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qq7LdlvbQP4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이엔지 2024년 실적이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당기순손실은 크게 나오면서 고개가 갸우뚱하게 되는데 이런 회계는 일반적으로 경영권 승계를 앞두고 선대가 만든 부실을 모두 회계에 반영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신성이엔지는 이완근 회장에서 차녀인 이지선 대표에게 경영권 승계 구도가 완성된 상태로 이제 증여가 되었던 상속이 되었던 신성이엔지는 차녀인 이지선 대표가 책임지게 될 것 같습니다

 

신성이엔지그룹은 반도체 클린룸 사업을 주력 분야로 삼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의 성장과 함께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데 지난해 9월 기준으로 계열사는 신성이엔지를 포함해 총 28개 그룹으로 성장했습니다

 

신성이엔지는 가장 큰 고객인 삼성전자의 평택반도체 공장 투자가 중단되면서 최근 실적부진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윤석열 탄핵 이후 삼성전자가 평택 반도체 공장 2단계 공사를 재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실적개선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업체들의 투자가 부진해 진 것도 실적부진의 요인이 되고 있는데 전기차 케즘 현상과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드라이룸 수요가 줄어든 상황입니다

 

신성이엔지는 새로운 타개책으로 바이오와 데이터센터 클린룸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데 트럼프 정부의 AI인프라투자에 따라 미국 전 주에 데이타센터를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어 신성이엔지의 수주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아울러 국내 대기업과  IT업체들의 데이타센터 건설 수요가 늘면서 내수에서도 기회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신성이엔지는 과거 부실을 2024년 회계에 다 반영하였기 때문에 2025년 실적은 호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지금의 주가는 과거 부실을 반영한 주가로 향후 실적호전에 따른 주가 상승이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신성이엔지 2024Q4 실적발표.pdf
0.86MB
신성이엔지 20250103_키움증권.pdf
0.7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lFTJ2On9Jo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현대차그룹이 올해 역대 최대 수준인 24조3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전기차와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를 비롯한 미래차 전환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했는데 울산과 화성의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공장이 완공되어 본격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전기차 케즘 속에 공격투자를 선언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의 올해 연구개발(R&D) 투자 11조5000억원, 경상투자 12조원, 전략투자 8000억원 등 역대 최대 규모인 총 24조3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하는데 R&D 투자는 전동화, SDV, 수소, 원천기술 확보에 대부분 투입되고, 경상투자는 전기차 생산시설 구축, 제조기술 혁신 등 인프라 보완을 위해 집행됩니다

 

 현대차·기아는 내년까지 국내에 총 2곳의 전기차 신규 공장 건설을 마무리 짓고 가동을 시작하는데 기아는 지난해 광명 EVO 플랜트를 가동한 데 이어 올해 하반기 화성 EVO 플랜트를 완공하고 기아의 첫 목적기반차량(PBV) PV5의 양산을 시작할 예정으로 PBV는 목적에 따라 내부 공간을 다용도로 바꿀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합니다.

 

현대차도 내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을 짓고 있는데 이곳에선 제네시스의 초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V90 등 다양한 전기차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이 완공되면 1996년 아산 공장 건설 이후 30년 만에 처음으로 국내에 현대차 공장이 들어서게 되는데 연간 생산능력은 20만대 안팎으로 이를 토대로 현대차는 2030년까지 21개, 기아는 15개의 전기차 모델을 갖출 계획입니다.

 

기아차의 화성공장을 시작으로 현대차 울산 공장에도 제조장비가 들어가는데 이 곳에 한빛레이저의 레이저 마킹기가 대량으로 들어가는데 스마트팩토리라 공정자동화가 이뤄지기 때문에 레이저마킹기가 대량으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한빛레이저는 주요 고객사인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공장 완공으로 장비가 들어가면서 전체적으로 생산과정의 이력추적을 위한 레이저마킹기의 납품이 이뤄지게 됩니다

 

여기다 한빛레이저는 전기차배터리 이력추적제(전기차배터리여권제도)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에 배터리 이력추적을 위한 레이저 마킹기를 납품하게 되어 큰 장이 선 모습입니다

 

한빛레이저는 신사업으로 삼성전자 HBM반도체 생산공정의 레이저마킹기를 납품하려 노력하고 있는데 이번에 삼성전자가 엔비디아향 HBM3E 8단 양산 승인을 받으면서 평택반도체 2단계 공장에 관련 장비가 들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빛레이저는 올해와 내년 대규모 수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며 실적 개선을 빠르게 나타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nML1DtZeo9Y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디아이는 반도체 검사 장비 제조업체로서 삼성전자에 패키징 테스터를 공급하고 있고 연결 대상 자회사인 디지털프론티어 (DF)는 디램·낸드 웨이퍼 테스터 분야에서 국산화를 이뤄냈으며 SK하이닉스에 메모리 웨이퍼 테스터 및 패키징 테스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들어 디아이는 보유 자사주를 대상으로 교환사채를 200억원 규모로 발행하여 자회사인 디지털플론티어에 대여해 주기로 했는데 이는 SK하이닉스의 12단 HBM3E 양산에 대응하기 위한 HBM용 검사장비 양산을 위한 투자를 위한 조치입니다

 

