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셀트리온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8491억원, 영업이익 7121억원을 기록했다고 22일 공시했는데 전년 대비 매출액은 63.9%, 영업이익은 88.4%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확대로 공급량이 늘어난 것과 1공장 증설 시설의 생산 효율성이 개선되며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는데 주력 제품군의 경우 유럽시장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램시마 52.8%, 트룩시마 38%, 허쥬마 15.9%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견조한 점유율을 유지했으며, 미국시장에서는 지난해 4분기 기준 인플렉트라(램시마 미국 수출명) 11.8%, 트룩시마 19.8%로 지속적으로 성장했습니다.

셀트리온은 올해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 확대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 글로벌 허가 확대, 램시마SC 시장 침투 가속화, 제3공장 신설을 통한 생산량 증대를 중점 추진사업으로 삼겠다는 방침입니다.

셀트리온은 이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CT-P17)'를 판매 승인 받고 제품군을 추가 확보했고 또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CT-P16(아바스틴 시밀러) △CT-P39(졸레어 시밀러) △CT-P41(프롤리아 시밀러) △CT-P42(아일리아 시밀러) △CT-P43(스텔라라 시밀러) 등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확대해 2030년까지 매년 1개 이상의 제품을 허가 받는다는 계획입니다.

또 이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에 대한 조건부 허가를 획득했으며, 이후 미국, 유럽에 긴급사용승인 및 조건부 허가를 진행해 상반기 내 승인을 획득할 계획입니다.

현재 셀트리온은 국내 환자 10만명 분의 치료제 생산을 완료했으며, 수요에 따라 연간 150만~300만명 분을 추가 생산할 예정인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변이 대응 플랫폼 마련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영국 및 남아공 변이에 중화능력을 보인 32번 후보항체와 렉키로나를 조합한 칵테일 치료제 개발에도 착수했습니다.

이와 함께 차세대 성장동력인 램시마SC가 올해 2월 캐나다 판매 승인을 획득하는 등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북미시장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SC는 기존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로 제형을 변경해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직접 주사할 수 있어 치료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만큼 향후 전망이 밝습니다.

이밖에 지난해 11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신도시 내 부지에 착공한 제3공장 및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 건립을 본격화해 안정적인 생산량 확보에 노력할 계획입니다.

셀트리온 제3공장은 2023년 5월, 연구센터는 2022년 7월 각각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제3공장은 2024년 6월부터 실제 상업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며, 완공 시 셀트리온은 기존 1·2공장 19만리터에 더해 총 연간 생산량 25만 리터급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될 전망입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주요 제품군이 고르게 성장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이어갈 수 있었다"며 "올해는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글로벌 공급 노력과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유플라이마(CT-P17) 등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신규 공급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글로벌 생명공학기업으로 지속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셀트리온의 실적은 사상 최고치로 일반적인 제조업체에서 있을 수 없는 수치로 바이오 업체의 특징을 잘 보여준 수치 같습니다

그럼에도 지난 해 실적 기준으로 보면 적정주가가 33만원선이기 때문에 외국인투자자와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 동 정보는 잠정치로서 향후 확정치와는 다를 수 있음.

1. 연결실적내용

단위 : 백만원, %

구분

당기실적

전기실적

전기대비증감율(%)

전년동기실적

전년동기대비증감율(%)

(2020.4Q)

(2020.3Q)

(2019.4Q)

매출액

당해실적

498,698

548,771

-9.12

382,727

+30.30

누계실적

1,849,116

-

-

1,128,460

+63.86

영업이익

당해실적

164,749

245,274

-32.83

114,192

+44.27

누계실적

712,107

-

-

378,059

+88.36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당해실적

100,684

230,978

-56.41

104,657

-3.80

누계실적

650,681

-

-

378,558

+71.88

당기순이익

당해실적

99,513

175,820

-43.40

95,062

+4.68

누계실적

519,232

-

-

297,969

+74.26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

당해실적

97,574

170,687

-42.83

94,991

+2.72

누계실적

511,292

-

-

297,557

+71.8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피비파마(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상장 이틀째 급등해 상한가 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8일 오후 3시15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피비파마는 전날보다 9800원(29.88%) 상승한 4만2600원 상한가에 거래되고 있는데 지난 5일 상장한 피비파마는 상장 당일에도 13.89% 올랐습니다.

