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영화 ‘딥임팩트’, ‘돈룩업’ 등에서처럼 지구를 지키기 위해 인류가 처음 소행성 충돌 궤도변경 실험을 합니다.
소행성으로부터 지구를 방어하는 실험으로 큐브셋(초소형위성)이 찍은 영상을 NASA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지켜볼 수 있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6일 오후 7시14분(한국시간 27일 오전 8시 14분) 지구에서 1100만km 떨어진 곳에서 다트 우주선을 근지구 쌍 소행성 디디모스의 위성 소행성 디모포스에 충돌시켜 소행성 궤도를 바꾸는 시도를 할 예정입니다
디모포스는 지름 약 160m로 자유의여신상(93m) 보다 큰 소행성으로 디디모스의 주위를 지구와 약 1100만km 떨어진 곳에서 11.5 시간 주기로 돌고 있는데 군용 기술을 개량해 적용했기 때문에 미사일과 비슷한 원리를 가진 탐사선인 다트 우주선이 자동 항법 장치를 기반으로 초당 6.6km의 속도로 가서 소행성에 충돌할 예정입니다.
탐사선은 충돌 이후 사라지기 때문에 충돌에 앞서 초소형위성으로 충돌 장면을 찍고, 지상 망원경, 우주망원경을 동원해 ‘소행성 밀어내기’가 성공했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디모포스는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없고, 폭발에 따른 파편들이 지구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없기 때문에 선택된 것으로 이번 시험 발사로 NASA는 앞으로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할 자료를 얻을 예정입니다.
이번 충돌 이후에는 미국 존스홉킨스대를 비롯해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지상국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 망원경 등을 이용해 궤도 변화를 추적할 예정으로 충돌 과정에서 우주선에 실린 이탈리아 우주국의 초소형위성(큐브셋)인 리시아큐브가 별도로 나와 충돌 장면을 촬영해 지구로 보낼 계획입니다.
NASA는 유튜브채널 등에서 다트 우주선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온라인 중계하는데 천문연 소속으로 다트 임무에 참여한 이희재 박사는 “우주선과 소행성의 충돌 실험을 화면으로 지켜 볼 기회가 될 것”이라며 “NASA 연구진 예측으로는 궤도주기가 11.5시간 중 70초 정도만 변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이런 변화가 앞으로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이 올 때 작은 변화로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실험 기회”라고 말했습니다.
소행성 충돌로 공룡이 멸종했다는 설이 있는 만큼 소행설 지구 충돌을 부정할 수는 없는 직면한 위험으로 우리 과학기술로 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더이상 우주로부터의 소행성이 위협이 됮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과학자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 심우주개발에 우리나라도 기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틴 러시아 대통령 핵무기 사용 협박 우크라이나 점령지 러시아령 선포 임박 (0) | 2022.09.27 |
---|---|
윤석열 대통령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 훼손 진상규명 필요" 주장 대통령 권력 이용 정면돌파 시도 (0) | 2022.09.26 |
윤석열 대통령 무속 논란 천공스승 영국 조문 결례 이유(?) (0) | 2022.09.26 |
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 미국 항공모함 부산 입항 반발 (0) | 2022.09.25 |
우크라이나군 미국제 스팅어 대공미사일로 러시아군 수호이SU-30SM 전투기 격추영상 공개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