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뉴욕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기존 증산 방침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도 하락했습니다.

 

4일(미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05달러(2.5%) 하락한 배럴당 78.81달러에 마감했는데 WTI 가격이 배럴당 80달러를 밑돌며 마감한 것은 지난 10월 초 이후 처음으로 이날 마감가는 10월 7일 이후 최저치입니다.

 

OPEC+는 이날 산유국 회의를 열고 12월에도 하루 40만 배럴 증산하는 기존 증산 규모를 유지하기로 했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추가 증산 압박에도 증산 규모를 유지한 셈입니다.

 

OPEC+는 지난 7월 회의에서 8월부터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까지 매달 하루 40만 배럴씩 감산을 완화하기로 한 바 있으며 올해 말까지 이 수준을 유지하기로 한 셈으로 증산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발표를 내놓은 것입니다

 

알렉산더 노박 러시아 에너지 장관은 8월부터 지금까지 시장에 200만 배럴의 원유가 추가됐다며 계획대로 우리는 시장에 더 많은 원유를 투입했다고 말했고 그는 동시에 우리는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에 계절적 수요 감소를 볼 수 있으며 여전히 글로벌 원유 수요는 코로나19 델타 변이와 그에 따른 일부 국가들의 규제 조치로 압박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OPEC+의 다음 회의는 12월 2일에 열릴 예정인데 유가는 OPEC+의 결정에 초반 오름세를 보였으나 이후 차익실현 매물에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EY의 앤디 브로간 글로벌 원유시장 담당 대표는 마켓워치에 이번 결정은 시장에 그리 "놀라운 뉴스는 아니다"라고 말했는데 브로간 대표는 "수요가 팬데믹 이후 회복되고 있기 때문에 OPEC+의 전략은 꽤 성공적인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방향을 바꿀 강력한 이유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에너지 아웃룩 어드바이저스의 아나스 알하지도 마켓워치에 "OPEC+가 미국과 인도, 일본의 압력에도 현 계획을 고수한 데는 최소 12개의 이유가 있다"고 말했는데 그는 "미국의 원유재고가 최근 몇 주 동안 2천만 배럴 가량 증가한 반면 미국 정유소로 이동한 규모는 2018년 수준보다 적은 하루 100만 배럴가량에 불과하다며 미국의 휘발유 문제가 OPEC+의 추가 증산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즉 국제유가 고공행진에 셰일오일 생산은 늘어났지만 노후한 정유공장들이 정유할 수 있는 능력은 정체 상태에 빠져 있어 원유재고만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우리나로 같이 정유능력이 뛰어난 국가에서는 유입되는 정유량이 늘어난다 하더라도 이를 정유할 능력이 충분한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국제유가의 하락에도 국내 휘발유가격은 요지부동한 모습인데 이런 식으로 국내 휘발유가격이 고공행진을 할 경우 국내 정유4사의 영업이익은 7조원대를 넘어설 가능성이 커 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