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거래일 대비 배럴당 1.97% 오른 57.97달러에 마감했는데 지난해 1월21일(배럴당 58.34달러) 이후 1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장중 58.14달러까지 올랐습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4월물 브렌트유는 이날 장중 줄곧 60달러를 넘었는데 오후 3시30분 현재 배럴당 2.22% 오른 60.66달러에 거래되고 있고 브렌트유는 종가 기준 지난해 1월24일 60.69달러를 기록한 이후 60달러를 넘은 적이 없어 원유시장은 팬데믹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난 셈입니다.
최근 원유 랠리의 기저에는 ‘바이든 효과’가 있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조9000억달러 규모의 메가톤급 부양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미국 상원과 하원은 이같은 부양법안을 과반 찬성만으로, 다시 말해 민주당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결의안을 가결했고 한국 돈으로 2130조원에 이르는 돈이 풀리는 게 임박한 것입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전날 CNN에 나와 “바이든 행정부의 코로나19 구제법안은 위험보다 이득이 더 크다”며 “법안을 처리하면 내년에는 완전고용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에너지 시장정보업체 반다나 인사이트의 창업자인 반다나 하리는 “최근 유가 폭등의 배경에는 팬데믹이 후퇴할 것이라는 조짐 속에 원유 수요가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배어 있다”고 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주요 헤지펀드들이 최근 들어 유가 강세에 베팅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는데 올해 높게는 배럴당 80달러까지 브렌트유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옵니다.
여기에 주요 산유국, 특히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 노력이 한몫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금값 역시 이날 상승했는데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1.17% 오른 1834.20달러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은 발권력을 동원한 유동성공급으로 달러가치를 훼손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자산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돈의 가치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에 더 많은 달러를 갖고 있어야 구매력이 보상될 수 있기 때문에 넘쳐나는 달러만큼 더 많은 달러가치 하락이 나타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당분간 자산가치에 끼는 버블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국제유가의 상승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감을 키우는데 여전히 화석연료로 돌아다니는 자동차가 많은 상황에서 유가상승은 유통에 대한 원가 상승을 가져오고 이는 물건값에 반영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정유주들은 앉아서 떼돈을 벌게 되는데 예전에 싼 값에 사 놓은 원유를 정재해 지금의 비싼 가격으로 시장에 팔 기 때문에 마진폭이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보고서 제출 시즌 갑작스런 상장폐지 주의보 (0) | 2021.02.09 |
---|---|
롯데쇼핑 코로나19사태 부동산 매각과 대량해고로 넘었다 (0) | 2021.02.09 |
미국증시 대규모 경기부양책 기대감에 3대지수 모두 사상 최고가 기록 (0) | 2021.02.09 |
피비파마(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유통가능물량 소진 품절주 등극 상장 이틀째 상한가 행진 (0) | 2021.02.08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실적발표 4분기 어닝서프라이즈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