇴직자와 신입직원 구인에서 앞으로 전기차 관련 인력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자연스런 것이자 예상할 수 있는 변화로 현대차와 기아가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전기차 관련주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SK이노베이션

LG화학

삼성SDI

신흥에스이씨

일진머티리얼즈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브이원텍

엠플러스

후성

천보

만도

대주전자재료

두산퓨어셀

두산솔루스

KG케미칼

삼화전기

삼화전자

삼화콘덴서

디에이테크놀로지

상아프론테크

성창오토텍

피앤이솔루션

피에스텍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엘앤에프

우수AMS

쎄미시스코

삼진엘앤디

신성델타테크

씨아이에스

에코프로

현대공업

피엔티

뉴인텍

세원

한국단자

한온시스템

파워로직스

대보마그네틱

아이티엠반도체

코윈테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