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울대 민주화교수협의회(서울대 민교협)가 최근 서울대 청소노동자가 숨진 것과 관련해 학교 측에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정용욱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등 교수 40여명으로 구성된 서울대 민교협은 8일 성명서를 내고 "이번 청소노동자의 죽음이 직장 내 괴롭힘으로 볼 수 있는지 철저히 규명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민교협은 "노동자의 안전, 업무와 무관한 단정한 복장 요구, 직무에 불필요한 시험 실시는 쉽게 납득할 수 없는 행태"라며 "직장 내 괴롭힘이나 산업재해 여부를 판정할 공동진상조사단을 구성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 노동자의 열악한 노동 환경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대책이 미흡한 상황에서, 두 번이나 비극적 사건이 발생한 서울대학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마땅하다"라고 지적했고 이어 "현장 관리자들에 대한 노동권과 인권교육을 강화하라"라며 "학교와 노조 간 대화를 통해 유사한 일의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그 이행을 모니터링하라"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경찰에 따르면 청소노동자 A씨는 지난달 26일 서울대 기숙사 청소노동자 휴게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는데 당시 A씨 가족은 A씨가 퇴근 시간이 지났음에도 귀가하지 않고 연락이 되지 않자 경찰에 신고했는데 경찰은 A씨 사망에 대해 "자살이나 타살 혐의점이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유족과 노동조합 측은 전날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A씨가 생전 '관악학생생활관을 영어로 써보라'고 쪽지 시험을 요구 받는 등 직장 내 갑질에 시달렸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서울대에선 2019년 8월에도 60대 청소 노동자가 교내에서 휴식 중 사망한 바 있습니다.
도데체 서울대 청소노동자들의 비극적 상황은 누가 만든 건지 안타깝기 그지 없는데 청소노동자들이 받았을 모멸감과 인격살인에 누가 책임져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우리 세금으로 운영되는 국립대학에서 이런 말도 안되는 황당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다는 것이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되는데 과연 서울대 행정담당자들이 모르고 있었고 학생들이 몰랐을까요?
서울대생과 서울대 출신들이 그렇게 공평을 따지고 인격을 따지면서 자신들 코 앞에 벌어진 일들을 몰랐다는 것이 말이 됩니까?
아침 저녁으로 오가며 만나는 분들이 청소하시는 분들일텐데 30여년 전 대학 다닐 때 청소하는 분들에게 오가며 인사하던 기억이 나는데 요즘은 그러지도 안나 보지요
예전 중국 공장에 출장가서 청소하는 중국인 아주머니를 아침에 만나 인사했더니 중국 관리들이 아는 척하지 말라고 하더군요
청소하는 사람들은 인간도 아니고 계급적으로 하층민이라 상대할 사람들이 아니라는 인식인데 그런게 중국의 사회수준이란 것을 느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최고 학부라는 서울대라는 곳에서도 그런 중국 수준의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 한심할 따름입니다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없다"는 옛 성인들이 말씀을 작금의 젊은 것들은 잊고 사나 봅니다
열심히 부자나라 만들어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게 되었는데 물려받을 것들이 저런 인격적으로 문제있는 것들이라면 얼마나 안타까울까요
더 늦게 전에 바로 잡아야 합니다
서울대는 청소노동자의 죽음에 책임지고 응답해야 합니다
우리가 낸 세금으로 우리 이웃을 이렇게 인격적으로 살인하게 그냥 둘 수 없습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gain MB 부정부패 세력들이 다시 뭉쳤다 (0) | 2021.07.10 |
---|---|
문재인 대통령 오는 12일 수도권 특별방역점검회의 소집 지시 국민의힘 K방역 실패 책임 타령 (0) | 2021.07.09 |
벨기에 외교부 피터 레스쿠이에 주한 벨기에 대사와 부인 쑤에치우 시앙씨 즉시 귀국 조치 (0) | 2021.07.08 |
코로나19재확산 여파 방송가 제작중단 속출 (0) | 2021.07.08 |
정부 수도권에 새로운 거리두기 4단계 적용 검토 중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