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월마트의 실적 경고로 투자 심리가 악화하며 하락했습니다.
2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8.50포인트(0.71%) 하락한 31,761.54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5.79포인트(1.15%) 떨어진 3,921.05를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20.09포인트(1.87%) 하락한 11,562.57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다음 날 발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월마트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순이익 전망치를 하향하면서 기업들의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졌는데 월마트는 인플레이션으로 일반 상품에 대한 소비 지출이 타격받고 있다며 2분기와 올해 순이익 전망치를 하향했고 이 같은 소식에 월마트의 주가가 7.6% 급락했습다.
타깃과 콜스의 주가가 각각 3%, 9% 이상 하락하는 등 다른 소매업체들의 주가도 동반 하락했고 아마존과 달러 트리의 주가도 각각 5%, 6% 이상 하락했으며, 코스트코의 주가도 3% 이상 떨어졌습니다.
캐나다 전자상거래 업체 쇼피파이가 전체 글로벌 인력의 10%를 줄일 것이라고 발표한 것도 투자 심리에 악재로 작용했는데 뉴욕에 상장된 쇼피파이의 주가는 14%가량 떨어졌습니다.
독일 스포츠 의류업체 아디다스도 실적 전망치를 하향했는데 소매 기업들이 글로벌 경기 둔화세로 타격을 받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개장 전 실적을 발표한 제너럴모터스(GM)도 공급망 차질로 분기 순익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주가는 3% 이상 하락했습니다.
맥도날드는 분기 순이익이 예상치를 웃돌았다고 발표해 주가는 2% 이상 올랐고 코카콜라는 환율 역풍에도 강한 수요가 유지되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고 밝혀 주가는 1% 이상 올라 경기침체속에 확실한 자기시장을 갖고 있는 기업들과 주가차별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UPS와 3M, 제네럴일릭트릭(GE)은 모두 예상치를 웃돈 실적을 발표했으나 주가는 엇갈렸는데 UPS 주가는 3% 하락했고, 3M과 GE 주가는 모두 4% 이상 상승했습니다.
이날은 장 마감 후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이 실적을 발표하는데 실적둔화 우려에도 강한 하방경직성을 보여주고 있어 오히려 시간외 거래에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입니다
시장은 다음날 예정된 7월 FOMC 결과도 주시하고 있는데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7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다만 금리 선물 시장의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1.00%포인트가량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25%에 달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했다는 소식도 나왔는데 IMF는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3.6%에서 3.2%로 내렸고, 내년 세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3.6%에서 2.9%로 하향했습니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보다 1.4%포인트 낮춘 2.3%로 내렸고, 내년 미국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보다 1.3%포인트 하향한 1.0%로 예상했는데 이런 소식에도 미 연준이 금리인상을 멈추지 않고 있는 것은 아직도 시장내 과잉 유동성이 만든 자산버블이 빠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95.7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달 기록한 98.4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예상치인 97.0을 모두 밑돈 것으로 이 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하며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경신한 상황입니다.
미국의 주택 가격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데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계절 조정 5월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연율 19.7% 상승해 두 달 연속 상승률이 낮아져 시장내 과잉 유동성이 만든 자산버블이 조금씩 꺼지고 있다는 신호로 생각됩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의 긴축 조치로 결국 하반기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기업들의 실적 전망치에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는데 이제 실적장세에서 역실적장세로 경기침체 속에 확실한 자기 시장을 갖고 있는 기업들과 그렇지 못한 기업들 간에 주가 차별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연준은 미국 경제가 고용에 있어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아직은 금리인상을 통해 수익성을 헤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금리인상을 추진해 확실하게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33포인트(5.69%) 오른 24.69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미FOMC회의결과 미국이 75bp만큼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면 한미금리차가 역전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에서도 금리차를 줄이기 위해 또 빅스텝으로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커 중금리 이상의 기준금리 시대를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점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용산개발은 자금조달에서 난관에 부딪힐 수 있는 부동산개발 건이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2분기 실적발표 환율효과 어닝서프라이즈 실적피크 우려 (0) | 2022.07.27 |
---|---|
삼성전자 8월 10일 '갤럭시 언팩 2022' 초대장 발송 (0) | 2022.07.27 |
증권사 해외부동산 투자실패 진짜 리스크가 시작되었다 (0) | 2022.07.27 |
국립중앙박물관 ‘메소포타미아, 저 기록의 땅’ 전시회 개최 메소포타미아 실물 유물 전시 (0) | 2022.07.27 |
제지주 국제펄프가격 1000달러 돌파 소식에 동반 강세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