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롯데쇼핑이 일산 킨텍스점을 마지막으로 대형마트 구조조정을 일단락했습니다.
7년여에 걸쳐 폐점 후 점포 매각과 ‘세일즈 앤 리스백(매각 후 임차)’ 등으로 장부가액만 약 1조5,000억 원에 달하는 20여개 매장을 정리했는데 롯데마트 서울 구로점과 경기 양주점 등 폐장 후 매각하려던 두 곳은 창고형 할인매장인 빅마켓으로 재개장하거나 주거단지·지식산업센터 등으로 개발할 예정입니다.
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이달 중 이사회를 열고 빅마켓 킨텍스점 인수 우선협상자를 선정하는데 지난달 진행된 입찰에서는 4곳의 부동산 시행사들이 참여했는데 장부가액은 851억 원 수준이지만 인근에 3호선 주엽역과 대화역이 있고 일산 호수공원이 가까운 입지적 특성으로 매각가는 1,5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딜은 부동산 개발 전문인 에비슨영 VS(밸류애드서비스)팀이 주관했는데 문요셉 에비슨영 차장은 "폐점한 점포인만큼 건물을 허물고 주거단지나 물류창고로 개발하려는 수요가 많다"며 "특히 대형마트 부지는 대부분 교통이 편리하고 신도시 등 주거지 인근에 위치해 인수전이 치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14년 개장한 킨텍스점은 롯데 빅마켓 최초의 신축 점포였는데 연면적 4만9,833㎡, 영업면적만 1만7,483㎡ 규모로 인근에 위치한 코스트코 일산점보다 큰 규모인데 그러나 실적 부진이 이어지면서 오픈 6년 만인 2020년 폐점했습니다.
이번 킨텍스점 매각으로 롯데쇼핑은 7년여에 걸친 대형마트 부문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게 됐는데 그간 유동화한 자산만 장부가액 기준 약 1조5,000억 원 규모로 롯데쇼핑은 2019년 롯데리츠를 설립한 이후 롯데마트 계양점·의왕점·장유점·경기 양평점·춘천점 등을 잇따라 리츠에 넘겨 자산을 유동화했습니다.
지난해에는 빅마켓 신영통점·킨텍스점, 롯데마트 양주점·의정부점·금정점·서현점을 폐점하고 매각할 계획을 세웠는데 롯데마트 의정부점은 지난해 이미 부동산 시행사에 300억원 가량에 매각됐습니다.
롯데쇼핑은 킨텍스점을 끝으로 나머지 폐점 매장은 창고형 할인매장인 빅마켓으로 재개장할 계획인데 유료 멤버십 제도를 철회해 소비자들에게 문턱을 낮추고 신선식품과 리빙, 와인 전문점 등 전문 매장을 연계해 매출을 끌어올린다는 목표인데 실제 이마트(139480)가 운영하는 트레이더스의 지난해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해 2021년 매출 3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되는 등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고 코스트코도 지난해 3분기 기준 전년 동기 매출이 18% 상승했습니다.
일부 부지는 직접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2015년 매각했다가 2019년 콜옵션을 행사해 다시 사들여 민간 임대아파트를 지은 롯데마트 수지점 부지가 대표적으로 함께 되사온 서울 도봉점과 부산 사상점, 전북 익산점도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9년 전 매각한 롯데마트 구로점을 재매입하고 매장을 폐점했고 이후 부동산 개발사인 SK디앤디와 손 잡고 지식산업센터로 개발을 앞두고 있습니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킨텍스점 역시 입지가 좋기 때문에 롯데그룹의 의중에 따라 매각을 철회하고 부지 개발로 선회할 가능성도 있다"며 "롯데는 대표적인 부동산 재벌로 실물자산 가격이 급등하자 다양한 수익이 기대되는 수도권 매장들의 매각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롯데그룹은 온라인 쇼핑이 오프라인 쇼핑을 넘어서는 규모로 급성장하자 오프라인 매장들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예전에는 유통업이 부동산가치 상승으로 오래할수록 수익이 증가하는 구조를 갖고 있었지만 온라인쇼핑이 발전하면서 도시 중심가에 대규모 매장을 확보하느라 대규모 자본을 투입할 필요가 없어지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은 중국과 러시아 등 해외부동산 개발투자로 큰 손실을 보고 있는데 이를 메꾸기 위해 우리나라 부동산을 매각해 유동화하고 있는 측면이 있는데 부동산 피크에서 매각하고 있어 부동산 투자의 귀재다운 솜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대형마트에 근무한 사람들은 코로나19위기로 이직하기 어려운 때라는 사실로 대량실업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롯데그룹 입장에서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경영상 필요에 의한 것이지만 여기에 희생되는 사람들에 대해 롯데가 너무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여간 킨텍스점 매각으로 롯데쇼핑은 7년여에 걸친 대형마트 부문 구조조정을 마무리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앞으로 온라인쇼핑을 "롯데온"을 통해 키우려고 하고 있는데 신세계와 이마트가 4조원대 현금을 쏟아부어 이베이코리아를 인수했다는 점에서 어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인베스트먼트 희토류 영구자석 분야 세계 1위 성림첨단산업 투자지분 부각 급등세 (0) | 2022.01.14 |
---|---|
셀트리온 3사 분식회계 의혹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다음 주 논의 소식에 급락세 (0) | 2022.01.14 |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빠른 태세 전환 멸공 논란 사과 결국 스타벅스 불매운동의 파급효과 때문 (0) | 2022.01.14 |
보안주 독일 십대 테슬라 전기차 25대 해킹 소식에 관심 고조 (0) | 2022.01.14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연1.25%로 인상 인플레이션 우려 반영 (0) | 202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