삼성전자가 평택 2단계 공장인 5공장에 대한 투자를 중단한 것은 사업이 더딘 파운드리에 대한 투자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HBM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파운드리에 대한 분사를 부인하며 여전히 투자를 지속할 것이라고 했지만 인풋 대비 아웃풋이 적은 파운드리에 대해 투자시기를 조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SK하이닉스에 빼앗긴 HBM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공을 들이고 있고 이는 HBM양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데 엔비디아는 HBM 독점생산하고 있는 SK하이닉스와 납품가격 협상력을 키우기 위해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와 삼성전자를 공급망에 끼어 넣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디아이는 기존 DDR5 검사장비 뿐 아니라 HBM용 검사장비도개발을 완료하고 자회사 디지털프론티어를 통해 SK하이닉스에 공급하고 있고 삼성전자가 HBM양산을 개시할 경우 언제든지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끝낸 상황입니다

 

윤석열 정부에서 용인에 반도체클러스터를 대규모로 조성하면서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클러스터와 중복투자 우려가 커지고 있어 2단계 투자가 전면 중단된 상태로 윤석열 정부가 원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삼성전자가 입주할 경우 중복투자 우려가 현실화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아이는 주고객사인 삼성전자의 평택공장 2단계 투자가 지연되면서 수주를 하고도 납품을 못하고 시간만 보내고 있었는데 삼성전자가 투자판단을 내리고 투자를 재개할 것으로 보여 조만간 실적개선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디아이 _Data_20244_19 현대차증권.pdf
0.68MB
디아이 20240523 이베스트투자증권.pdf
0.50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3E3TNtpSCs?si=tOZSYnXFUS5Yy4T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이엔지가  '인터배터리 2024'에 참가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수 공간인 클린룸 사업에 이어 2차전지 드라이룸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국내 처음으로 클린룸 핵심 장비인 FFU(팬필터유닛) 국산화에 성공하며 최첨단 공기 제어 기술력으로 고객 맞춤형 장비를 생산하고 있다고 시장에 알렸습니다

 

신성이엔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이 클린룸 건설 시장 1위 기업으로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건설에 있어 우선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사로 이들의 투자여부가 실적에 연동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신성이엔지는 2차전지 제조에 필요한 드라이룸 건설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참여하며 빠르게 시장을 늘려가고 있는데 국내외 2차전지 제조 스마트팩토리를 건설이 늘어나면서 수혜를 입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해 하반기 전기차 업체들의 투자이연으로 드라이룸 건설도 지연되면서 실적 우려를 넣기도 했습니다

 

신성이엔지에게는 작년 클린룸과 드라이룸 투자이연이 올 해 전화위복이 되고 있는데 삼성전자의 평택 반도체 공장 건설이 재개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난 해 실적부진이 올 해 실적에 더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 2차전지 공장 건설도 재개될 것으로 보여 클린룸과 드라이룸 사업 모두 실적호전을 보여줄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신성이엔지 사업 중 클린룸과 드라이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고객사 투자재개는 실적호전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

 

다만 신성이엔지는 동네바보의 한심한 에너지 정책으로 국내 태양광시장이 고사 위기에 빠지면서 미국 태양광시장을 적극 공략하는 방식으로 위기를 돌파하려 하고 있어 조만간 신재생에너지 부문도 실적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신성이엔지 2023년 IR.pdf
2.97MB
신성이엔지 20240131 SK증권.pdf
1.9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4SARxLHEQNk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반도체와 2차전지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서 클린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신성이엔지는 클린룸에 있어서 A부터 Z까지 모든 기술을 갖고 있는 회사로 가장 큰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클린룸이란 먼지·세균이 없는 청정공간으로 작은 이물질 하나가 품질 불량을 유발하는 반도체 공정의 필수 장비로 삼성전자의 제안에 40년 전 클린룸 사업에 뛰어들어 세계 1위 업체로 우뚝 선 신성이엔지가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신성이엔지는 2차전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을 키워내면서 실적호전을 이어가고 있는데 여의도 증권가에서도 기업탐방에 나서는 한편, 주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신성이엔지는 1977년 채소·우유 등을 보관하는 냉장창고 업체로 출발했는데 현재 회사의 핵심 캐시카우인 클린룸 사업은 1991년 클린룸 내 공기 정화 장치인 팬필터유닛(FFU) 국산화를 이루면서 본격화했습니다.

 

FFU 국산화 작업은 1983년 메모리 반도체 사업 진출을 공식화한 삼성전자의 요청에서 시작했는데 삼성의 적극적인 지원을 업고 전세계 FFU 시장 점유율(60%) 1위 회사로 성장했습니다.

 

현재 신성이엔지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국내 반도체 공장 투자의 수혜를 보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근 클린룸 기술을 활용, 2016년 2차전지 드라이룸 사업에도 뛰어들었는데 신성이엔지는 2021년 2차전지 관련 시스템 제조·판매 등을 사업 목적에 추가하는 한편, 지난해 7월 충북 증평공장 내 드라이룸 생산 공정을 증설했고 늘어나는 드라이룸 수요에 대응하고 있는데 현대차와 LG엔솔 등 2차전지관련 전기차배터리공장의 투자수혜를 보고 있습니다

 

신성이엔지는 LG엔솔과 SK온 등의 해외공장에도 동반 진출하여 드라이룸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후 유지보수관련 수익도 발생하기 때문에 한번 스마트팩토리 건설에 참여할 경우 꾸준한 실적이 발생하게 됩니다

 

스마트팩토리 건설이 증가하면 할수록 신성이엔지의 일감은 쌓여가는 구조입니다

 

신성이엦니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6천원으로 평가되어 실적을 반영한 주가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신성이엔지 20230530 유안타증권.pdf
0.69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