오버행 물량이 해소된 점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로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피비파마의 상장 당일 4148만1126주(KDR)가 거래돼 대부분의 오버행(대량 매도 대기 물량)이 해소된 것으로 보여 향후 주가 흐름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종목명을 6자 내외로 권고하는 거래소의 지침에 따라 '피비파마'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는데 지난달 19~20일 수요 예측에서 경쟁률 819.76대 1을 기록, 희망범위 최상단인 3만2000원에 공모가가 결정됐고 일반 청약에서는 경쟁률 237대 1을 기록, 증거금 약 11조6400억원이 모였습니다.

피비파마는 암, 류마티스 등에 대한 바이오시밀러와 항체신약 개발 사업을 하고 있는데 유방암 표적치료제 '허셉틴(주성분명 트라스트주맙)'과 대장암·폐암·난소암과 같은 고형암 대상 치료제 '아바스틴(주성분명 베바시주맙)',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휴미라(주성분명 아달리무맙)' 을 포함한 8종의 바이오시밀러,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을 포함한 2종의 바이오신약 등 총 10종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 첫날 유통가능물량이 대부분 손바뀜이 되면서 품절주가 되어 버린 양상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스닥상장기업 한국비엔씨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에이엠디테라퓨틱스(이하 '에이엠디')사와 연령성 황반변성 신약의 공동개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한국비엔씨는 오는 2023년 하반기까지 총 200만달러(한화 약 22억원)를 투자, 에이엠디사의 특허물질 'AMD101'의 비임상 및 제품화를 위한 개발에 함께 하며, 제품화를 위한 각종 라이센스아웃 진행 시 그 수익의 35%의 권리를 확보하게 됐습니다.

또한 AMD101 물질의 공동개발 진행 과정에서 에이엠디사의 기존 특허 외에 새로운 특허가 획득될 경우 해당 특허의 40%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입니다.

황반변성은 노년층에서 빈번한 질환으로 국내 및 세계적인 노령인구 증가에 따라 관련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질환으로 건성과 습성 황반변성으로 나뉘게 됩니다.

눈 안쪽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부의 변화로 인해 시력이 감소되고 특히 연령성(습성) 황반변성의 경우 방치하면 2년 내 시력을 영구히 상실할 위험이 있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황반변성치료제로는 글로벌제약사인 노바티스의 '루센티스', 바이엘의 '아일리아' 등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만 연령성 황반변성치료제는 지난해 처방전 기준 1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글로벌시장으로 눈을 돌리면 15조원의 판매실적을 거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028년까지 약 20조원 이상으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삼성바이오에피스 △일동제약 △알테오젠 △삼천당제약 등이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출사표를 던진 상황입니다.

한국비엔씨는 이들 글로벌제약사의 황반변성치료제와의 가장 큰 차이점, 경쟁력으로 비주사제라는 점을 꼽았는데 기본 치료제들은 3~4개월의 주기로 안구에 직접 주사해야 하나 AMD101은 점안제(안약)로 투여 시 안구 뒷부분까지 효과적인 흡습, 통과를 확인한 바 있어 제품화에 성공할 경우 관련 시장을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한국비엔씨는질병관리청에서 시행 중인 보툴리눔톡신(보톡스) 균주 전수조사와 관련해 질병관리청이 요구한 모든 서류와 문서의 제출을 완료해 보툴리눔톡신 시장도 진출을 본격화 하고 있습니다

한국비엔씨는 보톡스와 코스메틱 제품을 앞세워 내년 중국시장 진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