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디지털 시대와 경제위기 속에서 태어나고 자란 이른바 'MZ세대'의 목소리가 재계를 강타하고 있다고 기레기들이 호들갑을 떠는데 솔직히 회사 초년병들이 늘어놓는 불평불만에 회사가 움직인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웃기는 소리로 진짜는 과장, 차장급의 분노로 진짜 회사에 돈 벌어다주는 사람들이 회사에 배신감을 느끼고 있는 겁니다

SK하이닉스에서 시작된 성과급 논란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데 이들의 불만을 MZ세대라는 사회 초년생들의 불평 정도로 치부하고 있는데 진짜 문제는 불공정한 성과급 체계에 회사의 주력인 과장급과 차장급이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상체계 산정 방식에 불만을 제기하며 객관적인 기준 공개와 함께 개선을 요구하고 있지만 성과급 체계 개선에 보상 기준이 완전히 공개되는 것은 기업 비밀과 경영자 고유권한 침해라는 말로 애써 외면하려고 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습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기업들은 직원들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성과급 제도 손질에 나섰는데 일각에선 향후 시장상황이 악화될 경우 재정부담이라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로 적당히 넘기려고 꼼수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선 성과급 논란의 진원지는 SK하이닉스로 삼성전자의 2020년도 성과급이 자신들의 두 배를 넘자 한 4년차 직원이 이석희 사장에게 공개 e메일로 성과급 산정방식 공개를 요구하면서 시작됐는데 이 같은 움직임은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를 통해 SK텔레콤, 현대차, 삼성전자, LG전자 등 다른 대기업들로 급속히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이들의 주장은 단순히 더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왜 이것밖에 못 받는지 설명하라는 데 방점이 찍혀 있는 것으로 진짜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이자 회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과장과 차장급 인력의 반발로 이들이 실제 회사을 돈을 벌어주다주는 인력인데 이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넓은 의미의 MZ세대는 1980~2000년대 출생한 'M세대'와 'Z세대'를 합쳐 부르는 말로 이들은 겉으로는 풍요로워 보였지만 사실은 위기 속에서 성장했는데 주용완 강릉원주대학교 교수는 "MZ세대는 금융위기, 리먼 및 서브프라임 사태 등 반복되는 경제위기와 저성장을 겪으며 노력이 꿈을 실현해 줄 수 없다는 것을 체험했기 때문에 자기 행복과 만족을 최우선으로 추구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성과급 논란도 자신의 업무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는 불만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4대 그룹 중 한 곳에 3년째 근무 중인 A씨는 "개인의 역량보다는 연장자 우대나 친분에 의한 평가가 여전히 남아 있다"면서 "평가지표를 객관화하고 평가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를 투명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전자·금융업체에서 5년째 일하고 있는 B씨도 "대부분 의사결정권자는 조직원의 객관적 역량으로만 판단하는 게 아니라 주관적 요소에 따라 성과 평가를 한다"며 "회사의 기업문화와 비전에 대한 젊은 직원들의 불만이 상당하다"고 말했습니다.

회사에 대한 인식 차이도 MZ세대와 베이비붐·X세대를 가르는 중요한 차이로 MZ세대는 조직·집단에 몰입하기보다는 개인주의에 기반한 정체성이 깔려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으로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현재 경영진 등 기성세대는 조직을 우선시하도록 길들여진 반면, 젊은 세대는 자기 생활이 중요하기 때문에 확연하게 권리를 주장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MZ세대의 이런 문제의식이 조직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본인과 잘 안 맞는 조직에서 자리를 잡고 그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성과급 폭로'라는 합리적인 선택을 한 것"이라며 "'공정하지 않다' '우리 말을 들어달라' 등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 자체가 조직에 남고 싶다는 의미"라고 해석했습니다.

MZ세대들의 이런 움직임에 재계는 최고경영자들이 직접 달래기에 나서는 등 신속한 대응에 나섰는데 주요 기업들은 이미 임직원 보상체계 개정에 착수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산정기준을 기존 '경제적 부가가치'에서 '영업이익' 기반으로 변경키로 하고, 회사 영업익 10%를 성과급 재원으로 활용키로 했습니다.

지급 예상치도 연초와 분기별 시점에 공개키로 했고 또 기본급 200%에 해당하는 혜택이 제공되는 우리사주 제도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불똥이 번진 SK텔레콤도 노사 합동 태스크포스(TF)를 통해 2022년부터 성과급 지급기준을 개선키로 했습니다.

LG전자는 성과급에 불만을 가진 직원들이 최근 사무직 노조를 설립한 가운데 올해 임금 9% 인상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에 노사가 합의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도 업계가 최대 호황을 누리던 2010년 이후 최대폭인 기능직 기준의 평균 6.5~7% 임금인상에 합의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정의선 회장이 최근 직원들과의 미팅에서 직원들의 노력이 정당하게 보상받도록 체계 개선을 약속했고 또 재계 최고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진 삼성전자도 최근 노조를 중심으로 체계 개편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기레기들은 임금과 인센티브를 너무 올려주면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 온다고 우려해야 한다고 하며 경쟁기업과 비교해서 인센티브를 산정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광고주인 회사측을 생각해 빨아주기를 한 것인데 저들이 주장하는 MZ세대들은 우리가 잘 키운 세대로 부모세대의 성공을 그대로 물려 받은 아이들로 친구들이 해외기업에 취업해 외국 기업의 연봉과 인센티브 제도에 대해 어느 정도 정보를 갖고 있는 아이들입니다

삼성전자가 우리나라에서나 최고 연봉의 회사일 뿐 경쟁사와 비교해서는 반 밖에 안되는 연봉으로 솔직히 삼성전자에 취업한 아이들 중에 본사 근무할 정도면 외국 회사에 이직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결국 재벌대기업들이 좋은 인재를 다 쓸어가 놓고도 이들에게 정당한 임금과 인센티브를 주지 않으면서 이번 사단이 벌어진 것으로 우리나라도 최소한 재벌대기업은 임금 수준을 진짜 선진국 수준에 맞춰 지급해야 할 겁니다

아울러 중소하청 업체들에 대한 하도급 대금도 현실화해 경쟁력 있는 소재와 부품업체를 육성해야 할 시기입니다

우리나라 재벌대기업이 일본기업에 배워야 배워야 할 것은 국내에 경쟁력 있는 소재와 부품업체를 키우지 못하면 결국 해외 소재와 부품업체에 휘둘릴 수 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임금체계는 성과에 대한 보상을 확실히 하는 수준으로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결국 재벌대기업이 좋은 인재를 독식해 놓고도 제대로 보상해 주지 않아 이런 인재를 외국 기업에 빼앗기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손해 일 수 밖에 없습니다

사외이사들은 일년에 회의 한번 제대로 들어오지 않아도 억대 연봉을 주면서 당장 회사에 큰 돈을 벌어다주는 인재들에게 제대로 보상해 주지 않는 것은 분명 회사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재무건전성을 따지기에는 우리나라 재벌대기업들이 쌓아놓고 있는 사내유보금이 너무 많은 것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멍청이가 인센티브 더 주었다고 재무건전성이 위험해 진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알 수는 없지만 인센티브 자체가 벌어들인 수익에서 직원의 성과를 반영해 분배하는 것으로 재무건전성과는 상관이 없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