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연제약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세포·유전자치료제 원료인 플라스미드 DNA(pDNA)를 생산할 수 있는 충주공장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그간 기업가치 재평가를 이끈 바이오의약품 공장에 이어 케미칼 공장 완공도 앞두면서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는데 이연제약은 바이오 공장에 800억원을, 케미칼 공장에 2100억원을 투자했고 세계적으로 세포·유전자치료제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가치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3일 오전 10시 14분 이연제약은 전날보다 17.03% 오른 6만54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유용환 이연제약 대표 전날 한 경제매체와 인터뷰를 통해 "충주단지는 사실상 바이오의약품의 모든것을 커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원료가 대규모 완제 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원스탑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주장했고 이어 "최근 바이오의약품 개발 트렌드를 보면 유기합성물질로 대표되는 케미칼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 결합 형태로 많이 진행하고 있다"며 "이런것들을 1부터 10까지 한꺼번에 상용화단계까지 생산해 낼 수 있는 공장은 (충주 외에) 사실상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충주공장을 완성하면 mRNA 백신 기준으로 연간 7억2000만 도즈를 생산할 수 있다고 알려졌으나 최대한 가동하면 14억 도즈 이상 생산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측 설명으로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 인증(GMP) 절차는 빠르면 내년 상반기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 제약사들로부터 생산 관련 문의가 이어지고 있고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관련 기업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연제약은 코로나19 펜데믹 이전에 mRNA기술 검토를 하기 시작했는데 중요한 파이프라인 가운데 하나로 2023년 상반기 정도에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한편 이연제약이 2100억원을 투자한 충주 케미칼 공장이 오는 11월 준공될 것이라고 제약 전문매체가 보도했는데 당초 준공 예정일인 내년 3월보다 5개월 정도 앞당겨졌는데 공장 준공이 예정일보다 빨라지면서 본격 가동 시기도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케미칼 공장 건설은 2019년 2월부터 시작했는데 cGMP급 공장 신축 통한 공급 능력 확대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인데 올 5월에는 투자 규모를 기존 1600억원에서 2100억원으로 500억원 증액했습니다.

 

이연제약의 주가는 5월 이후 급격한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미국 모더나와 화이자가 국내에서 백신위탁생산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미국 모더나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파트너로 선정했는데도 mRNA백신 위탁생산에 대한 기대감이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충주 공장의 가동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시장은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파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PER가 179에 달해 다른 제약사와 비교해서도 과도하다는 생각이 들어 기대감이 주가 버블을 만들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